예화

TOP
DOWN


오페라 ‘나부코’의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본문

“날아라 생각이여! 금빛 날개를 달고…비탈과 언덕에서 날개를 접어라. 그곳은 부드럽고 온화한 공기 조국의 공기가 향긋한 곳. 맞이하라. 요르단 강둑과 무너진 탑. 오,내 조국,빼앗긴 내 조국…”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에 나오는 유명한 합창곡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의 가사 일부이다.
기원전 6세기 구약성경 다니엘서를 배경으로 한 오페라 ‘나부코’는 성경에 나오는 인물인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을 지칭하는 것으로 베르디의 대표작 중 하나다. 이 오페라가 밀라노의 스칼라극장에서 초연된 1842년 당시 오스트리아의 압제하에 있던 이탈리아 국민들은 이 오페라에서,특히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을 듣고 애국심이 자극됐다. 이후 이 곡은 이탈리아 독립운동 때 국가처럼 불렸고 베르디의 장례식에서도 불려지는 등 이탈리아의 ‘국민찬가’가 되었다.
역사는 우리에게 어떤 민족이나 나라든지 고난과 혼란의 시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다만 그 상황을 어떻게 지혜롭게 극복했는가 하는 것이 현재에 영향을 미쳤다고 가르친다.
며칠 전 서울시민의 10명 중 4명은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태어나고 싶다고 대답했다는 신문보도를 접했다. 그 보도에 따르면 특히 월소득 400만원 이상 고소득자의 경우 절반 가까이가 한국을 떠나고 싶어했고 전문가들도 국가에 대한 반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연령층에 비해 20∼40대가 국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한층 더 심각한 수준이었다.

이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 사고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요즘 상황과 맞물려 생각하면 뒷맛이 개운치 않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1450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