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기독교 교육의 모범

본문

김약연이 세운 규암재는 1908년에는 명동서숙, 이듬해에는 명동학교로 발전하였는데, 이상설이 세웠던 서전의숙과 연합하였다. 그러나 그때까지는 기독교 학교로서의 기능은 하지 못 하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1909년 4월 27일에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정재면이 신임 교감으로 있으면서 일대 전환을 맞이했다. 그는 평양 숭실학교, 서울 상동교회의 청년학원, 황성기독교청년회(YMCA) 출신으로서 명동학교에서의 성경 교수가 그의 취임 조건이었다.

그 때부터 `신.식.병'을 교육이념의 토대로 삼던 것을 `신.망.애'로 바꾸고 본격적인 기독교 교육을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더구나 황의돈. 장지영. 박태환 등 서울 상동청년학교 교사출신들을 평교사로 초빙해 와서 기독교 민족교육이라는 이상을 펼칠 수 있었다.

이러한 기독교적 민족교육은 훗날 일제에 의한 명동학교의 폐교 이유에서 그 성과가 여실히 나타난다. '명동학교는 지리 시간에 조선을 일본 영토에서 제외한 지도를 사용한다. 일장기 대신 태극기를 사용한다.

철저한 항일교육을 시킨다. 입학시험 응시자 중 독립정신. 민족정신이 투철하지 못한 학생은 탈락시킨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1455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