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선교 현장
본문
강영순, 불모지 몽골서 ‘복음의 빛’으로한국장애인 등반가 제1호로 알려진 강영순 선교사(44)가 몽골선교를 위해 떠난지 10년 만에 선교활동을 공개했다.생후 8개월 때 소아마비를 앓아 보행이 불편한 그녀는 환경에 굴하지 않고 도전인생을 살았다.그녀는 지난 88년 태풍이 몰아치는 악조건 속에서 해발 3,190m의 일본 북알프스 등정에 성공했고 지난 90년,장애인 최초로 대만 제1의 고산인 옥산을 단독 등정해 장애인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심어주었다.그런 의미에서 복음의 불모지인 몽골도 그녀에겐 하나의 넘어야 할 산이었다.강선교사는 91년,기독교한국침례회 해외선교회 소속으로 몽골에 파송됐다.한인몽골선교사 제1호였다.당시 몽골은 외국인의 선교 활동이 금지된 ‘창의적 접근지역’이었다.그녀는 몽골국립대학에서 공부하며 대학 탁구코치로 선교의 터를 닦았다.한국 장애인 탁구 여자대표선수였던 경력을 십분 발휘한 것이다.이어 올림픽위원회 산하법인으로 ‘몽솔’이란 탁구클럽을 조직했다.몽골의 ‘몽’과 한국을 뜻하는 ‘솔롱고스’란 단어의 ‘솔’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탁구클럽을 6년간 이끌면서 각 대회에 참석해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이에 대한 공로로 몽골 올림픽위원회로부터 올림픽 금장,몽골 정부로부터 최우수 체육지도자 금장을 수상했다.이와함께 강선교사는 93년,슬럼가인 덴진양가에서 가정교회를 시작했다.상수도 시설이 없고 나무로 난방을 해야 하는 열악한 주거환경 속에서 몽골인들과 함께 살면서 복음을 전했다.96년 10월에는 헌당예배를 드리고 98년 정부에 교회등록을 마쳤다.강선교사가 현재 주력하고 있는 것은 성경공부교재의 번역과 출판사역이다.몽골어 내몽골어 중국어 러시아어로 번역해 세계에 흩어져 있는 몽골족들에게 복음을 전하길 원한다.그녀는 지금 몽골인들을 복음으로 훈련시키고 있다.강영순 선교사는 현지인들로부터 ‘빛’이란 뜻의 몽골 이름을 선물로 받았다.그 이름은 ‘강토야’.그녀는 자신의 이름처럼 몽골을 복음으로 환하게 밝히는 ‘복음의 빛’이 되길 원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