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적 자녀 교육의 3대요소 (삿13:8-14)
본문
본 방에서 16장까지는 이스라엘의 사사이며 엘리 제사장 바로 직전까지 활동했던 삼손에 관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장에서는 블레셋의 침입으로 말미암아 곤경에 처해 있던 이스라엘의 상황이 간략하게 서술괴고, 곧이어 하나님은 자식이 없는 마노아 가정을 통하여 삼손이라는 한 나실인을 예비 하시고 계신다는 것이 제시됩니다. 이는 사람은 깨닫고 있지 못할지라도 택한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빈틈 없이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특히 삼손은 날 때부터 ‘나실인’을서 성별되었다는 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가 됩니다. 이에 마노아 부부의 삼손을 잘 양육하기 위한 질문들을 통하여 우리의 자녀 교육을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겠습니다.
1. 좀더 올바른 자녀 교육에 관심을 갖자. 유명한 기독교 철학자 프란시스 쉐퍼 박사는 말년에 암으로 고생하면서 미국 유수의 대학들을 방문했ㅅ브니다. 시한부 인생을 사는 상태에서 여러 학교와 교회를 방문한 쉐퍼는 피를 토하듯 진리를 외쳤습니다. 쉐퍼 박사가 진단한 미국의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행복은 추구하지만 거룩은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환언하면 오늘날의 가정도 자녀의 행복과 성공을 위한 처방전은 많이 내어놓으나 정작 올바로 사는 데 대한 지침을 가정 교육의 교사인 부모들이 외면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본문에 등장하는 삼손의 아버지인 마노아가 하나님의 사자에게 질문하는 교육적 관심은 우리에게 귀한 도전을 줍니다. “(삿13:12) 마노아가 가로되 당신의 말씀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이 아이를 어떻게 기르오며 우리가 그에게 어떻게 행하오리이까 ” 이는 태어날 아이에게 요구되는 나실인의 생활 규볌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성공하는 자녀로 키우기보다는 하나님 앞에서 올바르게 양육하고픈 부모의 태도로 오늘을 사는 부모들에게 귀감이 되는 말씀입니다.
2. 자녀 교육은 부모의 공동 책임입니다. 자녀 교육은 부모 중 어느 한 사람의 의무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가정에서 자녀 교육은 父와 母의 공동 책임에 속한다는 말입니다. 본문에 보면 하나님의 사자는 먼저 마노아의 부인에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그녀에게 삼손의 출생과 교육 방법을 계시하였습니다(3-5절). 그러나 마노아는 이것을 자신의 부인에게만 국한시키지 않고 자신에게도 중대한 문제임을 인식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자사에게 기도하고는 “(삿13:8) 주의 보내셨던 하나님의 사람을 우리에게 다시 임하게 하사 그로 우리가 그 낳을 아이에게 어떻게 행할 것을 우리에게 가르치게 하소서 ”라고 말합니다. 마노아는 자기 아내에게 임한 하나님의 계시를 자기도 알기를 원한 것입니다. 이는 자기도 아이에 대해서 공동으로 양육에 대한 의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날 자녀 교육의 모든 것을 어머니가 책임지고 아버지는 경제력만 책임지는 이원론적인 논리야 말로 이 땅에 문제아를 낳게 하는 동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자녀 교육에 대한 가정 교육의 방법을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입니다.
3. 가정 교육의 핵심은 신앙 교육입니다. 오늘날 가정에서는 세상의 출세 지향적인 교육이 우선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앙인의 가정조차 신앙 교육은 1주일에 한 번 출석하는 교회 학교에 일임하는 모습이 일반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가정에서의 신앙 교육이 생활 속의 여백을 메우는 도구로 전락해 버렸습니다. 그리하여 신앙 교육은 점차 가정에서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슬픈 일입니다. 이에 본문은 우리에게 귀한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마노아가 하나님의 사자에게 어떻게 아이를 교육하여야 할 것인가를 묻자 여호와의 사자는 이와 같은 대답을 합니다. “(삿13:14) 포도나무의 소산을 먹지 말며 포도주와 독주를 마시지 말며 무릇 부정한 것을 먹지 말아서 내가 그에게 명한 것은 다 지킬 것이니라” 물론 여기서 ‘명한 것’이란 하나님의 말씀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신6:6) 오늘날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신앙 교육이 배제된 교육은 곧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매우 어리석은 행위입니다. 현대 사회의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황금 만능주의, 이기주의, 세속주의 등은 신앙 교육이 배제된 가운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앙 교육은 고루하고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자녀들을 하나님 앞에 합한 사람으로 만드는 것이기에 의미 있는 최고의 투자인 것입니다. 적용
1. 우리 가정에서는 출세 지향적인 자녀 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는가 아니면 진정 올바른 가치관에 입각하여 자녀들을 교육하고 있는가
2. 현대를 바쁘게 살아가는 아버지로서 자녀 교육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최소한의 시간이라도 자녀에게 투자하는 가정 목회의 제사장들이 되어야 하니 않겠는가
3. 각자 가정의 형편에 맞는 신앙 교육 계획을 생각해 보자.
1. 좀더 올바른 자녀 교육에 관심을 갖자. 유명한 기독교 철학자 프란시스 쉐퍼 박사는 말년에 암으로 고생하면서 미국 유수의 대학들을 방문했ㅅ브니다. 시한부 인생을 사는 상태에서 여러 학교와 교회를 방문한 쉐퍼는 피를 토하듯 진리를 외쳤습니다. 쉐퍼 박사가 진단한 미국의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행복은 추구하지만 거룩은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환언하면 오늘날의 가정도 자녀의 행복과 성공을 위한 처방전은 많이 내어놓으나 정작 올바로 사는 데 대한 지침을 가정 교육의 교사인 부모들이 외면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본문에 등장하는 삼손의 아버지인 마노아가 하나님의 사자에게 질문하는 교육적 관심은 우리에게 귀한 도전을 줍니다. “(삿13:12) 마노아가 가로되 당신의 말씀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이 아이를 어떻게 기르오며 우리가 그에게 어떻게 행하오리이까 ” 이는 태어날 아이에게 요구되는 나실인의 생활 규볌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성공하는 자녀로 키우기보다는 하나님 앞에서 올바르게 양육하고픈 부모의 태도로 오늘을 사는 부모들에게 귀감이 되는 말씀입니다.
2. 자녀 교육은 부모의 공동 책임입니다. 자녀 교육은 부모 중 어느 한 사람의 의무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가정에서 자녀 교육은 父와 母의 공동 책임에 속한다는 말입니다. 본문에 보면 하나님의 사자는 먼저 마노아의 부인에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그녀에게 삼손의 출생과 교육 방법을 계시하였습니다(3-5절). 그러나 마노아는 이것을 자신의 부인에게만 국한시키지 않고 자신에게도 중대한 문제임을 인식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자사에게 기도하고는 “(삿13:8) 주의 보내셨던 하나님의 사람을 우리에게 다시 임하게 하사 그로 우리가 그 낳을 아이에게 어떻게 행할 것을 우리에게 가르치게 하소서 ”라고 말합니다. 마노아는 자기 아내에게 임한 하나님의 계시를 자기도 알기를 원한 것입니다. 이는 자기도 아이에 대해서 공동으로 양육에 대한 의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날 자녀 교육의 모든 것을 어머니가 책임지고 아버지는 경제력만 책임지는 이원론적인 논리야 말로 이 땅에 문제아를 낳게 하는 동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자녀 교육에 대한 가정 교육의 방법을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입니다.
3. 가정 교육의 핵심은 신앙 교육입니다. 오늘날 가정에서는 세상의 출세 지향적인 교육이 우선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앙인의 가정조차 신앙 교육은 1주일에 한 번 출석하는 교회 학교에 일임하는 모습이 일반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가정에서의 신앙 교육이 생활 속의 여백을 메우는 도구로 전락해 버렸습니다. 그리하여 신앙 교육은 점차 가정에서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슬픈 일입니다. 이에 본문은 우리에게 귀한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마노아가 하나님의 사자에게 어떻게 아이를 교육하여야 할 것인가를 묻자 여호와의 사자는 이와 같은 대답을 합니다. “(삿13:14) 포도나무의 소산을 먹지 말며 포도주와 독주를 마시지 말며 무릇 부정한 것을 먹지 말아서 내가 그에게 명한 것은 다 지킬 것이니라” 물론 여기서 ‘명한 것’이란 하나님의 말씀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신6:6) 오늘날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신앙 교육이 배제된 교육은 곧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매우 어리석은 행위입니다. 현대 사회의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황금 만능주의, 이기주의, 세속주의 등은 신앙 교육이 배제된 가운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앙 교육은 고루하고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자녀들을 하나님 앞에 합한 사람으로 만드는 것이기에 의미 있는 최고의 투자인 것입니다. 적용
1. 우리 가정에서는 출세 지향적인 자녀 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는가 아니면 진정 올바른 가치관에 입각하여 자녀들을 교육하고 있는가
2. 현대를 바쁘게 살아가는 아버지로서 자녀 교육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최소한의 시간이라도 자녀에게 투자하는 가정 목회의 제사장들이 되어야 하니 않겠는가
3. 각자 가정의 형편에 맞는 신앙 교육 계획을 생각해 보자.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