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바벨론의 멸망 (계18:1-24)
본문
1.하나님께서는 성도가 이 세상의 것들을 사랑하는 것을 원하시 지 않는다.그래서 요일 2:15에 "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치 말라.누구든지 세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속에 있지 아니하니"라 하셨고,고후6:17-18에 "너희는 저희 중에서 나 와서 따로 있고 부정한 것을 만지지 말라.내가-너희에게 아버지 가 되고 너희는 내게 자녀가 되리라."고 하셨다.
2.성경에서 말하는 세상이란 세가지의 의미가 있다.정치적인 면, 종교적인 면,경제적인 면이 그것이다.계시록은 세상의 정치제도는 적그리스도가 이끌고,세상의 종교는 바벨론이라고 하는 큰 음녀 가 주관한다고 하였다.
3.음녀는 교회가 해당할 수도 있다.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참 생명 이 없이 제도에 의해 움직인다면 그것은 음녀다.
I.멸망이 선언되었다(1-3).
1.1절에 "이 일 후에"라고 하였는데,이것은 종교적 바벨론의 멸망 을 의미한다.
그런데 17장의 종교적바벨론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1)둘 다 적그리스도의 통치하에 있다는 점과 또 둘다 왕처럼 통 치하고 하나님을 배신하고 성도를 미워하며 그들의 피를 흘리고 끝내는 하나님의 심판대에 선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2)차이점은 17장의 바벨론은 여자,음녀,어미 등으로 표현한 반 면,18장의 바벨론은 처소,큰성,시장 등으로 묘사 된다.성경에는 바 벨론이라는 용어가 260번 이상 나오는데,예레미야50-51장에만 37 번이 나온다.
2.예레미야50:39-40에는 바벨론의 운명에 대해서 언급하는데,"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나 하나님이 소돔과 고모라와 그 이웃 성읍들 을 무너지게 한 것같이 거기 거하는 사람이 없게 하며 그 중에 우거하는 아무 인자가 없게 하리라"고 하였다.
3.아사야도 비슷한 예언을 하였는데,13:19,20에 "열국의 영광이요, 갈대아 사람의 노리개가 된 바벨론이 하나님께 멸망 당한 소돔과 고모라같이 되리니 그곳에 처할 자가 없겠고 거할 사람이 대대에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4.무너졌도다,무너졌도다 하며 되풀이하는 것은 완전한 파괴를 의 미하는 말이다.멸망한 후의 바벨론의 모습은 어떨까귀신과 더러 운 영과 새의 모이는 곳이 되었다고 하였다."새"는 마13:31,32에 악령을 상징한다고 하였다.모이 곳 은 음부 나 옥을 가리키는데, 완전한 폐허로 멸하게 될 이 땅을 상징한다.
5.바벨론 멸망의 원인을 3절은 세가지로 설명을 한다.
1)음행이다.이것은 영적인 음행인데 곧 우상숭배다.
2)정치지도자 문제다.정치인의 도덕적 부패를 말한다.
3)경제인들과 정치인의 결탁으로 인한 부정부패다.
II.행한대로 갚으셨다(4-8).
1.하나님께서는 범죄한 무리는 멸망시키지만 그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은 불러내어 구원하신다.
1)창7장에 홍수 전에 노아를 불러 방주를 준비시키셨다.
2)창19:12-14에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키시기 전에 롯을 불러 내 주셨다.
3)민16:23-26에 고라의 당을 멸망시키기 전에 선민들을 떠나게 하셨다.
4)예레미야에도 51:45에 비슷한 경우가 있다."나의 백성아 너희는 그 중에서 나와 각기 나 여호와의 진노에서 스스로 구원하라" 고 하셨다.
2.바벨론의 범죄는 세가지다.
1)자기를 영화롭게 하였다.
2)사치하였다.
3)교만하였다.
3.하나님의 심판은 "사람이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갈 6:7)"는 보응의 법칙에 기초 한다.
그런데 바벨론의 범죄에 대해서는 "그의 행위대로 갑절을 갚아(17:8)"준다고 하였다.
4.심판의 구체적 내용은 17:8에 "곧 사망과 애통과 흉년이라"고 하였다.이것은 그들의 행위에 비할 때 당연하다.그들은 고아와 과 부와 같은 약한 자들을 멸시했다.그리고 부를 가난한 자들과 나 누지 않았다.
III.바벨론이 완전히 망하였다(6-2
4).
1.바벨론의 멸망을 가슴아파한 무리가 있었다.
첫째는 왕들이었고,
둘째는 장사하는 상인들이었고,
셋째는 바다의 선장과 선원 그리고 여행객들이라고 하였다.이들이 울며 슬퍼한 이유는 무엇일까 장사하는 사람들은 사업의 상대가 없어졌기 때문일 것이고,나머 지 사람들은 자신들이 받을 고통을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2.여기에 나오는 상인들의 상품내용을 보면 모두 28가지의 목록 이 나오는데,이것을 일곱 범주로 나눌수 있다.
1)각종 보석류(금,은,보석,진주)
2)각종 의류(세마포,자주비단,붉은 옷감).
3)각종 기명(향목,상아,진유,철,옥석기명) 4)각종 향품(계피,향료,향유,유황) 5)각종 식류품(포도주,감람유,고운 밀가루,밀) 6)각종 운반 도구(소,말,수레,노
예) 7)사람의 영혼
3.
그런데 상품중에 사람의 영혼이 있다는 것이 좀 이상하다.그런데 공공연히 사람이 상품으로 취급받았다는 사실이다.
4.20절에는 애통하는 세 부류의 사람들과는 달리 기뻐하는 성도 들이 나온다.
왜냐하면 바벨론의 멸망은 곧 성도들에게 구원의 날 이기 때문이다.이 날은 그들이 그토록 기도하며 손꼽아 기다렸던 응답의 날이기도 하다.
5.21절에는 한 힘센 천사가 큰 맷돌을 바다에 들어 던지면서 가 라앉은 후에 다시 뜰 수 없음을 보여 준다.이것은 영원한 멸망임 을 보여주는 시청각 효과라고 하겠다. 6.멸망한 바벨론의 모습이 표현되었다.
1)음악소리가 들리지 않았다.예술의 종말이다.
2)세공업자가 보이지 않았다. 모든 사업이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3)맷돌소리가 그쳤다.제조업의 종말이다.
4)불빛이 사라졌다.완전한 폐허를 말한다. 5)신랑과 신부의 음성이 들리지 않는다.가정이 파괴되었다.
2.성경에서 말하는 세상이란 세가지의 의미가 있다.정치적인 면, 종교적인 면,경제적인 면이 그것이다.계시록은 세상의 정치제도는 적그리스도가 이끌고,세상의 종교는 바벨론이라고 하는 큰 음녀 가 주관한다고 하였다.
3.음녀는 교회가 해당할 수도 있다.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참 생명 이 없이 제도에 의해 움직인다면 그것은 음녀다.
I.멸망이 선언되었다(1-3).
1.1절에 "이 일 후에"라고 하였는데,이것은 종교적 바벨론의 멸망 을 의미한다.
그런데 17장의 종교적바벨론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1)둘 다 적그리스도의 통치하에 있다는 점과 또 둘다 왕처럼 통 치하고 하나님을 배신하고 성도를 미워하며 그들의 피를 흘리고 끝내는 하나님의 심판대에 선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2)차이점은 17장의 바벨론은 여자,음녀,어미 등으로 표현한 반 면,18장의 바벨론은 처소,큰성,시장 등으로 묘사 된다.성경에는 바 벨론이라는 용어가 260번 이상 나오는데,예레미야50-51장에만 37 번이 나온다.
2.예레미야50:39-40에는 바벨론의 운명에 대해서 언급하는데,"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나 하나님이 소돔과 고모라와 그 이웃 성읍들 을 무너지게 한 것같이 거기 거하는 사람이 없게 하며 그 중에 우거하는 아무 인자가 없게 하리라"고 하였다.
3.아사야도 비슷한 예언을 하였는데,13:19,20에 "열국의 영광이요, 갈대아 사람의 노리개가 된 바벨론이 하나님께 멸망 당한 소돔과 고모라같이 되리니 그곳에 처할 자가 없겠고 거할 사람이 대대에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4.무너졌도다,무너졌도다 하며 되풀이하는 것은 완전한 파괴를 의 미하는 말이다.멸망한 후의 바벨론의 모습은 어떨까귀신과 더러 운 영과 새의 모이는 곳이 되었다고 하였다."새"는 마13:31,32에 악령을 상징한다고 하였다.모이 곳 은 음부 나 옥을 가리키는데, 완전한 폐허로 멸하게 될 이 땅을 상징한다.
5.바벨론 멸망의 원인을 3절은 세가지로 설명을 한다.
1)음행이다.이것은 영적인 음행인데 곧 우상숭배다.
2)정치지도자 문제다.정치인의 도덕적 부패를 말한다.
3)경제인들과 정치인의 결탁으로 인한 부정부패다.
II.행한대로 갚으셨다(4-8).
1.하나님께서는 범죄한 무리는 멸망시키지만 그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은 불러내어 구원하신다.
1)창7장에 홍수 전에 노아를 불러 방주를 준비시키셨다.
2)창19:12-14에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키시기 전에 롯을 불러 내 주셨다.
3)민16:23-26에 고라의 당을 멸망시키기 전에 선민들을 떠나게 하셨다.
4)예레미야에도 51:45에 비슷한 경우가 있다."나의 백성아 너희는 그 중에서 나와 각기 나 여호와의 진노에서 스스로 구원하라" 고 하셨다.
2.바벨론의 범죄는 세가지다.
1)자기를 영화롭게 하였다.
2)사치하였다.
3)교만하였다.
3.하나님의 심판은 "사람이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갈 6:7)"는 보응의 법칙에 기초 한다.
그런데 바벨론의 범죄에 대해서는 "그의 행위대로 갑절을 갚아(17:8)"준다고 하였다.
4.심판의 구체적 내용은 17:8에 "곧 사망과 애통과 흉년이라"고 하였다.이것은 그들의 행위에 비할 때 당연하다.그들은 고아와 과 부와 같은 약한 자들을 멸시했다.그리고 부를 가난한 자들과 나 누지 않았다.
III.바벨론이 완전히 망하였다(6-2
4).
1.바벨론의 멸망을 가슴아파한 무리가 있었다.
첫째는 왕들이었고,
둘째는 장사하는 상인들이었고,
셋째는 바다의 선장과 선원 그리고 여행객들이라고 하였다.이들이 울며 슬퍼한 이유는 무엇일까 장사하는 사람들은 사업의 상대가 없어졌기 때문일 것이고,나머 지 사람들은 자신들이 받을 고통을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2.여기에 나오는 상인들의 상품내용을 보면 모두 28가지의 목록 이 나오는데,이것을 일곱 범주로 나눌수 있다.
1)각종 보석류(금,은,보석,진주)
2)각종 의류(세마포,자주비단,붉은 옷감).
3)각종 기명(향목,상아,진유,철,옥석기명) 4)각종 향품(계피,향료,향유,유황) 5)각종 식류품(포도주,감람유,고운 밀가루,밀) 6)각종 운반 도구(소,말,수레,노
예) 7)사람의 영혼
3.
그런데 상품중에 사람의 영혼이 있다는 것이 좀 이상하다.그런데 공공연히 사람이 상품으로 취급받았다는 사실이다.
4.20절에는 애통하는 세 부류의 사람들과는 달리 기뻐하는 성도 들이 나온다.
왜냐하면 바벨론의 멸망은 곧 성도들에게 구원의 날 이기 때문이다.이 날은 그들이 그토록 기도하며 손꼽아 기다렸던 응답의 날이기도 하다.
5.21절에는 한 힘센 천사가 큰 맷돌을 바다에 들어 던지면서 가 라앉은 후에 다시 뜰 수 없음을 보여 준다.이것은 영원한 멸망임 을 보여주는 시청각 효과라고 하겠다. 6.멸망한 바벨론의 모습이 표현되었다.
1)음악소리가 들리지 않았다.예술의 종말이다.
2)세공업자가 보이지 않았다. 모든 사업이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3)맷돌소리가 그쳤다.제조업의 종말이다.
4)불빛이 사라졌다.완전한 폐허를 말한다. 5)신랑과 신부의 음성이 들리지 않는다.가정이 파괴되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