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강해39 (창39:1-23)
본문
오늘 읽었던 창세기 39장은 보디발의 집에서의 요셉이 행한 일들에 대해서 말씀을 합니다. 1-6절은 보디발의 집에 팔려가서 일하는 모습을, 7-18절은 보디발의 아내의 유혹을 거절하므로 누명을 쓰고 감옥에 들어가는 모습과, 19-23절은 옥속에서 일어난 일들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1.보디발의 집에 팔려간 요셉(1-6절) 요셉에 형제들에 의하여 보디발의 집에 종으로 팔려갔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열심히 일했고, 보디발은 자기 아내외에 모든 것을 맡기어서 그 살림을 주관하게 했습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우리들이 무엇을 알수 있습니까
1어떤 사람, 어떤 삶이 있어야 하는가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믿고 맡기는 사람이 되자는 것입니다(4,6절) 4절에 보면, 요셉으로 가정 총무를 삼고 자기 소유를 다 그 손에 위임했다고 했습니다. 6절에 보면, 주인이 그 소유를 다 요셉에 손에 위임하고 자기 식료 외에는 간섭하지 않았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맡긴다’는 것은 믿지 아니하고서는 맡길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요셉은 밖에 나가서 사온 종입니다. 종이 마음만 먹으면 무슨 나쁜일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도 보디발은 자기의 모든 것을 그에게 맡겼습니다. 믿을만 하니까 맡기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도 여호와 하나님께서나 사람들에게서 맡기는자가 되어야 합니다. 맡긴다는 것은 어떤 일을 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또 무엇을 준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어떤 일을 하게 하실때에, 또는 무엇을 주실때에 무턱대고 주시거나, 하게하시지 않습니다. (마 7:6) 거룩한 것을 개에게 주지 말며 너희 진주를 돼지 앞에 던지지 말라 저희가 그것을 발로 밟고 돌이켜 너희를 찢어 상할까 염려하라 왜 그렇습니까 줘봤자 그것의 가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 사람이 누리게 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주었을 때에 주신것의 가치를 알게되는 만큼 주님은 주셔서 누리게 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왜 안맡기나 왜 안주시나 왜 나는 들어쓰시지 않는가하기 이전에 그렇게 할수 있는 그릇을 준비하는 일이 있어야 합니다. (딤후 2:20) 큰 집에는 금과 은의 그릇이 있을 뿐 아니요 나무와 질그릇도 있어 귀히 쓰는 것도 있 고 천히 쓰는 것도 있나니 (딤후 2:21)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런 것에서 자기를 깨끗하게 하면 귀히 쓰는 그릇이 되어 거룩하 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선한 일에 예비함이 되리라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 쓰임에 합당한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맡길 때 믿고 맡기기 때문입니다. 여러분과 저도 요셉에게 믿고 맡겼던 일이 있었던 것처럼 우리를 보시고 믿고 맡길수 있는자가 되어집시다. ㉯나로 인하여 복받게 하는자 되자는 것입니다(5절) 보디발의 집이 요셉으로 인하여 큰 복을 받게 되었습니다. 물론 보디발을 복주시려고가 아니라, 보디발의 집에 있는 요셉을 복주심의 결과들로 그렇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즉 요셉으로 인하여 보디발의 집이 복을 받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나 한 사람이 어떠하냐에 따라 그 가정이, 그 교회가, 그 나라의 복이 주어지느냐, 주어지지 않느냐가 달려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들은 예수 믿는 내가 있기에 그 가정이 잘되고, 그 교회가 잘되고, 그 직장이 잘되고, 그 나라가 잘되게 해야 합니다. 바울이 무엇이라 말합니까 (고전 10:32) 유대인에게나 헬라인에게나 하나님의 교회에나 거치는 자가 되지 말고 (고전 10:33) 나와 같이 모든 일에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여 나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고 많은 사람 의 유익을 구하여 저희로 구원을 얻게 하라
사랑하는 여러분! 여러분들을 지금 있는곳 처소에 세우심은 여러분들을 인하여 그 가정이 복받게 하시려고, 여러분들로 인하여 그 교회가 부흥하고 성장하게 하시려고 그곳에 세웠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우리들은 복의 근원으로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이 나를 인하여 복을 주실수 밖에 없게 해야 합니다.
2그렇게 되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내 일같이 여기고 행하여야 합니다. 사람들은 내것이라고 여겨지면 아끼지 아니하고 힘써서 일합니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경제적인 면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하면 자본주의는 내가 하는 것 만큼 내것이 되기 때문에 어떻게 하든지 자기의 것으로 삼으려 하기 때문에 일에 능률이 많이 오릅니다. 그러나 공산주의는 내가 아무리 해도 그것이 내것이 아니되기 때문에 대강, 적당히가 나올수 밖에 없고, 결국은 능률이 오를수 없습니다. 오늘 본문의 요셉은 보디발의 일로 여기지 아니하고, 자기의 일로, 자기 집의 일을 하듯 열심히 하였습니다. 즉, 그는 종으로 팔려갔지만 종이 아니라 그가 주인으로 여기고, 내 일로 여기고 열심히 하였기 때문에 보디발의 눈에 인정을 받을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우리가 바로 이런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내가 행하는 그 일이 어떤 일이든 그 일을 남의 일로, 누구의 일로 여기지 말고 열심히 하면 어디서든, 누구든 믿고 맡길수 밖에 없습니다. 또 내것같이 여기고 열심히 하는 그가 있는 곳이 복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성경은 무엇이라 말씀하십니까 (눅 10:27) 대답하여 가로되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 아니 오히려 어떤 마음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합니까 (빌 2:3)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빌 2:4) 각각 자기 일을 돌아볼 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아보아 나의 기쁨을 충만 케 하라 만약에 내 유익만 따지고, 내 이득만 다진다면 나는 인정을 받을수 없고, 내가 있는 그곳은 복될수 없습니다. 내 일같이 해야 한다. 또 우리들이 하나님의 몸된 교회를 세워 나갈때에 내가 속한 교회에 내가 주인 의식을 가지고 다니고, 참여해야 한다. 손님으로 다니면 정이 들지 아니하고 은혜를 받지 못한다. 우리들은 손님으로 교회를 다녀서는 안된다. 주인으로, 내 몸된 교회로 여기고 다닐때에 은혜가 있고, 교회가 사랑스럽고, 교회를 위하여 충성, 헌신, 봉사를 할수 있습니다. ㉯하나님앞에서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요셉이 보디발의 집에서 일을 하면서 누구를 의식하며 일했느냐 하면, 보디발보다는 보디발 위에 계신 하나님을 의식하며 그는 하나님앞에서 열심히, 최선을 다하여 일하였음을 볼수 있습니다. 9절 말씀에 보면 그는 ‘하나님 앞에서 득죄’할수 없다고 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즉 요셉이 하나님앞에서 일을 했다는 것은 무엇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까 하나님께서 그에게 그 일을 맡겨 주셨다는 청지기 의식을 가지고 살아 갔다는 것입니다. 그냥 단순히 보디발이 맡긴 것으로 보지 않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에게 맡겨주신 일입니다. 그렇습니다. 여러분들이 가정에서 무슨 일을 하든 그 일은 하나님께서 여러분에게 맡겨 주신 일입니다. 교회에서 어떤 일을 하든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일입니다.
그러므로 무슨 일을 하든 우리들은 주님을 의식해야 하고, 주님이 맡겨주신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늘 인식하며 일해야 합니다. (골 3:22) 종들아 모든 일에 육신의 상전들에게 순종하되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와 같이 눈가림만 하지 말고 오직 주를 두려워하여 성실한 마음으로 하라 (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뿐만 아니라 왜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것입니까 그것을 통해서 복되게 하시기 위해서입니다. 우리가 창세기 전체를 볼때에 요셉이 보디발의 집에 팔려가지 않고, 그가 그곳에서 열심히 일하지 아니했다면 그는 애굽의 국무총리의 자리에 설수 없었음을 볼수 있습니다. 그가 그에게 맡겨진 일을 열심히 했기에 그런 결과들이 나온 것입니다. 요셉은 누구를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영혼의 유익을 위하여, 자기의 복을 위하여 열심히 한 것입니다. 신앙생활을 우리들이 하나님앞에서 열심히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우리들도 그런 믿음의 역사들을 누리며 살게 되어 있습니다. 누구를 위해서 한다고 하지 말고, 내 영혼을 위하여, 내 영혼의 때를 위하여 열심히 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이 주시는 큰 은혜와 복 가운데 거하는 삶이 되기를 바랍니다.
1.보디발의 집에 팔려간 요셉(1-6절) 요셉에 형제들에 의하여 보디발의 집에 종으로 팔려갔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열심히 일했고, 보디발은 자기 아내외에 모든 것을 맡기어서 그 살림을 주관하게 했습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우리들이 무엇을 알수 있습니까
1어떤 사람, 어떤 삶이 있어야 하는가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믿고 맡기는 사람이 되자는 것입니다(4,6절) 4절에 보면, 요셉으로 가정 총무를 삼고 자기 소유를 다 그 손에 위임했다고 했습니다. 6절에 보면, 주인이 그 소유를 다 요셉에 손에 위임하고 자기 식료 외에는 간섭하지 않았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맡긴다’는 것은 믿지 아니하고서는 맡길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요셉은 밖에 나가서 사온 종입니다. 종이 마음만 먹으면 무슨 나쁜일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도 보디발은 자기의 모든 것을 그에게 맡겼습니다. 믿을만 하니까 맡기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도 여호와 하나님께서나 사람들에게서 맡기는자가 되어야 합니다. 맡긴다는 것은 어떤 일을 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또 무엇을 준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어떤 일을 하게 하실때에, 또는 무엇을 주실때에 무턱대고 주시거나, 하게하시지 않습니다. (마 7:6) 거룩한 것을 개에게 주지 말며 너희 진주를 돼지 앞에 던지지 말라 저희가 그것을 발로 밟고 돌이켜 너희를 찢어 상할까 염려하라 왜 그렇습니까 줘봤자 그것의 가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 사람이 누리게 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주었을 때에 주신것의 가치를 알게되는 만큼 주님은 주셔서 누리게 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왜 안맡기나 왜 안주시나 왜 나는 들어쓰시지 않는가하기 이전에 그렇게 할수 있는 그릇을 준비하는 일이 있어야 합니다. (딤후 2:20) 큰 집에는 금과 은의 그릇이 있을 뿐 아니요 나무와 질그릇도 있어 귀히 쓰는 것도 있 고 천히 쓰는 것도 있나니 (딤후 2:21)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런 것에서 자기를 깨끗하게 하면 귀히 쓰는 그릇이 되어 거룩하 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선한 일에 예비함이 되리라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 쓰임에 합당한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맡길 때 믿고 맡기기 때문입니다. 여러분과 저도 요셉에게 믿고 맡겼던 일이 있었던 것처럼 우리를 보시고 믿고 맡길수 있는자가 되어집시다. ㉯나로 인하여 복받게 하는자 되자는 것입니다(5절) 보디발의 집이 요셉으로 인하여 큰 복을 받게 되었습니다. 물론 보디발을 복주시려고가 아니라, 보디발의 집에 있는 요셉을 복주심의 결과들로 그렇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즉 요셉으로 인하여 보디발의 집이 복을 받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나 한 사람이 어떠하냐에 따라 그 가정이, 그 교회가, 그 나라의 복이 주어지느냐, 주어지지 않느냐가 달려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들은 예수 믿는 내가 있기에 그 가정이 잘되고, 그 교회가 잘되고, 그 직장이 잘되고, 그 나라가 잘되게 해야 합니다. 바울이 무엇이라 말합니까 (고전 10:32) 유대인에게나 헬라인에게나 하나님의 교회에나 거치는 자가 되지 말고 (고전 10:33) 나와 같이 모든 일에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여 나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고 많은 사람 의 유익을 구하여 저희로 구원을 얻게 하라
사랑하는 여러분! 여러분들을 지금 있는곳 처소에 세우심은 여러분들을 인하여 그 가정이 복받게 하시려고, 여러분들로 인하여 그 교회가 부흥하고 성장하게 하시려고 그곳에 세웠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우리들은 복의 근원으로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이 나를 인하여 복을 주실수 밖에 없게 해야 합니다.
2그렇게 되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내 일같이 여기고 행하여야 합니다. 사람들은 내것이라고 여겨지면 아끼지 아니하고 힘써서 일합니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경제적인 면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하면 자본주의는 내가 하는 것 만큼 내것이 되기 때문에 어떻게 하든지 자기의 것으로 삼으려 하기 때문에 일에 능률이 많이 오릅니다. 그러나 공산주의는 내가 아무리 해도 그것이 내것이 아니되기 때문에 대강, 적당히가 나올수 밖에 없고, 결국은 능률이 오를수 없습니다. 오늘 본문의 요셉은 보디발의 일로 여기지 아니하고, 자기의 일로, 자기 집의 일을 하듯 열심히 하였습니다. 즉, 그는 종으로 팔려갔지만 종이 아니라 그가 주인으로 여기고, 내 일로 여기고 열심히 하였기 때문에 보디발의 눈에 인정을 받을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우리가 바로 이런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내가 행하는 그 일이 어떤 일이든 그 일을 남의 일로, 누구의 일로 여기지 말고 열심히 하면 어디서든, 누구든 믿고 맡길수 밖에 없습니다. 또 내것같이 여기고 열심히 하는 그가 있는 곳이 복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성경은 무엇이라 말씀하십니까 (눅 10:27) 대답하여 가로되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 아니 오히려 어떤 마음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합니까 (빌 2:3)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빌 2:4) 각각 자기 일을 돌아볼 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아보아 나의 기쁨을 충만 케 하라 만약에 내 유익만 따지고, 내 이득만 다진다면 나는 인정을 받을수 없고, 내가 있는 그곳은 복될수 없습니다. 내 일같이 해야 한다. 또 우리들이 하나님의 몸된 교회를 세워 나갈때에 내가 속한 교회에 내가 주인 의식을 가지고 다니고, 참여해야 한다. 손님으로 다니면 정이 들지 아니하고 은혜를 받지 못한다. 우리들은 손님으로 교회를 다녀서는 안된다. 주인으로, 내 몸된 교회로 여기고 다닐때에 은혜가 있고, 교회가 사랑스럽고, 교회를 위하여 충성, 헌신, 봉사를 할수 있습니다. ㉯하나님앞에서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요셉이 보디발의 집에서 일을 하면서 누구를 의식하며 일했느냐 하면, 보디발보다는 보디발 위에 계신 하나님을 의식하며 그는 하나님앞에서 열심히, 최선을 다하여 일하였음을 볼수 있습니다. 9절 말씀에 보면 그는 ‘하나님 앞에서 득죄’할수 없다고 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즉 요셉이 하나님앞에서 일을 했다는 것은 무엇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까 하나님께서 그에게 그 일을 맡겨 주셨다는 청지기 의식을 가지고 살아 갔다는 것입니다. 그냥 단순히 보디발이 맡긴 것으로 보지 않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에게 맡겨주신 일입니다. 그렇습니다. 여러분들이 가정에서 무슨 일을 하든 그 일은 하나님께서 여러분에게 맡겨 주신 일입니다. 교회에서 어떤 일을 하든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일입니다.
그러므로 무슨 일을 하든 우리들은 주님을 의식해야 하고, 주님이 맡겨주신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늘 인식하며 일해야 합니다. (골 3:22) 종들아 모든 일에 육신의 상전들에게 순종하되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와 같이 눈가림만 하지 말고 오직 주를 두려워하여 성실한 마음으로 하라 (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뿐만 아니라 왜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것입니까 그것을 통해서 복되게 하시기 위해서입니다. 우리가 창세기 전체를 볼때에 요셉이 보디발의 집에 팔려가지 않고, 그가 그곳에서 열심히 일하지 아니했다면 그는 애굽의 국무총리의 자리에 설수 없었음을 볼수 있습니다. 그가 그에게 맡겨진 일을 열심히 했기에 그런 결과들이 나온 것입니다. 요셉은 누구를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영혼의 유익을 위하여, 자기의 복을 위하여 열심히 한 것입니다. 신앙생활을 우리들이 하나님앞에서 열심히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우리들도 그런 믿음의 역사들을 누리며 살게 되어 있습니다. 누구를 위해서 한다고 하지 말고, 내 영혼을 위하여, 내 영혼의 때를 위하여 열심히 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이 주시는 큰 은혜와 복 가운데 거하는 삶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