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것이 없어도 감사 (합3:16-19)
본문
아무 것이 없어도 감사 하박국 3장 16절-19절
16. 내가 들을 때에 내 배가 떨었으며 그 목소리로 인하여 내 입술이 떨렸도다. 썩게 하는 것이 내 뼈 속으로 들어오매 내가 내 속에서 떨었나니 이것은 고난의 날에 내가 안식 하려 함이라. 그가 백성에게로 올라올 때에 자기 군대로 그들을 침략하리라.
17. 비록 무화과나무가 꽃을 피우지 못하고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올리브 나무에 수고의 열매가 없고 밭이 먹을 것을 내지 아니하며 우리에서 양 떼가 끊어지고 외양간에 소 떼가 없을지라도
18. 나는 여전히 {창조주}를 기뻐하며 내 구원의 [하나님]을 기뻐하리로다.
19. {창조주} [하나님]은 나의 힘이시니 그분께서 나의 발을 암 사슴의 발 같게 하사 나를 나의 높은 곳들에서 다니게 하시리다. 이 노래는 내 현 악기들에 맞추어 우두머리 노래하는 자에게 준 것이니라.
추석(중추절)의 의미는 한 해 동안 농사한 곡식과 과일로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것입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감사라고 하는 단어는 생소한 단어가 아닙니다. 늘 입에 달고 다니는 말이요, 단어입니다. 그러나 실상은 감사가 사라진 시대에 살고 있다고 혹자는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성경을 통하여 온전한 감사가 무엇인지 상고하며 은혜를 나누기를 원합니다.
오늘 말씀에 하박국 선지자는 어떠한 모습으로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있습니까? 그 당시 상황을 보면 도저히 감사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바벨론 대 제국이 유다를 침략하는 시대입니다. 즉, 바벨론의 침략으로 유다가 멸망당하는 공포와 두려운 상황 속에도 불구하고 하박국 선지자는 하나님께 온전히 감사하고 있었습니다.
오늘 본문말씀을 보면 신앙인의 참 감사가 무엇인가를 역력히 보여주는 감동적인 내용입니다. 이에 비해서 우리들의 신앙체질은 너무 허약하고 미숙함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뜨거운 감사가 없습니다. 행여 감사할지라도 너무 감정적이고, 조건적입니다. 그러나 오늘 하박국 선지자는 고난과 두려움 가운데서도 하나님께 감사하며 찬양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 온전한 감사는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환난 가운데 드리는 감사
본문 말씀 16절 “내가 들을 때에 내 배가 떨었으며 그 목소리로 말미암아 내 입술이 떨렸도다. 썩게 하는 것이 내 뼈 속으로 들어오매 내가 내 속에서 떨었나니 이것은 고난의 날에 내가 안식 하려 함이라. 그가 백성에게로 올라올 때에 자기 군대로 그들을 침략하리라.” 라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다가올 환난이 얼마나 두렵고 무서우면 창자가 흔들리고, 입술이 떨리고, 뼈가 썩으며, 내 몸의 처소가 떨린다고 고백했겠습니까? 그러나 하박국 선지자는 그런 환란을 눈 앞에 두고도 감사와 찬양을 하나님께 돌리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환란 가운데서 드리는 감사, 찬양, 이것이 온전한 감사가 아니겠습니까?
예> 한 소녀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태어날 때부터 소아마비로 인해 걷지 못하고 언제나 휄체어에 의지하는 한 소녀가 늘 기쁘고 맑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질문을 했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밝게 살 수 있나요? 그러자 그 소녀가 말했습니다. “비록 제가 걷지는 못하지만, 아름다운 세상을 볼 수 있는 눈이 있음을 감사하고, 목소리로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어 감사하고, 아빠, 엄마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래서 저는 걷지는 못해도 모든 것이 감사합니다”라고 고백하는 것입니다. 얼마나 아름다운 고백입니까? 비록 걷지 못하는 불구의 인생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사하는 모습, 우리에게 도전을 주지 않습니까? 환난 가운데 찬양과 감사를 돌리는 가정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2) 없음에도 드리는 감사
본문 17절에 보면 “비록 무화과나무가 꽃을 피우지 못하고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올리브 나무에 수고의 열매가 없고 밭이 먹을 것을 내지 아니하며 우리에서 양 떼가 끊어지고 외양간에 소 떼가 없을지라도”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말씀입니다. 먹을 것도, 양식도, 사업장도 모든 것이 없다는 말입니다. 인생으로 비유하자면 철저하게 부서진 인생을 의미합니다. 가정으로 표현한다면 풍비박산된 가정이라고 하면 되는 상황입니다. 정말 희망이 보이지 않는 상황 속에서 감사할 수 있겠습니까? 성공하고 풍성한 가운데는 쉽게 감사하며 신앙생활을 할 수 있지만, 아무 것도 없는 고난 가운데 감사하며 살기란 어렵습니다. 그러나 온전한 감사는 비록 가진 것이 없을 지라도, 즉 아무 것도 없는 가운데 드리는 감사입니다.
누가복음 17장 11절 이하에 보면 10명의 문둥병자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10명이 다 고침을 받았으나 9명은 그냥 가고 한 사람, 사마리아 사람만 돌아와서 예수께 감사했다는 내용입니다. 그중 16절을 보면 “예수의 발 아래 엎드리어 사례하니...”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한 명의 문둥병자가 무엇을 가지고 와서 사례했겠습니까? 금은보화를 가지고 와서 사례했을까요? 아니요. 눈물과 진심으로 사례하며 감사했을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바록 가진 것은 없지만, 아무 것도 없지만 진정으로 마음을 다해 드리는 감사가 온전한 감사인 것입니다.
3) 하나님의 구원에 감사
마지막으로 온전한 감사는 하나님의 구원에 감사하며 사는 인생입니다. 18절 “나는 여전히 {창조주}를 기뻐하며 내 구원의 [하나님]을 기뻐하리로다”라고 하박국 선지자는 고백하고 있습니다.
현실은 두려움과 무서움이지만 그래도 감사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이 나를 구원하셨다는 신앙으로 인한 것입니다.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그리스도인으로서 영적인 하나님의 은혜를 바라보십시오.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에서 영원한 생명의 길로 인도하신 그 은혜를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때때로 하나님이 주신 구원의 은혜를 잊고 살지는 않습니까? 한 번 우리들의 삶을 돌아보길 원합니다. 우리의 눈을 들어 나의 힘, 나의 구원이신 하나님을 우러러 바라보며 온전히 감사하는 가정이 되길 소원합니다.
온전한 감사는 구원의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입니다. 그 구원을 감사하고 감격하는 것입니다. 민족 고유의 명절인 추석(중추절)을 맞이해서 풍성함을 허락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인생에 환난이 닥쳐와도, 비록 가진 것이 아무 것도 없을 지라도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의 손길을 바라보며 온전한 감사를 할 수 있는 삶이 되시기를 우리 주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아멘.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