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흘림의 제사"(히 9:11-22)
본문
"피흘림의 제사"(히 9:11-22)
본문은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희생제물로 오셨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11 절 말씀에 <그리스도께서 장래 좋은 일의 대제사장으로 오셨다>고 말씀하고 있으며 12절 말씀에는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아니하고 오직 자기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 사 단번에 성소에 들어 가셨느니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의 피로 우리의 모든 죄를 속죄하였다고 본문은 우리에게 말하고 있습니다. 13절과 14절 에 보면 희생제물인 짐승의 피로도 죄사함을 얻는데 하물며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죄사함을 얻지 못하겠느냐고 반문하고 잇습니다.
<염소와 황소의 피와 및 암송아지의 재로 부정한 자에게 뿌려 그 육체를 정결케하여 거룩케하거든 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 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계신 하나님을 섬기지 못하게 하겠느뇨?> 그러니까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우리의 모든 죄가 사함을 받았다는 것을 믿으라고 본문은 우리에게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하여 그는 새 언약의 중보를 이루었으며 우리로 하여금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셨습니다. 그 의 새언약은 우리로 하여금 멸망받지 아니하고 영생을 얻게 하려하심인 것입니다. 우 리로 하여금 죽지 아니하고 영원히 살수 있는 길을 주님은 우리에게 보이신 것입니 다. 16절과 17절에 유언은 죽은 후에라야 효력이 있다는 말씀이 있습니다. 사실 유언은 죽음이후에 그 법적인 효력을 발생합니다. 헬라어 원어 성경에 이 유언의 의미는 곧 그리스도의 언약, 약속이라는 뜻입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이 세운 새 언약을 성취하시기 위해서 자신의 죽음을 그 대속물로 주셨다고 하는 의미입니다. 그는 우리를 살리시기 위해서 우리를 대신하여 죽으신 것입니다. 22절 후반부에
"피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를 감당하시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셨으며 우 리의 죄를 위하여, 나의 죄를 위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입니다. 그는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그가 약속한 새 언약을 이루셨습니다. 우리는 언약의 백성들입니다. 우리 는 같은 점보다는 서로 다른점이 많습니다. 성격도 다르고 직업도 다르고 학벌도 다 르고 출신 성분도 다릅니다. 그런 우리가 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가장 큰 공통점 은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의 피로 죄사함을 얻었다는데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의 피로 우리의 모든 죄가 용서함을 받았으며 우리가 멸 망치 아니하고 영생을 얻을 수 있다는 분명한 확신을 가지고, 오는 사순절 네째주간 을 시작하면서 죄사함의 은총에 감사하고, 죄사함의 은총에 감격하여 하나님께 영광 을 드리고 우리는 서로 예수의 피로 한 몸을 되는 공동체를 이루어야 할것입니다. 예수의 피로 죄사함얻고 예수의 피로 한 몸을 이루는 사순절이 되시기를 기원합니 다. 아멘.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