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훈련

TOP
DOWN

제자훈련학교 14강 선교사

본문

 

제 14강 선교사


1. 선교사란? All christian is witness but all christian is not missionary.


(1)소명

 ①소명의 뜻(딤후1:7)

ㄱ. 구원을 위하여 부르시는 소명(눅5:32)

ㄴ. 복음을 위하여 부르시는 사명자로서의 소명(롬1:1)

ㄷ. 선교사로 파송받는 자로서의 소명(행13:2,3)

 ②그리스도인으로서의 소명

ㄱ. 복음으로 부르심(살후2:14)

ㄴ. 성령으로 부르심(요16:7,8)

ㄷ. 하나님의 종들을 통해 부르심(롬10:14,15)

 ③선교사로서의 소명

ㄱ. 소명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함(딤후1:11,12)

ㄴ. 교회의 부름이 있어야 함(행13:1-4)

(2)영적준비(빌4:8)

 ①영적준비의 필요성(고전2:4)

ㄱ. 하나님 나라는 말보다 능력에 있음

ㄴ. 영적인 능력을 통해 증거됨

ㄷ. 주님의 선교방법임

 ②선교의 능력을 받음(행1:8)

ㄱ. 성령의 권능으로 사역을 행함

ㄴ. 경건의 연습과 기도로써 받음

ㄷ. 말씀을 통해 받음

 ③능력을 받은 역사(행19:11,12)

ㄱ. 놀라운 교회 확장이 일어남

ㄴ. 아시아까지도 복음이 전파됨

 

 ♣ 1. 믿음(롬1: 17)

2. 경건(빌4: 8)

3. 헌신(롬12: 10)

4. 사랑(롬12: 20)

5. 기도(막9: 28, 29)

6. 은사(고전12: 31)

7. 말씀(시119: 48)


(3)인격적 준비(엡4: 1,2)

 ①겸손과 온유(빌2:3)

 ㄱ. 교만은 선교사역에 방해가 됨 ㄴ.온유한 자는 사람을 잘 사귐

 ②지도력(삼상17: 34,35) - 참고 인내하는 지도자가 되어야 함

 ③근 면(롬12:11) - 선교사는 자신의 생활을 다스려야 함

 ④봉 사(벧전4:10)- 어떤 직분이든 충성을 다해야 함

 ⑤건 강(고전6:15)- 육체의 건강은 하나님의 일에 필수적임

 ⑥윤 리(시119:128)- 세상의 유혹과 죄악에 빠지지 말아야 함

 ⑦학 문(행18:24) - 성경에의 학문이 선교의 기초임

 ⑧인 내(약1:4) - 참고 견디는 자가 최후에 승리함


(4)훈 련(행20: 31,32)

 ①신앙훈련(딤후1: 3-6)

 ㄱ. 기도의 훈련(눅18:1) ㄴ.말씀의 훈련(히4:12)ㄷ.경건의 훈련(딤전4: 7,8)

 ㄹ. 전도의 훈련(딤후4:2)

 ②언어훈련(딛2:8)- 선교지의 언어를 익힘

 ③상담훈련(요4: 7-26)

 ㄱ. 주님의 상담사역(요4: 7-26)ㄴ.상담과 복음전파(행16:27,28)

 ④말씀훈련(시119: 11)

 ㄱ. 성경읽기를 함 ㄴ.성경연구를 함 ㄷ.말씀대로 살기를 힘씀


(5)실 례(행13:1-3)

 ①요나(욘3: 2, 3) - 하나님의 이방선교 섭리가 나타남

 ②열두 제자(눅9: 6) - 초대교회의 기둥역활을 함

 ③바울(행13: 2,3) - 이방선교를 공식화 함

 ④바나바(행13: 2,3) - 바울사도를 도와 선교여행을 함

 ⑤빌립(행8:12) - 사마리아와 이디오피아에 선교함

 ⑥베드로(행15:7) - 구약교회와 신약교회의 중간 역할

 ⑦디모데(딤후4:15) - 순회 선교사임

 ⑧아볼로(행18: 24, 25) - 교회를 지적으로 든든히 세움

 ⑨무명의 선교사들(행8: 4)

 ㄱ. 안디옥 교회의 선교사들(행11:19-21)

 : 박해로 인해 성도들이 국외로 피신함 / 이방과 세계선교의 밑거름이 됨

 ㄴ. 버가모 교회의 선교사(계2:13) - 순교의 위협에도 그리스도를 잃지 않음

 ㄷ. 로마교회의 선교사들(롬1: 8-10)

 : 로마교회는 무명 평신도들의 전도로 세워짐 /작은 힘이나마 교회 발전에 큰 보탬을 줌

 

2. 선교사의 정의

1800년대 선교사, 스크랜톤

해방후 선교사, 간로우, 버라 영

1960년대 선교사, 피터 타비, 렌 퍁졸드 이글든

1990년대 선교사, 한국선교사의 구분, 한국선교사의 국제의식, 한국 선교사의 적응력


3. 한국 교회의 사명과 책임 : 세계의 복음화를 위하여 한국교회가 책임져야 할 이유들.

(1)교회가 성장하고 있기 때문(질적)

(2)한국교회는 약소 민족의 교회라고 하는 사실 때문이다.

(3)한국교회는 고난의 체험을 통해 형성된 영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4)흩어져 있는 한국인들(DIASPORA)이 있기 때문이다. - 4,300만 중 250여 만


4. 선교의 주요대상들

(1)도시의 사람들 : 과거나 오늘이나 사람들은 도시로 집중되고 있다. 특히 저개발 국가일수록도시 집중이 강하다.그러기에 사도바울도 도시를 선교의 거점으로 삼았던것이다.

(2)청소년들 : 50억 인구 가운데 20세 이하가 50% 이상된다.

(3)회교권 국가 : 근래에 들어서면서 회교는 매우 도전적으로 선교하고 있다.

(4)힌두교권

(5)불교권

(6)오지의 부족들

(7)공산권

(8)교회안에 있는 명목상의 그리스도인들(MOMINAL CHRISTIAN)

 오늘날 유럽의 교회는 주일날 예배에 5%만 나오고 있다.

 

♣한국교회 선교사 파송에 대한 맥가브란 박사의 충고

(1)영접할 인구 파악

(2)국가의 교세파악

(3)영접은 지도자에 따라 좌우된다.

(4)부분적 반응도에 의존하지 말라 - 기경작업, 국가와의 관계, 지원금확보, 헌신정도에 따라 지 역을 선택케 함.

(5)복음전파를 위해 보내라.

(6)시행착오(19세기 서구의 실수)를 다시 번복않도록 철저한 사명감을 가진 선교사를 배출하고,분명한 후원조직, 적합한 선교지 선정에 주의할 것을 말하고 있다.


5. 한국선교사의 문제점

(1)엄청난 포부

(2)서두름 - 훈련없는 파송

(3)겸손결여 - 남의 경험, 현지정보를 무시한다.

(4)주님 뜻 무시 - 경건 결여

(5)출세의 도구 - 경력축적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