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훈련학교 11강 그리스도인의 재능②
본문
Ⅱ. 은사개발
1. 은사(恩賜; Gift)의 원어
בוט (tob; 좋다, 선하다, 아름답다, 즐겁다)의 파생어. 선함, 좋음, 긍휼, (시25:7, 렘31:14). 선한 것, 최상의 것,(창45:23, 사1:19). 아름다움(33:19,호10:11) 부귀, 재산, (창24:10, 신6:11). 부함, 행복.(욥20:21, 잠11:10), 기쁨, 유래, (신28:47,사65:14)
διδωμι(didomi; 주다, 수여하다, 선물로 주다, 희생하다)의 파생어.
원뜻은 ‘주는 것, 지출’ (마6:1, 빌4:15) 이다. 선물(약1:17)
δωρεα (dorea) διδωμι의 파생어. 선물(요4:10, 히6:4).
Χαρισμα (charisma)
Χαριξομαι(charizomai; 자신의 친절을 보여주다, 은혜를 나타내다, 긍휼을 베풀다)의 파 생어. 은혜의 선물, 자신의 공로없이 받는 은혜, 신적, 은혜의 선물, 은사, (고전7:7, 고후1:11). 믿음이나 지식, 거룩, 덕의 선물, 은사, (롬1:11). 비상한 능력, 부여된 은총, (롬 12:6, 고전1:7).
2. 성령은사의 의미(고전12:11)
1)한 성령으로 주어짐(고전12:11)
①한 성령으로부터 주어짐
ㄱ.성령은 성부, 성자와 함께 독립된 인격체며 동등하고 동일한 하나님이심
ㄴ.은사를 주시는 분은 한 성령뿐임
②동일한 성령으로부터 주어짐
ㄱ.모든 은사는 동일한 권위를 가짐
ㄴ.모든 은사는 서로 협력하여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세우고 받들도록 해야 함
2)성령의 뜻대로 부여됨(고전12:11)
ㄱ.성령의 은사가 부여되는 방법
.성도의 믿음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성도들의 온전함을 위해 주심
.기도를 통해서 구할 것을 권면하고 있음
ㄴ.성령의 은사가 부여되는 이유 - 은사는 기도를 통해 이루어지며 성령의 뜻에 의함
ㄷ.성령의 뜻에 따라 부여되는 은사 - 그리스도의 영광을 높이기 위함임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해서임
3)각 사람에게 나누어 주심(고전12:11)
ㄱ.하나님의 뜻에 복종하는 자에게 은사를 주심
.물질을 가지고 성령을 살 수 없음.주님의 영광을 위해 살 때 은사를 주심
ㄴ.믿음을 가진 자에게 은사를 주심 - 하나님께 소망을 두는 자에게 은사를 주심
ㄷ. 기도하는 자에게 은사를 주심 - 구하는 동기가 순수할 때 은사를 주심
ㄹ.사랑하는 자에게 은사를 주심 - 은사는 ‘사랑을 따라 구하라’고 명하심(고전14:1)
3. 성령은사의 조건
1)신앙의 유익을 위해 주어짐(고전12:7)
①믿음의 확신을 가지게 함 - 진리의 말씀을 깨닫고 믿게 함, 구원의 확신을 가지게 함
②예수 그리스도의 지체가 되게 함 - 은사대로 하나님을 섬길 때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임
모든 성도는 그리스도의 지체로서 연합됨
③선교의 사명을 이루게 함 - 선교의 사명을 감당함에는 하나님의 능력으로 되는 것임
성령의 나타내심 없이는 충성된 봉사를 할 수 없음
2)간구하는 자에게 주어짐(고전12:3)
①약속되어진 성령의 은혜
ㄱ.성서로써 성령의 은혜를 약속해 주심(2:29) ㄴ.성령에 대한 약속은 지속적인(행2:39)
②간구하는 이들에게 주어짐
ㄱ.엘리사는 엘리야에게 영감이 갑절되게 간구함 ㄴ.간절한 기도는 성령께서 임하시는 통로임
ㄷ.회개하고 기도하면 성령을 받을 것임
③성령에 대한 약속은 지속적인(행2:39)
ㄱ.성령의 은사는 간절히 사모하여 기도해야 주어짐
ㄴ.복음전파를 위한 선한 믿음으로 구해야 함.
3)성도에게 주어짐(고전7:7)
①성도에게 주어짐
ㄱ.회개하는 믿음이 성도들에게 주어짐 ㄴ.회개하지 않는 불신자와는 무관함
②지체로서의 은사
ㄱ.성도는 개인의 은사를 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발견해야 함(딤전4:14)
ㄴ.은사의 협력이 있을 때 모든 지체가 조화를 이루며 능력 발함
ㄷ성령의 은사를 간직한 성도는 은사를 발전시켜야 함
③다양하게 주어짐
ㄱ.하나님은 성도마다 다양한 은사를 주심 ㄴ.은사대로 충직해야 함.
4)계속 선용해야 함(딤전4:14)
①은사는 사용되어야 함
ㄱ.각 사람에게 성령의 나타남은 유익을 위함임 ㄴ.은사를 사용할 때 주님께 칭찬의 대상이 됨
②조심하여 사용해야 함
ㄱ.은사는 겸손히 사용해야 함ㄴ.성경말씀에 벗어나지 않아야 함
ㄷ.예수, 복음전파와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하여 사용해야 함
ㄹ.교회 덕을 세우는 데 사용해야 함
5)향상 시켜야 함(딤후1:6)
①말씀연구-은사가 바르게 향상되는 길은 성경의 가르침과 통제를 받는 것임(딤후3:16,17)
②기도에 힘씀- 수시로 성령 안에서 기도하고 간구할 때 은사가 향상됨
③생각과 육신을 다스림-육신의 생각, 정욕과 자랑을 다스려 영의 일에 복종케 하는 것이은사를 향상 시키는 것임
④은사를 계속해서 사용함-은사를 능력과 사랑과 근신하는 마음으로 사용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사용할 때 향상됨
⑤더 큰 은사를 사모함-더 큰 은사를 사모할 때 하나님의 복음 사역에 쓰임받음
⑥헌신-하나님을 향하여 은사를 사용하고 헌신할 때 더 좋은 은사의 소유자로 쓰임받음
4. 은사의 종류(Ⅰ)
1)지혜(고전12:8-10)
①성경에서의 지혜의 말씀의 은사(왕상3:16-28)
ㄱ. 솔로몬은 하나님으로부터 지혜의 은사를 받아 다스림
ㄴ. 베드로가 주는 그리스도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고백함은 지혜의 은사임
ㄷ. 예수님을 시험하는 질문에 지혜의 말씀으로 대치하심(마22:21)
②지혜의 말씀의 은사란 무엇인가 - 성령님의 이끄심에 따라 나타나는 은사임
③지혜의 말씀에 대한 활용 - 교회의 유익을 위해서 씀(고전14:12)
전도사업을 받은 이는 지혜의 말씀의 은사를 간구해야 함
2)지식(고전12:8-10)
①지식의 말씀이란 무엇인가?(고전12:8)-지식의 말씀의 은사는 성령의 필요에 따라 계시해주실때만 알 수 있음
②성경에서의 ‘지식의 말씀’의 은사
ㄱ.엘리사는 지식의 말씀으로 아람 나라의 침공을 알아 이스라엘을 구함(왕하6:8-12)
ㄴ.베드로는 성령의 계시로 교회와 사도의 권위를 세움
ㄷ.예수님은 베드로에게 고기 낚는 것을 가르치심(눅5:4)
③‘지식의 말씀’의 은사의 활용(고전12:7) -지식의 말씀을 가지고 성도들의 고민을 상담하여 화목을 이룸.
3)믿음(고전12:8-10)
①믿음의 은사란 무엇인가?-특별한 은사로서 미래 일에 대한 뜻과 목적을 분간함
성령님으로 말미암아 절대적인 확신을 갖게 됨
②성경에서의 믿음의 은사-엘리야는 믿음의 은사로 비를 내리게 함(약5:17,18)
바울은 ‘산을 옮길만한 믿음’이 있어도 사랑이 없으면 소용없음을 가르침(고전13:2)
③믿음의 은사의 활용-어떤 어려움에서도 이겨 나갈 수 있음, 교회 성장을 촉진시킴.
4)병고침(고전12:8-10, 고전12:28, 30 행8:7-8)
①병고침의 은사란?(약5:14,15)
ㄱ. 병 고침은 모든 신도의 권리임 ㄴ.병 고침 은사는 교회에 유익을 가져옴
ㄷ.하나님의 권능이 역사하여 치유되는 것임
②성경에서의 병고침의 은사(마11:5)
ㄱ.스데반을 통한 큰 기사와 표적(행6:8)
ㄴ.빌립집사가 더러운 귀신을 쫓고 중풍과 앉은뱅이가 나음(행8:5-7)
③병고침의 은사의 활용
ㄱ.예수님께서 많은 신유 이적을 행하심 ㄴ.병고침의 은사로 전도에 힘써야 함
5)능력행함(고전12:8-10)
①능력 행함의 은사란(마17:20)
ㄱ.이적 또는 기적을 만듦 ㄴ.은사는 다른 성도들의 유익과 교회 덕을 위함
②성경에서의 능력 행함의 은사(출12:51)
ㄱ.모세가 애굽에서 이스라엘 구출시 이적을 행함(출7:8; 10:29)
ㄴ.여호수아가 군대를 이끌고 전투하던 중 태양이 공중에 머뭄(수10:12,13)
③능력행함의 은사의 활용
ㄱ.교회의 어려운 일을 해결함ㄴ.복음을 전파하기 위한 은사임
6)예언(고전12:8-10, 롬12:;6,)
①예언의 은사란 무엇인가?(고전12:3) - 예언은 미래를 알려주어 대비하게 함
②예언의 은사의 유익성
ㄱ.예언은 사람들에게 덕을 세워 줌(고전14:3)
ㄴ.예언은 믿는 자들을 위한 표적이므로 성도들은 사모해야 함
③예언의 자세-영을 분별하는 자는 예언이 사람으로부터 나온 것인지 분별해야 함
④예언의 활용-믿는 자에게 권면함(고전14:3), 사랑이 없으면 아무리 신비한 예언일지라도 소용없음(고전13:2)
7)영분별(고전12:8-10, 요일4:1)
①영 분별은 왜 필요한가?-말세 징조 중의 하나가 거짓 선지자기 때문임
②어떻게 영분별을 할 것인가?-예수그리스도를 시인해야 함, 성령의 열매를 맺어야 함
③영분별 은사의 활용-성도의 그릇됨을 꾸짖어 바로잡음(행5:1-10)
④영분별의 은사란 무엇인가? - 선과 악을 구분하여 의와 불의를 분명히 가르쳐 줌(히5:14)
8)방언(고전12:8-10, 행2:4, 행10:45-46)
①방언의 은사란 무엇인가?(고전14:2)
ㄱ.방언은 자신이 전혀 배우지 않았던 언어로 말하는 것임
ㄴ.방언은 영으로써 비밀을 하나님께 말하는 것임(고전14:2)
②방언은사의 한계
ㄱ.방언은 개인적인 것이기에 통역하지 않으면 타인에게 유익을 주지 못함
ㄴ.방언은 개인의 유익을 위한 것임(고전14:4)
③방언은사의 유익성(고전14:5)
ㄱ.개인의 영적 생활에 큰 유익을 줌ㄴ.방언은 영으로 비밀을 하나님께 고함(고전14:2)
ㄷ.자기의 덕을 세우는 것임(고전14:4)
④방언에 대한 자세
ㄱ.방언받은 개인은 활용하여 주께 영광 돌려야 함
ㄴ.교역자는 교회의 영적 질서를 위해 방언과 잘못 사용하는 은사를 바로 잡아야 함.
9)방언통역
①방언통역의 은사란?
ㄱ.방언이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해선 통역이 필요(고전14:5)
ㄴ.대개 방언 통역 은사는 방언받은 자에게 나타남
②방언통역의 효과(고전14:27)
ㄱ.방언통역으로 하나님의 예언을 들을 수 있음
③방언 통역의 활용
ㄱ.교회의 덕을 세우는 데 사용(고전14:26)
ㄴ.공중 예배에서 통역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함
은사의 종류(Ⅱ)
1)복음전하는 자(엡4:11-16)
①전도자의 의미
ㄱ.전도자는 복음을 증거하는 일임
ㄴ.전도자의 삶은 좋은 소식을 전하며, 하나님의 은혜와 평안의 복음을 전함
②복음 전도의 필요성
ㄱ.복음전도는 주님의 명령임 ㄴ.기쁨과 감사로써 복음전도를 해야 함
③복음전도의 방법
ㄱ.성령의 권능으로 사명을 다함(행1:8) ㄴ.사랑을 가지고 전도를 해야 함
2)목사(엡4:11-16)
①목사의 직무
ㄱ.목사는 장로, 교사, 감독으로서 직무를 수행하고 성도를 양육하며 복음을 전파해야 함
ㄴ.하나님 앞에 제사장으로 예배를 주관함 ㄷ.심방자로서 성도의 희로애락에 동참함
ㄹ.지도자로서 교회의 대내적인 문제를 해결함
②은사로서 목사직
ㄱ.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직분임 ㄴ.목사는 교회의 인정을 받아야 함
③목사의 유래
ㄱ.목사에 대해 성경은 언급하고 있음(엡4:11)
ㄴ.목사직은 초대교회의 감독자로서 교회에서 안수를 받음으로 인정됨
3)봉사하는 자
①교회의 봉사직분(행6:1-6)
ㄱ.모든 성도는 봉사의 은사를 받았음 ㄴ.봉사는 받은 직분대로 충실해야 함
②봉사 은사의 개념-ㄱ.봉사란 실제적인 행동을 가리킴ㄴ.봉사는 교회를 온전케하는 은사임
③봉사은사를 받은 성도의 자세
ㄱ.봉사란 자신을 포기하며 실천함ㄴ.봉사자는 모든 일에 적극적이어야 함
은사의 종류(Ⅲ)
1)권위(롬12:6-8)
①권위하는 은사란 무엇인가?- 권면하는 은사의 뜻임. 사람의 관심을 집중하는 은사임
②성령에서의 권위의 은사(행4:36)
ㄱ.권면은 모든 성도간의 의무임(히3:13) ㄴ.바나바는 사도 바울을 권면함으로 도움을 줌
③권위하는 은사의 활용
ㄱ.권위 은사는 말씀을 증거하며 가르치는 일임 ㄴ.그룹활동에 나타남
ㄷ.권위 은사는 특정시간에 어떤 한 사람에게 특정한 일을 충족시켜 주는 데 나타남
2)구제
①구제에 대한 신앙인의 의무
ㄱ.모세 율법에도 고아와 과부를 위해 곡식을 남겨둠(신24:19)
ㄴ.예수님은 구제하되 남모르게 하라고 가르치심(마6:2-4)
②성경에 나타난 구제의 은사(행9:36)
ㄱ.베드로는 도르가를 죽음에서 기도로 살려냄(행9:41)
ㄴ.고넬료는 구제와 기도로 진정한 구원의 길을 찾음
③누가 구제의 은사를 가졌는가?-구제 그 자체를 사모하여 구제의 은사를 받은 사람
④구제의 은사의 활용
ㄱ.교회를 구제함ㄴ.구제하는 은사는 성실하며 교만하지 말아야 함
3)다스림(고전12:28)
①다스림의 은사란 무엇인가?
ㄱ.교회의 영적인 질서를 지키는데 다스림의 은사가 필요함
ㄴ.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목표를 세우고 성도로 이끔
②교회성장의 다스림의 은사
ㄱ.목회자와 교인들은 목자와 양의 관계로 목회자는 다스림의 은사가 필요함(시23:1)
ㄴ.교회성장과 다스림의 은사는 밀접한 관계임
③다스림의 은사의 활용(고전14:5)
ㄱ.다스림의 은사는 교회의 덕을 위해 사용되어야 함
4)긍휼을 베풂
①긍휼을 베푸는 은사란 무엇인가?-누구에게나 육체적, 정신적 문제에 자비심으로 도움을줌
②긍휼을 베푸는 데 대한 주님의 명령(마5:7)
ㄱ.긍휼은 신자의 의무임 ㄴ.긍휼을 베푸는 데 대한 주님의 심판이 있음
③긍휼을 베푸는 은사의 활용(행2:44,45)
ㄱ.받은 은사대로 행해야 함
④긍휼을 베푸는 자의 태도(롬12:8)
ㄱ.섬기는 태도를 가져야 함ㄴ.즐거움으로 그 일을 감당해야 함
♣선교를 위한 성령의 은사활용
성령세례를 받은 사람은 자신에게 허락된 성령의 은사를 활용하여 교회와 선교사역을 위해 유익을 끼쳐야 합니다.이러한 초월적인 성령의 은사들은 고성능 무기와 같아서 잘만 활용하 면 사탄의 권세를 파괴하고 교회에 커다란 유익을 주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교회에 분쟁 과 불화만 일으키고 해를 끼치게 됩니다.그렇기 때문에 잘 배우고 겸허한 자세로 활용해야 되겠습니다.특히 선교사역을 위해서는 성령의 은사의 적극적인 활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 습니다.
우리가 사탄의 권세를 이기고 선교사역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전적으로 “성령의 나타남과 능 력”이 필요합니다.이 은사는 오직 성령님께서 주시는 것인데 그 목적은 개인 신앙의 성장을 위하여 그리고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해서 입니다.때문에 우리는 신령한 것에 대하여 결코 무지해서는 안되고 최선을 다해 배워야 하며 또한 사모하고 간구하여야 합니다.
이외에도 지식의 말씀의 은사(실례- 왕하6:8-13, 행5:1-4), 지혜의 말씀의 은사(실례-왕상 3:16-27, 요8:7), 방언의 은사, 방언통역의 은사(고전14:13), 예언의 은사(고전14:4), 섬기는 은사, 가르치는 은사, 구제의 은사, 다스리는 은사, 긍휼을 베푸는 은사, 사도직의 은사, 선지자직의은사, 복음전하는 은사, 목사직의 은사, 교사직의 은사(롬12:6-8, 엡4:11) 등이 있습니다.한가 지, 모든 은사들은 개인과 성도와 교회의 유익을 위해서만 존재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 입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은사활용은 반드시 질서를 따라 교회의 화평을 이루는 가운데 이루 어져야 하며, 은사를 자기 과시용으로 사용하여 질서에 불순종하는 것은 지극히 위험할 뿐만아니라 패망의 지름길이라는 것을 알고 더욱 겸손하여야 되겠습니다.우리 주위에서 보면, 누 가 병고친다더라 혹은 누가 예언한다더라 하는 것 때문에 질서가 파괴되고 교회에 혼란이 야 기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습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