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성경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본문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계시서다.
여호와 하나님의 명령, 사랑, 그리고 여호와 하나님을 아는 유일한 길이 성경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성경을 부지런히 그리고 집중력을 갖고 읽어야 한다.
성경을 읽는 방식은 다른 책들과 다른 것이다.
1. 신비적, 마술적 책으로 읽는 이
2. 자연스럽게 읽는 이
합리적, 비평적 입장 - 문학 비평, 양식 비평, 역사 비평 등.
3. 여호와 하나님 말씀 연구에 기본적 원리 4가지 전제조건
I. 성경은 한 책, 한 저자, 한 주제 (One Book, One Author, One Theme)
대략 1500년 간의 기간을 걸쳐 40명 이상의 기록자들에 의한 책이 성경이다.
1.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저자는 오직 여호와 하나님 한 분이시다
성경이 인간(모세, 다윗, 바울, 베드로 등)을 통해 쓰여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나 부분적으로 보나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 사실이다.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이라는 단일한 저자를 가진 단일한 책이며, 여호와 하나님의 아들을 둘러싼 아버지의 구원사역이라는 단일한 주제를 가진 책이다. (J. J. Packer)
2. 그러므로 성경은 통일성과 비 모순성의 두 가지 원리를 가진다
성경의 각 부분들은 반드시 하나의 이야기를 말해주는 것으로 종합되어야 하며 상호 모순되거나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있다면 그렇게 해석한 우리에게 잘못이 있는 것이다.
(성경의 모순성을 들추는 일에 열심 있는 자는 여호와 하나님 말씀 해석자로 자격 미달되었거나 여호와 하나님의 지혜와 정직함에 거스르는 자 일뿐이다)
3. 예컨대 제사에 대해 생각해 보자
가) 신앙양심의 발전으로 해석하는 이
신의 노여움을 달래는 것(변덕, 복수심이 많은 분)
의의 여호와 하나님으로 본 것(율법이 제사보다 더 중요)
사랑의 여호와 하나님(제사 개념 사라졌다)
나) 복음주의 해석자들
여호와 하나님의 진노는 신·구약 전체의 흐름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완전한 희생 제물로 바쳐짐으로 모든 제사가 완성되고 대체되었다.
4. 가) 여호와 하나님의 점진적 계시 (Progressive Revelation)
그리스도의 희생은 죄의 중대성과 죄인을 구원하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방법을 보여주신 것이다.
`세상 죄를 지고 가신 여호와 하나님의 어린양`(요1:29)
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1장 9절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a. 성경이 성경 자체를 해석해준다
b. 난해구절은 보다 분명하게 말한 병행 구절에 의해 명백해진다
c. 성경의 의미는 여럿이 아니고 하나뿐이다
2. 성경은 인간이라는 경로를 통해 우리에게 주어진 것
(The Bible is given to us through human channels)
인간적 구성요소가 있다해서 오류가 있다는 것이 아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사용하신 인간 기자들의 표현을 깨달아야 한다.
1. 성경의 각 진술들의 문맥(context)을 세밀히 생각해야 한다
`너희 진리의 말씀을 옳게 분별하며`(딤후2:15)
즉, 바르게 자르고 정확하게 취급하라는 것이다.
2. 본문의 표현법(style)을 세심히 생각하라
예언적 내용을 담은 시적인 문헌들.
시편, 잠언, 욥기 등의 상징과 이미지를 문자 적으로 받으면 문제가 있다.
신약의 비유 이해도 표현법에 해당한다.
3. 그 구절을 쓰게된 목적(purpose)을 세심히 연구하라
성경은 하나의 단일한 목적을 갖고 있다.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구원 사역을 예비하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 놓고 있다.
해석자는 이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과학, 철학, 다른 주제를 다른 책으로 간주하면 오류를 범한다.
책의 의도를 살피려면 누구에게, 누가, 언제,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질문해야 한다.
4. 사용된 각 단어의 의미 (Meaning of the individual words)를 살펴라
이 네 가지 요구사항들을 역사적-문법적-신학적 방법(개혁주의)이라 부른다.
신학적, 문화적 선호도에 밀려 성경의 기본적 의미를 애매모호하고 해서는 안된다.
3. 말씀에 대한 반응을 일으키는 해석 (Responding to the Word)
우리의 개인적 반응을 일으키게 하시려고 여호와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경을 주셨다.
유대인들은 성경을 높였고 사랑했으나 성경이 가르친 예수님을 믿지 않았다.
성경을 책상 위에 올려놓은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내가 그 말씀으로 변화 받아야 한다.
4. 성령의 내적 증거 (The internal witness of the Spirit)
성경을 기록한 사람에게처럼, 성경을 읽는 사람에게 성령은 성경진리를 날라주는 일을 한다. (고전2:12,13)
새로운 삶을 시작하도록 성령이 도우신다.
성경연구시 기도하고, 성령이 우리 속에 역사 하시길 간청해야 한다.
여호와 하나님은 성경을 통해 말씀하신다.
M. Luther는 자기의 성경 역본 출판 때마다 머리말을 썼다.
`네가 누구냐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는 처음부터 너희에게 말하여 온 자라`(요8:25)
사람들은 그분이 하신 말씀에 주목하지 않고 그분이 어떤 분인지 알려한다… 말씀을 통하지 않고는 여호와 하나님을 볼 수도, 알 수도, 이해할 수도 없다. 말씀 없이 구원도 여호와 하나님의 응답도 없다… 성경이 명령하도록 해야한다… 우리는 성경을 읽고 생각하며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연구함으로 그분이 성경을 통해 말씀하고 계신 모든 것을 이해하도록 해야한다`(What Luther says, Vol.I. p. 81)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며 여호와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라`(딤후3:16,17)
맺는 말
1. 먼저 알 것은 성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받은 사람들이(θεοπνευματο?, God-breathed, 여호와 하나님이 숨을 불어 뱉으신 것)
여호와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이다.
(신적요소와 인적요소)
2. 통일성과 비모순성의 원리
예수 그리스도의 신적요소와 인적요소.
3. 역사적, 문법적, 신학적 해석 원리(개혁주의 신학)
문맥(context), 표현법(style), 목적(purpose), 단어(word) 연구를 충분히 해야한다.
4. 말씀에 대한 반응이 있는 해석
5. 성령의 내적 증거
기도, 성령의 역사를 요청.
여호와 하나님의 명령, 사랑, 그리고 여호와 하나님을 아는 유일한 길이 성경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성경을 부지런히 그리고 집중력을 갖고 읽어야 한다.
성경을 읽는 방식은 다른 책들과 다른 것이다.
1. 신비적, 마술적 책으로 읽는 이
2. 자연스럽게 읽는 이
합리적, 비평적 입장 - 문학 비평, 양식 비평, 역사 비평 등.
3. 여호와 하나님 말씀 연구에 기본적 원리 4가지 전제조건
I. 성경은 한 책, 한 저자, 한 주제 (One Book, One Author, One Theme)
대략 1500년 간의 기간을 걸쳐 40명 이상의 기록자들에 의한 책이 성경이다.
1.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저자는 오직 여호와 하나님 한 분이시다
성경이 인간(모세, 다윗, 바울, 베드로 등)을 통해 쓰여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나 부분적으로 보나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 사실이다.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이라는 단일한 저자를 가진 단일한 책이며, 여호와 하나님의 아들을 둘러싼 아버지의 구원사역이라는 단일한 주제를 가진 책이다. (J. J. Packer)
2. 그러므로 성경은 통일성과 비 모순성의 두 가지 원리를 가진다
성경의 각 부분들은 반드시 하나의 이야기를 말해주는 것으로 종합되어야 하며 상호 모순되거나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있다면 그렇게 해석한 우리에게 잘못이 있는 것이다.
(성경의 모순성을 들추는 일에 열심 있는 자는 여호와 하나님 말씀 해석자로 자격 미달되었거나 여호와 하나님의 지혜와 정직함에 거스르는 자 일뿐이다)
3. 예컨대 제사에 대해 생각해 보자
가) 신앙양심의 발전으로 해석하는 이
신의 노여움을 달래는 것(변덕, 복수심이 많은 분)
의의 여호와 하나님으로 본 것(율법이 제사보다 더 중요)
사랑의 여호와 하나님(제사 개념 사라졌다)
나) 복음주의 해석자들
여호와 하나님의 진노는 신·구약 전체의 흐름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완전한 희생 제물로 바쳐짐으로 모든 제사가 완성되고 대체되었다.
4. 가) 여호와 하나님의 점진적 계시 (Progressive Revelation)
그리스도의 희생은 죄의 중대성과 죄인을 구원하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방법을 보여주신 것이다.
`세상 죄를 지고 가신 여호와 하나님의 어린양`(요1:29)
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1장 9절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a. 성경이 성경 자체를 해석해준다
b. 난해구절은 보다 분명하게 말한 병행 구절에 의해 명백해진다
c. 성경의 의미는 여럿이 아니고 하나뿐이다
2. 성경은 인간이라는 경로를 통해 우리에게 주어진 것
(The Bible is given to us through human channels)
인간적 구성요소가 있다해서 오류가 있다는 것이 아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사용하신 인간 기자들의 표현을 깨달아야 한다.
1. 성경의 각 진술들의 문맥(context)을 세밀히 생각해야 한다
`너희 진리의 말씀을 옳게 분별하며`(딤후2:15)
즉, 바르게 자르고 정확하게 취급하라는 것이다.
2. 본문의 표현법(style)을 세심히 생각하라
예언적 내용을 담은 시적인 문헌들.
시편, 잠언, 욥기 등의 상징과 이미지를 문자 적으로 받으면 문제가 있다.
신약의 비유 이해도 표현법에 해당한다.
3. 그 구절을 쓰게된 목적(purpose)을 세심히 연구하라
성경은 하나의 단일한 목적을 갖고 있다.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구원 사역을 예비하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 놓고 있다.
해석자는 이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과학, 철학, 다른 주제를 다른 책으로 간주하면 오류를 범한다.
책의 의도를 살피려면 누구에게, 누가, 언제,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질문해야 한다.
4. 사용된 각 단어의 의미 (Meaning of the individual words)를 살펴라
이 네 가지 요구사항들을 역사적-문법적-신학적 방법(개혁주의)이라 부른다.
신학적, 문화적 선호도에 밀려 성경의 기본적 의미를 애매모호하고 해서는 안된다.
3. 말씀에 대한 반응을 일으키는 해석 (Responding to the Word)
우리의 개인적 반응을 일으키게 하시려고 여호와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경을 주셨다.
유대인들은 성경을 높였고 사랑했으나 성경이 가르친 예수님을 믿지 않았다.
성경을 책상 위에 올려놓은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내가 그 말씀으로 변화 받아야 한다.
4. 성령의 내적 증거 (The internal witness of the Spirit)
성경을 기록한 사람에게처럼, 성경을 읽는 사람에게 성령은 성경진리를 날라주는 일을 한다. (고전2:12,13)
새로운 삶을 시작하도록 성령이 도우신다.
성경연구시 기도하고, 성령이 우리 속에 역사 하시길 간청해야 한다.
여호와 하나님은 성경을 통해 말씀하신다.
M. Luther는 자기의 성경 역본 출판 때마다 머리말을 썼다.
`네가 누구냐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는 처음부터 너희에게 말하여 온 자라`(요8:25)
사람들은 그분이 하신 말씀에 주목하지 않고 그분이 어떤 분인지 알려한다… 말씀을 통하지 않고는 여호와 하나님을 볼 수도, 알 수도, 이해할 수도 없다. 말씀 없이 구원도 여호와 하나님의 응답도 없다… 성경이 명령하도록 해야한다… 우리는 성경을 읽고 생각하며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연구함으로 그분이 성경을 통해 말씀하고 계신 모든 것을 이해하도록 해야한다`(What Luther says, Vol.I. p. 81)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며 여호와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라`(딤후3:16,17)
맺는 말
1. 먼저 알 것은 성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받은 사람들이(θεοπνευματο?, God-breathed, 여호와 하나님이 숨을 불어 뱉으신 것)
여호와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이다.
(신적요소와 인적요소)
2. 통일성과 비모순성의 원리
예수 그리스도의 신적요소와 인적요소.
3. 역사적, 문법적, 신학적 해석 원리(개혁주의 신학)
문맥(context), 표현법(style), 목적(purpose), 단어(word) 연구를 충분히 해야한다.
4. 말씀에 대한 반응이 있는 해석
5. 성령의 내적 증거
기도, 성령의 역사를 요청.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