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기독교가정의 신앙교육
본문
바울은 디모데를 가리켜 나의 동역자(롬 16:21), 내 귀하고 신실한 아들(고 전 4:17), 형제(고후 1:1), 믿음 안에서 참 아들(딤전 1:2), 사랑하는 아들 (딤후 1:2)이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바울의 사랑과 신뢰를 받았던 디모데는 바울과 함께 로마감옥에 갇혔다가 석방된 후에(히 13:23) 바울의 후임으로 에베소에서 사역 했습니다(딤전 1:3). 디모데의 가정에 대해 살펴보면, 고향은 소아시아의 루스드라였으며 그이 부친 은 헬라인이고, 어머니는 유대인으로 경건한 그리스도인이었습니다(행 16:2). 어머 니의 이름은 유니게이며 외조모는 로이스였는데 이들은 믿음으로 디모데를 교육했습 니다(딤후 1:5). 디모데는 가정의 신앙교육으로 훌륭한 믿음의 사람이 될 수 있었 던 것입니다. 기독교인의 가정교육 가정에서의 교육은 어떤 전문적인 기능훈련이나 지식전달을 위한 교육이라기 보 다는 온전한 하나의 인격체를 형성하기 위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볼 때, 기독교 가정의 교육목적, 즉 기독교 가정이 원하는 온전한 인격체는 예수 그 리스도의 모습입니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이 한 인간의 삶과 그 인격 속에 온전히 새겨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바로 기독교 가정의 교육목적이 되는 것입니다. 그럼 이러한 기독교 가정의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요?
1) 신앙생활의 훈련: 교육은 훈련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기독교 가정의 교육은 무엇보다도 신앙생활의 훈련을 통해 가능하게 됩니다. 바울은 디모데를 향하여 그이 신앙이 어머니와 외조모 로이스의 믿음에서 비롯 되었다고 말했습니다(딤후 1:5). 이것은 디모데의 신앙은 가정의 신앙훈련을 통해 서 이루어진 것임을 의미합니다. 신앙이 훈련으로는, 가정예배를 드리는 것입니다.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여호와 하나님께 무릎을 꿇고 예배드리는 것은 자라나는 자 녀들에게 좋은 경건의 훈련이 됩니다. 자녀들의 교회생활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특히 자의식이 발달되 는 청소 년 시기의 자녀들은 교회와 신앙에 대해 회의적이고 비판적이 됩니다. 그리하여 청 년기에 이르면 많은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문제의 책임을 교회에 돌릴 수도 있겠으나 각 가정에서의 교육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부모는 가정에서, 교회생활에서 얻은 기쁨과 유익을 말하며 긍정적인 자세를 보여 주어야 합니다. 자녀의 종교적인 심리를 파악해야 합니다. 부모는 자녀의 신앙에 대해서 무 조건 명령하거나 강요하는 태도를 버려야 합니다. 자녀를 이해하며 자연스러운 대 화를 통하여 신앙인의 인격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야 할 것입니다.
2) 사랑의 교육: 가정은 사랑과 혈연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사랑의 공동체는 바로 가정입니다. 그러므로 가정에서의 교육은 일반 교육과는 차이가 있 게 마련입니다. 사랑은 어던 목적이나 계획에 의 해 성립되는 것이 아니고 사랑 그 자체가 목적이며 계획입니다. 마찬가지로 가정에서 자녀를 사랑으로 교육한다는 것 은 자녀들에 대해 어떤 목적이나 계획을 가지고 그들을 교육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 니다. 오직 자녀를 사랑라는 그 사랑이 바로 교육입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부모의 계획대로가 아니라 자녀의 인격과 자유를 존중하면서 그들의 능력이나 성격에 맞도록 양육해야 합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들에 대해 언 제나 포기하는 일 없이 계속적인 소망을 가지고 교육해야 하는 것입니다. 마치 여호와 하나님의 변함 없으신 사랑에 인가이 응답하게 될 때 그는 변화되어 새로운 그리스도의 인격으로 성장해 가듯이, 자녀들이 부모의 사랑에 응답할 때까지 오래 참으며 소망을 가지고 양육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부모의 사랑으로 자라난 자녀들은 그들 자신이 또한 사랑의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랑할 수 잇는 인격이야말로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은 성숙한 인간의 모습입니다. 부모의 삶을 통한 교육 가정의 교육은 부모의 교육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올 바를 인생관과 가치관 그리고 신앙생활을 통해 자녀들에게 살아 있는 교육을 해야 합니다. 존경받는 부모가 되지 못하면 자녀에게 참다운 교육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그들의 삶 전체를 통해서 자녀들에게 좋은 스승이 되어야 합니다. 낙제생 부모가 있을 뿐이지 낙제생 자녀는 없는 것입니다.
맥스래러티는 낙제생 부모가 되지 않기 위한 몇 가지를 지적하여 충고해 주고 있습니다. 좋은 추억을 남겨 주어야 한다. 자녀에게 무엇을 가르치거나 잘해 주려고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부 모 자신의 일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녀는 내 소유가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임을 깨달아야 한다. 여호와 하나님이 자녀이므로 여호와 하나님의 뜻대로 양육하여야 한다. 자녀들의 친구와 그들의 부모를 알고 있어야 한다. 기독교 가정의 교육은 가족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도록 이끌어 가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인격은 사랑의 인격으로서 가장 성숙한 인간 이 모습입니다. 그러므로 기독교 가정에서는 신앙의 훈련과 사랑과 본보기가 되는 부모의 삶을 통해 자녀들을 교육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도록 힘씁시다.
1) 신앙생활의 훈련: 교육은 훈련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기독교 가정의 교육은 무엇보다도 신앙생활의 훈련을 통해 가능하게 됩니다. 바울은 디모데를 향하여 그이 신앙이 어머니와 외조모 로이스의 믿음에서 비롯 되었다고 말했습니다(딤후 1:5). 이것은 디모데의 신앙은 가정의 신앙훈련을 통해 서 이루어진 것임을 의미합니다. 신앙이 훈련으로는, 가정예배를 드리는 것입니다.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여호와 하나님께 무릎을 꿇고 예배드리는 것은 자라나는 자 녀들에게 좋은 경건의 훈련이 됩니다. 자녀들의 교회생활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특히 자의식이 발달되 는 청소 년 시기의 자녀들은 교회와 신앙에 대해 회의적이고 비판적이 됩니다. 그리하여 청 년기에 이르면 많은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문제의 책임을 교회에 돌릴 수도 있겠으나 각 가정에서의 교육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부모는 가정에서, 교회생활에서 얻은 기쁨과 유익을 말하며 긍정적인 자세를 보여 주어야 합니다. 자녀의 종교적인 심리를 파악해야 합니다. 부모는 자녀의 신앙에 대해서 무 조건 명령하거나 강요하는 태도를 버려야 합니다. 자녀를 이해하며 자연스러운 대 화를 통하여 신앙인의 인격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야 할 것입니다.
2) 사랑의 교육: 가정은 사랑과 혈연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사랑의 공동체는 바로 가정입니다. 그러므로 가정에서의 교육은 일반 교육과는 차이가 있 게 마련입니다. 사랑은 어던 목적이나 계획에 의 해 성립되는 것이 아니고 사랑 그 자체가 목적이며 계획입니다. 마찬가지로 가정에서 자녀를 사랑으로 교육한다는 것 은 자녀들에 대해 어떤 목적이나 계획을 가지고 그들을 교육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 니다. 오직 자녀를 사랑라는 그 사랑이 바로 교육입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부모의 계획대로가 아니라 자녀의 인격과 자유를 존중하면서 그들의 능력이나 성격에 맞도록 양육해야 합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들에 대해 언 제나 포기하는 일 없이 계속적인 소망을 가지고 교육해야 하는 것입니다. 마치 여호와 하나님의 변함 없으신 사랑에 인가이 응답하게 될 때 그는 변화되어 새로운 그리스도의 인격으로 성장해 가듯이, 자녀들이 부모의 사랑에 응답할 때까지 오래 참으며 소망을 가지고 양육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부모의 사랑으로 자라난 자녀들은 그들 자신이 또한 사랑의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랑할 수 잇는 인격이야말로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은 성숙한 인간의 모습입니다. 부모의 삶을 통한 교육 가정의 교육은 부모의 교육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올 바를 인생관과 가치관 그리고 신앙생활을 통해 자녀들에게 살아 있는 교육을 해야 합니다. 존경받는 부모가 되지 못하면 자녀에게 참다운 교육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그들의 삶 전체를 통해서 자녀들에게 좋은 스승이 되어야 합니다. 낙제생 부모가 있을 뿐이지 낙제생 자녀는 없는 것입니다.
맥스래러티는 낙제생 부모가 되지 않기 위한 몇 가지를 지적하여 충고해 주고 있습니다. 좋은 추억을 남겨 주어야 한다. 자녀에게 무엇을 가르치거나 잘해 주려고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부 모 자신의 일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녀는 내 소유가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임을 깨달아야 한다. 여호와 하나님이 자녀이므로 여호와 하나님의 뜻대로 양육하여야 한다. 자녀들의 친구와 그들의 부모를 알고 있어야 한다. 기독교 가정의 교육은 가족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도록 이끌어 가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인격은 사랑의 인격으로서 가장 성숙한 인간 이 모습입니다. 그러므로 기독교 가정에서는 신앙의 훈련과 사랑과 본보기가 되는 부모의 삶을 통해 자녀들을 교육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도록 힘씁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