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환경을 살리는 것은 나를 살리는 것이다
본문
태초에 성 삼위 여호와 하나님께서 천지 만물을 창조하셨습니다. (26-27) 여호와 하나님은 사람에게 피조 세계를 관리하라고 명 하셨습니다. (28)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여 "땅을 정복하라"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사람은 채소와 열매를 먹도록 하셨고, 짐승에게는 풀을 먹도록 하셨습니다. 그래서 온 피조 세계가 더불어 살아가도록 하셨습니다. (29,30)
교회는 여호와 하나님이 지으신 동산 보존에 책임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환경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피조 세계를 살려야 사람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사람이 여호와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관리하고 지키는 것은 결국 나를 살리고 보호하는 것이고 창조세계를 파괴하는 것은 자신을 죽이는 것입니다.
1. 대기오염
사람은 대기중의 공기를 마시고 숨을 쉬고 살아갑니다. 여호와 하나님은 녹색 식물에게 빛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 탄소동화작용을 하여 산소를 만들게 하시고 그 산소를 사람이 마시고 살도록 하셨습니다.
사람이 3분 이상 숨을 쉬지 않으면 숨이 짧은 사람은 죽고 맙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공기가 오염되면 사람의 생명은 위험합니다. 따라서 대기환경- 공기-을 깨끗이 보전해야 합니다.
그 동안 산업화와 함께 우리 나라 대기환경이 많이 나빠졌습니다. 대기중에 오존 농도가 높아 지고 쓰레기 소각장에서는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배출되고, 공장 굴둑에서는 아황산가스가 나옵니다. 자동차에서는 매연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와 독한 가스가 쉴새없이 뿜어져 나오고 있습니다. 공기 오염 문제가 매우 심각합니다.
정부, 기업인, 운전자, 온 국민은 공기오염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대기를 오염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공기를 죽이는 것은 결국 자신을 죽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정부는 저공해 천연 가스 버스를 도입해야 하고 자동차 배출가스를 절감하는 장치를 달아야 하고 지나친 자동차가스 배출을 강력하게 단속해야 합니다. 동시에 자동차 연료의 품질 기준을 높이고, 자동차 배출 허용 기준을 강화해야 합니다.
우리는 공기의 오염을 무섭게 생각해야 합니다. 대기의 보존은 우리 생명을 지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산소를 만들어 내는 나무를 잘라내고 죽이는 일을 삼가야 합니다. 우리는 나무를 심고 가꾸어야 합니다. 산을 푸르게 가꾸어야 합니다. 나무가 있어야 산소를 만들어 냅니다. 나무는 산소 공장입니다. 그러므로 성도님들은 돌아오는 식목일에 나무를 한 그루라도 심으시기 바랍니다.
2. 수질오염
사람의 몸의 70%가 물입니다. 그러므로 지하수, 샘물, 실개천, 하천, 강, 바다가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지하수를 보호해야 합니다. 생수를 개발한다고 여기저기 시추를 한 후 잘 관리하지 않고 메우지 않으면 결국 지하수가 오염되어서 물이 죽게 됩니다. 그러면 사람이 먹을 물이 없어집니다. 우리 나라는 기름이 나지 않는 대신 여호와 하나님이 맑은 물을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지하수를 보호해야 합니다. 물은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내 이익만 생각하고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은 우리 자신과 후손을 죽이는 것입니다. 집에서 쓰는 생활 하수도 줄이고 수도 물도 아껴 써야 합니다.
비가 오는 날이나 밤에 몰래 공장에서 산업폐수를 버리고, 가축의 오물을 버리는 것을 감시해야 합니다. 강변에 호텔과 식당을 마구 지어서 강과 바다도 죽이는 일을 막아야 합니다.
정부의 효율적인 물 절약시책 강화
2000년부터는 모든 신축건물에 양변기, 수도꼭지, 샤워기를 절수형으로 설치토록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물 사용량에 따라 누진율을 확대하고, 계절별로 차등요금을 적용하는 절수형 요금제도 도입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수도사업 경영체계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현재 공조직으로 운영되는 상수도 사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수도시설을 민간에 위탁 관리 및 경영제도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수종말처리시설을 확충하고 있고, 마을 하수도 사업을 통합하는 지침을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회 옆에 있는 홍제천을 살려서 물고기가 뛰놀게 해야 한다.
3. 소음과 진동
도시의 소음과 진동 또한 심각합니다. 자동차, 비행기, 건축현장, 공장, 기차, 전철에서의 소음과 진동 공해가 심각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집중력을 잃고 학생들은 공부를 못하는 등 피해와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소음, 진동 공해를 가급적 내지 않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4. 토양오염
2000. 1월중 쓰레기 무단 투기 시민신고가 환경부에 434건 접수되었습니다. 쓰레기를 아무데나 버리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성도님들은 어떻습니까 수도권 음식물쓰레기 처리 문제가 다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폐기물 불법 및 부적정 처리건수가 줄어들지 않고 있어 땅이 오염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먹다가 음식을 남기는 일을 삼가 해야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가 적게 발생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쓰레기를 자원화 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이미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만든다. 가축 사료를 만든다 해서 많은 돈을 드려 시설을 했지만 졸속으로 잘못 만들어 무용지물의 고철이 되었다는 얘기를 들을 때 화가 납니다. 서두르지 말고 앞으로는 제대로 해야 합니다.
폐 광산 지역 토양오염이 심각합니다.
농민들은 농약사용을 줄여야 합니다.
야채 과일에 농약 사용을 줄여야 합니다.
2000 봄 행락철 국토 대 청결운동을 정부가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리들은 오늘 예수 대행진을 하게되었습니다.
빠지지 말고 모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5. 생태계 보호
우리나라 서식 야생조 수 현황(포유류 : 80종)
1) 식충목(10종) :
1. 고슴도치,
2. 두더지 등,
2) 토끼목(2종) : 11. 멧토끼, 12. 우는토끼
3) 박쥐목(22종)
4) 쥐 목(15종) ; 날다람쥐, 36. 하늘다람쥐, 37. 청설모 등
5) 개 목(24종) : 50. 늑대, 51. 승냥이, 52. 여우, 53. 너구리, 54. 큰곰, 55. 반달가슴 곰 등
6) 소 목(7종) : 74. 멧돼지, 75. 사향노루, 76. 고라니,
77. 대륙사슴, 78. 백두산사슴, 79. 노루, 80. 산양
우리 나라에서 밀렵 및 밀 거래를 방지해야 합니다. 야생 짐승을 잡으려고 덫을 놓고 약을 뿌리고 야간에 총으로 짐승을 잡지 말아야 합니다. 보신용으로 야생동물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새 한 마리도 잡지 말아야 합니다.
무인도서, 갯벌, 습지, 백두대간을 보전해야 합니다.
결론
지구 환경문제와 우리의 과제
1. 지구환경 악화의 원인
o 폭발적인 인구증가, 도시화, 산업화에 따라 하나뿐인 지구는 자원이 고갈되고 자정능력이 점점 상실되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 인구증가 :
1700-2. 5억,
1850- 5억,
1935- 20억,
1975- 40억,
1999- 60억
2025- 80억
- 산업화 : 과거 20년간 제조업은 3배로 성장
※ 5억 년 동안 만들어낸 석유를, 인간이 불과 200년만에 모두 탕진하고있다.
2. 주요 지구환경 문제
가.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
o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란 대기중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 온실가스(Greenhouse Gas)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 표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O 온실효과는 지구가 더워져 엘니뇨현상을 가속화시켜
기상 이변이 일어나 인간은 무서운 재앙을 당합니다.
O 2100년에는 지구 평균기온이 0. 8-
3. 5℃ 상승하고, 해수면도 50~ 95cm 상승할 것으로 예상 (IPCC 제2차 보고서) 됩니다. 그러면 저지대가 침수되어 엄청난 피해를 당하게 됩니다.
나. 오존층의 파괴
o 냉장고, 에어컨등에 쓰이는 프레온가스(CFCs) 등이 오존층을 파괴하는 현상을 말함니다.
O 오존층이 파괴되면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이나 유해광선이 많아져 농작물이나 해양생태계의 생육을 저해시키고, 피부암, 안질환 등 질병을 야기 시키며, 인체 면역 기능을 손상시키게 됨니다.
다. 생물 감소
o 지구상에는 약 1억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약 3,000만종이 알려져 있음니다.
O 환경파괴로 50년 이내에 지구상의 생물 종의 약 1/4이 소멸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렇게 되면 먹이 사슬의 붕괴로 생태계가 큰 타격을 받습니다.
3.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국제적 노력
가. 지구환경 위기의 경고
지구환경의 위기를 인식한 국제사회는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유엔인간환경선언을 채택했습니다.
나. 리우 선언과 의제21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지구정상회의(Earth Summit)에서 공해예방과 환경보호를 위한 선언을 했습니다.
다. 대처방안
환경공해의 위험를 알았으므로 우리는 적극적으로 환경을 보호해야 합니다. 먼저 공해를 줄이고 생태계를 살리고 나무를 심고 물을 깨끗이 관리하고 땅을 살립시다. 이것이 바로 내가 사는 길입니다.
교회는 여호와 하나님이 지으신 동산 보존에 책임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환경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피조 세계를 살려야 사람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사람이 여호와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관리하고 지키는 것은 결국 나를 살리고 보호하는 것이고 창조세계를 파괴하는 것은 자신을 죽이는 것입니다.
1. 대기오염
사람은 대기중의 공기를 마시고 숨을 쉬고 살아갑니다. 여호와 하나님은 녹색 식물에게 빛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 탄소동화작용을 하여 산소를 만들게 하시고 그 산소를 사람이 마시고 살도록 하셨습니다.
사람이 3분 이상 숨을 쉬지 않으면 숨이 짧은 사람은 죽고 맙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공기가 오염되면 사람의 생명은 위험합니다. 따라서 대기환경- 공기-을 깨끗이 보전해야 합니다.
그 동안 산업화와 함께 우리 나라 대기환경이 많이 나빠졌습니다. 대기중에 오존 농도가 높아 지고 쓰레기 소각장에서는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배출되고, 공장 굴둑에서는 아황산가스가 나옵니다. 자동차에서는 매연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와 독한 가스가 쉴새없이 뿜어져 나오고 있습니다. 공기 오염 문제가 매우 심각합니다.
정부, 기업인, 운전자, 온 국민은 공기오염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대기를 오염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공기를 죽이는 것은 결국 자신을 죽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정부는 저공해 천연 가스 버스를 도입해야 하고 자동차 배출가스를 절감하는 장치를 달아야 하고 지나친 자동차가스 배출을 강력하게 단속해야 합니다. 동시에 자동차 연료의 품질 기준을 높이고, 자동차 배출 허용 기준을 강화해야 합니다.
우리는 공기의 오염을 무섭게 생각해야 합니다. 대기의 보존은 우리 생명을 지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산소를 만들어 내는 나무를 잘라내고 죽이는 일을 삼가야 합니다. 우리는 나무를 심고 가꾸어야 합니다. 산을 푸르게 가꾸어야 합니다. 나무가 있어야 산소를 만들어 냅니다. 나무는 산소 공장입니다. 그러므로 성도님들은 돌아오는 식목일에 나무를 한 그루라도 심으시기 바랍니다.
2. 수질오염
사람의 몸의 70%가 물입니다. 그러므로 지하수, 샘물, 실개천, 하천, 강, 바다가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지하수를 보호해야 합니다. 생수를 개발한다고 여기저기 시추를 한 후 잘 관리하지 않고 메우지 않으면 결국 지하수가 오염되어서 물이 죽게 됩니다. 그러면 사람이 먹을 물이 없어집니다. 우리 나라는 기름이 나지 않는 대신 여호와 하나님이 맑은 물을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지하수를 보호해야 합니다. 물은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내 이익만 생각하고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은 우리 자신과 후손을 죽이는 것입니다. 집에서 쓰는 생활 하수도 줄이고 수도 물도 아껴 써야 합니다.
비가 오는 날이나 밤에 몰래 공장에서 산업폐수를 버리고, 가축의 오물을 버리는 것을 감시해야 합니다. 강변에 호텔과 식당을 마구 지어서 강과 바다도 죽이는 일을 막아야 합니다.
정부의 효율적인 물 절약시책 강화
2000년부터는 모든 신축건물에 양변기, 수도꼭지, 샤워기를 절수형으로 설치토록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물 사용량에 따라 누진율을 확대하고, 계절별로 차등요금을 적용하는 절수형 요금제도 도입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수도사업 경영체계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현재 공조직으로 운영되는 상수도 사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수도시설을 민간에 위탁 관리 및 경영제도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수종말처리시설을 확충하고 있고, 마을 하수도 사업을 통합하는 지침을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회 옆에 있는 홍제천을 살려서 물고기가 뛰놀게 해야 한다.
3. 소음과 진동
도시의 소음과 진동 또한 심각합니다. 자동차, 비행기, 건축현장, 공장, 기차, 전철에서의 소음과 진동 공해가 심각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집중력을 잃고 학생들은 공부를 못하는 등 피해와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소음, 진동 공해를 가급적 내지 않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4. 토양오염
2000. 1월중 쓰레기 무단 투기 시민신고가 환경부에 434건 접수되었습니다. 쓰레기를 아무데나 버리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성도님들은 어떻습니까 수도권 음식물쓰레기 처리 문제가 다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폐기물 불법 및 부적정 처리건수가 줄어들지 않고 있어 땅이 오염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먹다가 음식을 남기는 일을 삼가 해야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가 적게 발생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쓰레기를 자원화 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이미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만든다. 가축 사료를 만든다 해서 많은 돈을 드려 시설을 했지만 졸속으로 잘못 만들어 무용지물의 고철이 되었다는 얘기를 들을 때 화가 납니다. 서두르지 말고 앞으로는 제대로 해야 합니다.
폐 광산 지역 토양오염이 심각합니다.
농민들은 농약사용을 줄여야 합니다.
야채 과일에 농약 사용을 줄여야 합니다.
2000 봄 행락철 국토 대 청결운동을 정부가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리들은 오늘 예수 대행진을 하게되었습니다.
빠지지 말고 모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5. 생태계 보호
우리나라 서식 야생조 수 현황(포유류 : 80종)
1) 식충목(10종) :
1. 고슴도치,
2. 두더지 등,
2) 토끼목(2종) : 11. 멧토끼, 12. 우는토끼
3) 박쥐목(22종)
4) 쥐 목(15종) ; 날다람쥐, 36. 하늘다람쥐, 37. 청설모 등
5) 개 목(24종) : 50. 늑대, 51. 승냥이, 52. 여우, 53. 너구리, 54. 큰곰, 55. 반달가슴 곰 등
6) 소 목(7종) : 74. 멧돼지, 75. 사향노루, 76. 고라니,
77. 대륙사슴, 78. 백두산사슴, 79. 노루, 80. 산양
우리 나라에서 밀렵 및 밀 거래를 방지해야 합니다. 야생 짐승을 잡으려고 덫을 놓고 약을 뿌리고 야간에 총으로 짐승을 잡지 말아야 합니다. 보신용으로 야생동물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새 한 마리도 잡지 말아야 합니다.
무인도서, 갯벌, 습지, 백두대간을 보전해야 합니다.
결론
지구 환경문제와 우리의 과제
1. 지구환경 악화의 원인
o 폭발적인 인구증가, 도시화, 산업화에 따라 하나뿐인 지구는 자원이 고갈되고 자정능력이 점점 상실되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 인구증가 :
1700-2. 5억,
1850- 5억,
1935- 20억,
1975- 40억,
1999- 60억
2025- 80억
- 산업화 : 과거 20년간 제조업은 3배로 성장
※ 5억 년 동안 만들어낸 석유를, 인간이 불과 200년만에 모두 탕진하고있다.
2. 주요 지구환경 문제
가.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
o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란 대기중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 온실가스(Greenhouse Gas)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 표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O 온실효과는 지구가 더워져 엘니뇨현상을 가속화시켜
기상 이변이 일어나 인간은 무서운 재앙을 당합니다.
O 2100년에는 지구 평균기온이 0. 8-
3. 5℃ 상승하고, 해수면도 50~ 95cm 상승할 것으로 예상 (IPCC 제2차 보고서) 됩니다. 그러면 저지대가 침수되어 엄청난 피해를 당하게 됩니다.
나. 오존층의 파괴
o 냉장고, 에어컨등에 쓰이는 프레온가스(CFCs) 등이 오존층을 파괴하는 현상을 말함니다.
O 오존층이 파괴되면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이나 유해광선이 많아져 농작물이나 해양생태계의 생육을 저해시키고, 피부암, 안질환 등 질병을 야기 시키며, 인체 면역 기능을 손상시키게 됨니다.
다. 생물 감소
o 지구상에는 약 1억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약 3,000만종이 알려져 있음니다.
O 환경파괴로 50년 이내에 지구상의 생물 종의 약 1/4이 소멸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렇게 되면 먹이 사슬의 붕괴로 생태계가 큰 타격을 받습니다.
3.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국제적 노력
가. 지구환경 위기의 경고
지구환경의 위기를 인식한 국제사회는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유엔인간환경선언을 채택했습니다.
나. 리우 선언과 의제21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지구정상회의(Earth Summit)에서 공해예방과 환경보호를 위한 선언을 했습니다.
다. 대처방안
환경공해의 위험를 알았으므로 우리는 적극적으로 환경을 보호해야 합니다. 먼저 공해를 줄이고 생태계를 살리고 나무를 심고 물을 깨끗이 관리하고 땅을 살립시다. 이것이 바로 내가 사는 길입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