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구국운동과 자유운동
본문
3. 1운동은 기독교회가 우리 역사 속에서 신앙공동체로서 사회참여를 실현한 자유, 정의, 평화, 해방, 통일 운동이었습니다. 교회가 사회를 향해 눈을 뜨고 개체신앙에서 벗어나 민족의 고난에 동참, 민족구원에 나선 신앙 운동이었습니다.
독립선언문 서명자 33인 가운데는 길선주 목사를 비롯한 16명의 기독교 지도자와 손병희 선생 등 15명의 천도교 지도자, 한용운 선생 등 2명의 불교 지도자가 있었으나 이해를 초월, 오직 민족구원의 일념으로 하나로 뭉쳤습니다.
대아(大我)를 위해 소아(小我)를 죽인 위대한 구국 결단이었습니다.
3. 1운동은 민족적 입장에서는 구국운동이었으며 신앙적 입장에서는 신앙자유 운동이었습니다.
3. 1운동을 좀 더 구체적 입장에서 살펴보면서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1.
3. 1운동은 민족독립 운동이었습니다. 우리 민족이 1910년에 군국주의 일본의 무력침략을 받은 후 그들의 잔인무도한 무단정치 하에서 신음하다가 1919년 기미년 3월 1일 전 민족이 독립만세를 부른 날입니다.
3. 1운동은 민족독립 운동이었습니다. 민족 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 선언서 첫 구절에 “오등은 자애 아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유임을 선언하노라”하는 문장이 민족의 독립과 자주를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민족의 독립과 자주의 사상이 도출되게 된 원인은 일본의 주권 침탈과 경제침략을 수반한 민족탄압에서 연유된 것입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나 고종의 급 선거가
3. 1운동의 기폭제가 된 것은 사실이나 보다 근원적 동인은 일본의 지배 질서에 대항하는,
민족운동 전통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기독교 민족운동에 그 원인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3. 1운동은 무저항 비폭력 평화운동으로 전개 되었습니다. 이는 기독교인의 현실 참여에서 성서의 사랑정신에 근거하였던 것입니다.
성서에 “왼편 뺨을 맞으면 오른편 뺨을 돌려 대라”,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그리스도 사랑이 원리에 근거하여 무저항 비폭력 평화운동으로 민족독립 운동을 일으켰던 것입니다.
한국 기독교는
3. 1운동을 통해「십자가 고난」을 체험했고 「부활과 재림」신앙을 현실 속에 정착시킬 수 있었던 역사 속에 사건이라는 것입니다.
2.
3. 1운동은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미국의 패트릭 헨리가 “우리에게 자유를 달라 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다오”라고 함과 같이 우리 기독교 신자들이 독립운동에 앞장선 것은 자유를 찾기 위한 운동이며 해방운동이었습니다.
사람은 여호와 하나님의 피조물 입니다. 피조물 된 사람들은 여호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사람들에게 여호와 하나님은 자유를 주셨고 평등하게 살 권리를 주셨습니다. 자유는 인간에게 준 기본권리입니다.
그런데 우리 민족은 일본의 무력침략으로 민족탄압을 받으며 자유를 상실하게 된 것입니다. 사람들은 빈부귀천이나 인종의 차이 없이 평등하게 살게 지음 받았으나 차별대우를 받으며 종의 멍에를 메고 살게 되었던 것입니다.
3. 1운동은 억압에서의 자유 차별 대웅서 평등한 삶을 위한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갈라디아 5장 1절에서 “그리스도께서 너희에게 자유를 주셨으니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자유를 지키라는 말씀입니다. 우리는 자유와 해방 평화와 평등한 삶을 지켜갈 수 있어야 합니다. 주님께서 요 8:32절에서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고 했습니다.
우리의 정치적인 자유, 신앙적인 자유, 그리고 죄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자유는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이룩되는 것입니다.
3. 1운동의 정신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자유를 얻는 정신에서 연유된 것입니다.
3. 1운동은 민족적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3. 오늘의
3. 1운동은 정의, 평화, 창조보존 운동이어야 합니다. 오늘은
3. 1운동은 정의운동, 평화운동, 창조보존 운동이어야 합니다. 정의란 오늘 우리의 세계가 겪고 있는 범세계적인 분배의 불균형, 인종차별, 성차별 신분제도에 따른 사회 계급적 차별,
인권의 문제, 정치적 민주화 문제 등을 포괄하는 것들입니다. 오늘의 제3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은 독재자의 철권아래 시달리는 소수의 독점 재벌에게 수탈당하며 불의한 취급을 받으며 살고 있습니다.
약탈, 억압과 살생 속에서 살고 있는 자들에게 교회가 주어야 할 메시지가 무엇입니까? 정의입니다. 교회는 이 사회 속에서 정의운동을 전개해야 합니다. 그리고 평화운동이 일어나야 합니다.
교회는 동서의 이념적 대결이나 민족 간 사회 간의 대립을 뛰어 넘어 인류에게 항구적 평화를 가져 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가야 합니다. 주 안에 있을 때만 참된 평안과 평화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세상은 창조질서 보존 운동이 일어나야 합니다. 생태계의 파괴, 환경오염, 과학기술의 오용 등의 문제 등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창조질서를 보존하는 운동이 일어나야 아름다운 세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3. 1운동은 정의운동, 평화운동, 창조질서, 보존운동 이어야 합니다.
4. 말씀을 정리 합니다.
3. 1운동은 민족독립 운동이었으며 민족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오늘 우리는
3. 1정신을 이어 받아 남북통일 운동, 정의운동, 평화운동, 창조질서 보존운동을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앞장서서 전개해야 하겠습니다.
반정부활동을 하는 사회운동에 앞장서라는 것은 아닙니다. 살맛나는 세상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3. 1운동정신을 이어받아 기독교인들이 앞장서서 솔선수범하므로 여호와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는 성도의 복된 삶이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독립선언문 서명자 33인 가운데는 길선주 목사를 비롯한 16명의 기독교 지도자와 손병희 선생 등 15명의 천도교 지도자, 한용운 선생 등 2명의 불교 지도자가 있었으나 이해를 초월, 오직 민족구원의 일념으로 하나로 뭉쳤습니다.
대아(大我)를 위해 소아(小我)를 죽인 위대한 구국 결단이었습니다.
3. 1운동은 민족적 입장에서는 구국운동이었으며 신앙적 입장에서는 신앙자유 운동이었습니다.
3. 1운동을 좀 더 구체적 입장에서 살펴보면서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1.
3. 1운동은 민족독립 운동이었습니다. 우리 민족이 1910년에 군국주의 일본의 무력침략을 받은 후 그들의 잔인무도한 무단정치 하에서 신음하다가 1919년 기미년 3월 1일 전 민족이 독립만세를 부른 날입니다.
3. 1운동은 민족독립 운동이었습니다. 민족 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 선언서 첫 구절에 “오등은 자애 아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유임을 선언하노라”하는 문장이 민족의 독립과 자주를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민족의 독립과 자주의 사상이 도출되게 된 원인은 일본의 주권 침탈과 경제침략을 수반한 민족탄압에서 연유된 것입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나 고종의 급 선거가
3. 1운동의 기폭제가 된 것은 사실이나 보다 근원적 동인은 일본의 지배 질서에 대항하는,
민족운동 전통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기독교 민족운동에 그 원인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3. 1운동은 무저항 비폭력 평화운동으로 전개 되었습니다. 이는 기독교인의 현실 참여에서 성서의 사랑정신에 근거하였던 것입니다.
성서에 “왼편 뺨을 맞으면 오른편 뺨을 돌려 대라”,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그리스도 사랑이 원리에 근거하여 무저항 비폭력 평화운동으로 민족독립 운동을 일으켰던 것입니다.
한국 기독교는
3. 1운동을 통해「십자가 고난」을 체험했고 「부활과 재림」신앙을 현실 속에 정착시킬 수 있었던 역사 속에 사건이라는 것입니다.
2.
3. 1운동은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미국의 패트릭 헨리가 “우리에게 자유를 달라 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다오”라고 함과 같이 우리 기독교 신자들이 독립운동에 앞장선 것은 자유를 찾기 위한 운동이며 해방운동이었습니다.
사람은 여호와 하나님의 피조물 입니다. 피조물 된 사람들은 여호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사람들에게 여호와 하나님은 자유를 주셨고 평등하게 살 권리를 주셨습니다. 자유는 인간에게 준 기본권리입니다.
그런데 우리 민족은 일본의 무력침략으로 민족탄압을 받으며 자유를 상실하게 된 것입니다. 사람들은 빈부귀천이나 인종의 차이 없이 평등하게 살게 지음 받았으나 차별대우를 받으며 종의 멍에를 메고 살게 되었던 것입니다.
3. 1운동은 억압에서의 자유 차별 대웅서 평등한 삶을 위한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갈라디아 5장 1절에서 “그리스도께서 너희에게 자유를 주셨으니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자유를 지키라는 말씀입니다. 우리는 자유와 해방 평화와 평등한 삶을 지켜갈 수 있어야 합니다. 주님께서 요 8:32절에서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고 했습니다.
우리의 정치적인 자유, 신앙적인 자유, 그리고 죄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자유는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이룩되는 것입니다.
3. 1운동의 정신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자유를 얻는 정신에서 연유된 것입니다.
3. 1운동은 민족적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3. 오늘의
3. 1운동은 정의, 평화, 창조보존 운동이어야 합니다. 오늘은
3. 1운동은 정의운동, 평화운동, 창조보존 운동이어야 합니다. 정의란 오늘 우리의 세계가 겪고 있는 범세계적인 분배의 불균형, 인종차별, 성차별 신분제도에 따른 사회 계급적 차별,
인권의 문제, 정치적 민주화 문제 등을 포괄하는 것들입니다. 오늘의 제3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은 독재자의 철권아래 시달리는 소수의 독점 재벌에게 수탈당하며 불의한 취급을 받으며 살고 있습니다.
약탈, 억압과 살생 속에서 살고 있는 자들에게 교회가 주어야 할 메시지가 무엇입니까? 정의입니다. 교회는 이 사회 속에서 정의운동을 전개해야 합니다. 그리고 평화운동이 일어나야 합니다.
교회는 동서의 이념적 대결이나 민족 간 사회 간의 대립을 뛰어 넘어 인류에게 항구적 평화를 가져 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가야 합니다. 주 안에 있을 때만 참된 평안과 평화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세상은 창조질서 보존 운동이 일어나야 합니다. 생태계의 파괴, 환경오염, 과학기술의 오용 등의 문제 등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창조질서를 보존하는 운동이 일어나야 아름다운 세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3. 1운동은 정의운동, 평화운동, 창조질서, 보존운동 이어야 합니다.
4. 말씀을 정리 합니다.
3. 1운동은 민족독립 운동이었으며 민족 자유해방 운동이었습니다. 오늘 우리는
3. 1정신을 이어 받아 남북통일 운동, 정의운동, 평화운동, 창조질서 보존운동을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앞장서서 전개해야 하겠습니다.
반정부활동을 하는 사회운동에 앞장서라는 것은 아닙니다. 살맛나는 세상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3. 1운동정신을 이어받아 기독교인들이 앞장서서 솔선수범하므로 여호와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는 성도의 복된 삶이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