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TOP
DOWN

옥한흠 목사의 강해설교

본문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설교가로 인정받는 설교학자 고든콘웰대 석좌교수 해돈 로빈슨(Haddon W. Robinson)은 강해설교를 이렇게 정의한다.

 

강해설교란 성경적 개념의 전달이다. 이 개념은 본문을 그 문맥에 맞게 역사적, 문법적, 문학적으로 연구해서 나오는 것으로, 성령은 이것을 먼저 설교자의 인격과 경험에 적용시키고 그 후에 그를 통해 청중에게 적용시킨다”(Haddon W. Robinson, 강해설교, p.23).

 

강해설교에 대한 총신대 신학대학원 설교학 김창훈 교수의 이론도 해돈 로빈슨과 다르지 않다. 본문이 바르게 해석되어 설교에 반영되어야 하며, 내용 구성과 전개에서 본문에 온전히 지배될 것과 핵심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야 함을 전제로 삼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강해설교는 본문을 바르게 적용하는 설교라고 본다. 그렇다면, 강해설교는 설교 형식이 아니다. 설령, 어떤 형식을 지닌다 할지라도 본문을 통해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청중의 변화를 위해 설교하는 것이라고 볼 때 이는 설교 철학인 것이다.

 

옥한흠식 강해설교

 

1. 옥한흠 목사의 설교는 어느 하나도 본문과 무관한 설교가 없었다. 그의 설교는 철저하게 성경 본문에 근거하고 있다. 본문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서 그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모든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면서도 우리의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도록 본문에 맞는 적절한 예화와 적용이 뒤따른다. 때문에, 그의 설교는 강해설교인데도 강해설교를 듣는 것 같지 않게 딱딱하지 않다. 은혜롭고 아주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2. 실제로 그의 설교는, 한국에서 설교 잘하기로 유명한 기성교회 목회자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그것은 그들의 설교가 옥한흠 목사처럼 감동적이지 않다는 말이 아니라, 접근 방법에 차이가 있다는 뜻이다. 옥 목사의 설교가 말씀대로의 설교, 본문에 기초한 철저한 강해설교라고 한다면 다른 이들의 설교는 주제설교 쪽에 가깝다.

 

3. 옥 목사의 설교가 철저하게 본문에 기초하면서도 성경 본문의 상황과 내용의 설명을 통해 청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북돋아 준다고 분석한다. 그러는 동안, 청중들은 성경 본문 밖의 무언가 놀랍고 감동적인 것으로 시선을 돌린다고 본다. 세상적인 방식으로 그들을 즐겁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본문에 충실하게 만들면서 청중들을 말씀 속으로 끌어들여 그 의미에 귀를 기울이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4. 옥한흠 목사 설교가 힘이 있고 감동적인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본문에 대한 정확한 주석과 원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 본문과 관련된 뚜렷한 복음주의 신학이 뒷받침되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 있다.

 

5.이는 청중들에게 본문에 대한 지평을 넓혀 주고, 보다 더 친숙하게 본문에 접근하여 말씀을 이해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그는 언어가 지닌 의미를 분석하여 제시하고, 때로는 우리말의 한계를 영어와 헬라어 원문을 동원하여 보충 설명해 본문의 시각을 바르게 교정해 주기도 한다.

 

6. 옥 목사의 강해설교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성경 지식을 동원한 단순한 본문 분석이 아니라 본문에 귀를 기울여 본문이 말하는 바를 발견하고 삶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게 한다.

 

7. 이른바 교회에서 믿음이 좋다고 평가받는 이들이 가정과 직장에서는 별로 성실한 삶을 살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성역 없이 비판한다. ‘하나님의 일세상 일을 구분하면서 교회에 와서 심방하고 전도하고 성경 가르치는 일은 주님의 일이요, 집에서 설거지하고 아이를 키우는 일은 주님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들의 사고는 이원론적이요, 결코 성경적인 아님을 강조한다.

 

8. 이런 비판과 적용은 그의 설교 곳곳에 등장한다. 그만의 설교의 독특성은, 본문에 적절한 예화와 삶의 뿌리를 내리는 적용을 통해 변화를 체험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런 통찰을 경청하고 있노라면, 기독교가 일종의 게토 집단화하여 자기 울타리 안에서만 통용되는 특별한 정서로 무장한 채 사회와 유리되고 있다는 따가운 비판에 대한 예언자적 대안을 듣는 듯하다.

 

9. 그는 매번 설교할 때마다 결론에서 성경 본문 내용에 걸 맞는 도전을 분명하게 한다. 청중으로 하여금 개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현재의 비신앙적이고 비성경적인 삶의 변화를 촉구한다. 된장 뚝배기 같은 그의 설교를 들은 청중은 영적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옥한흠식 강해설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