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TOP
DOWN

청중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소통하는 옥한흠 목사의 설교법

본문

지난 1127, 총신대학교 한국기독교사연구소는 사랑의교회 30년 평가와 전망이라는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심포지엄에서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박응규 교수는 한국교회를 깨운 옥한흠 목사의 설교 세계라는 논문을 통해 옥 목사의 설교는 개인만의 소유도 아니고, 사랑의교회만의 것도 아니며, 모든 신앙인들에게 그 귀한 의미를 던져야 할 한국교회의 영적 유산이라고 평가했다. 그만큼 옥한흠 목사의 설교는 한국교회에서 독보적인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옥한흠 목사님, 청중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소통하라.

 

1. 옥한흠 목사에게 있어 청중 분석은 본능적이고 직감적인 것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에게 주신 은사라고 볼 수 있다. 그 스스로가, 자신이 설교할 때 눈높이를 어디에 두고 이야기하는지를 직감적으로 아는 능력이 있음을 말한다(“한국의 명설교가 시리즈3- 설교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들리게 하십시오,”그말씀, p.8). 또한, 오랜 세월 동안 제자훈련을 진행하면서 평신도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들의 영적 상황을 경험하다 보니, 어떻게 설교해야 하는가에 대한 무언의 해답을 얻었다고 진술한다.

 

2. 청중의 중요성을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그가, 원래부터 청중에 관심을 가진 것은 아니다. 젊은 시절에는 마음이 뜨거워서 힘 있게 전달하는 쪽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당시, 청중을 이해하는 면에서 배려가 부족했다고 고백한다(“이달의 설교자- 성령의 능력을 힘입어야 합니다,”그말씀, p.26). 세상과 별로 접촉이 없는 교회 안에서 사는 목사도 갈등과 연약함이 있는데, 세상 속에서 사는 교인들은 얼마나 많은 고민과 갈등 속에서 몸부림치고 괴로워할까를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3. 청중과 관련해, 옥 목사는 설교자가 가장 잘 빠지기 쉬운 위험 가운데 하나를 소개한다. 그것은 설교자가 사람을 잘 모르고 설교한다는 점이다. 옥 목사는 기독교의 본질을 만남의 종교’(“설교와 청중,”월간 목회, p.83-84)로 규정하면서, 설교자는 하나님의 대변자로서 진리를 정확하게 알고 전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4. 옥 목사는 한국교회 설교자를 크게 보수주의 진영과 자유주의 진영으로 구분하면서, 청중분석과 관련해 잘못된 행태를 비판한다. 일반적으로, 보수 진영에 속한 설교자들이 하나님 말씀의 중요성을 깊이 강조하여 깊이 연구하고 기도하며 묵상하는 데 비중을 크게 둔 것을 아름다운 자세라고 칭찬한다. 그러나 이들은 사람을 깊이 이해하려는 노력이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반대로, 자유주의 전통의 설교자들은, 하나님 말씀보다 인간과 사회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성이 강하다고 진단한다. 그들 역시 편향성을 지닌 청중 이해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5. 옥 목사가 제시하는 설교자의 청중 이해는, 무엇보다 먼저 인간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설교자는 그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으며,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청중들이 현실적으로 당면한 심각한 문제가 어떤 것이라는 것을 가정, 사회, 정치적으로 알 것을 지적한다. 그럴 때 설교는 듣는 사람들의 심장을 향해 말씀을 쏘는 설교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6. 그렇다면 어떻게 청중을 이해하란 말인가? 옥 목사는 크게 다섯 가지를 주문한다(“설교와 청중,”월간 목회, p.83-84).

 

첫째, 설교자는 강단에 설 때 하나님 앞에 선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 이는, 설교자는 전하는 자로서의 도구로 사용되는 인간이고, 청중은 듣는 자로서의 입장에 있는 인간이란 점에서 동일하다는 의견을 피력한다. 설교자가 강단에 서지만, 하나님 앞에서 설교하는 것임을 잊지 말라고 충고한다. 설교자의 양면성을 강조하는 통찰이다.

 

둘째, 청중에 대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라. 이는 독일의 실천신학자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말을 빌려 강조하는 사항이다. 자신의 설교를 듣는 청중을 놓고 감사하는 것이 청중을 이해하는 첩경이라는 것이다.

 

셋째, 설교를 듣는 자기 청중에게 비전(Vision)을 가지라. 이는 청중에 대해 부푼 기대감을 갖고 설교하라는 주문이다. 비록 지금은 청중이 신앙적으로 어리고 문제도 많으며 설교를 경청하지 않지만, 하나님은 이 청중을 통해 큰 기적을 이루실 것과 놀라운 역사를 일으키신다는 비전을 갖고 청중을 바라보라는 의미다. 그럴 때 청중을 이해하는 눈이 훨씬 달라질 것임을 강조한다.

 

넷째, 청중을 창조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옥 목사는 설교를 카리스마적인 존재로 규정한다. ? 설교는 본질적으로 인간이 하는 것이 아니고, 성령이 하는 사역이기 때문이란다. 성경 말씀을 창의적으로 깊이 연구하고 성령 충만하면, 자연적으로 카리스마적인 설교에 호응하는 청중이 생길 것이라고 말한다. 설교로 자기 양을 낳는 해산의 축복, 이것이야말로 하나님이 설교자에게 주시는 독특한 선물임을 역설한다.

 

다섯째, 설교 형식을 지나치게 기계화시키지 말라. 옥 목사는, 설교가 다양성을 띄는 것이 좋고 유연성을 갖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그가 선호하는 설교 방식은 강해설교다. 성경 본문에 충실하고, 그 다음에 현실 적용력이 강해야 하며, 성령의 영감을 통한 호소력이 있어야 된다고 지적한다.

 

청중을 바르게 이해하면서, 하나님 말씀이 가르쳐 주시고 명령하시는 대로 양심껏 전할 때 설교가 설교다울 수 있다고 본다. 그래야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설교에 대한 옥 목사의 지론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