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부] 40명에서 260명으로 출석 부흥의 비결 ☆
본문
시상을 통한 교회학교 부흥
1.서론
우리가 어렸을때 교회에서 가장 기억남는 일은 무어니 해도 성탄절등 절기에 주는 선물일 것입니다 그래서 성탄절이나 여름 성경학교가 열리면 교회에 다니는 학생은 물론이고 평소 교회에 다니지 아니하는 학생까지도 교회에 출석했던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교회에 출석하여 교인이 된 경우도 있음을 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제가 발전하면서 생활수준이 높아지게 되자 교회학교의 시상은 큰 문제점을 갖게 되었습니다 즉 교회학교의 재정은 별로 증가되지 않았기에 혹은 조금밖에는 증가하지 않았기에 시상품이 별로 변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노트, 필통,연필등 학용품이 시상품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학생의 생활 수준이 높아져서 노트라도 00제 등 고급품을 요구했습니다 이런 갈등은 결국 시상은 했지만 효과가 없는 시상을 위한 시상이되게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교회학교에서 시상의 효용성은 없어진 것입니까? 만약 교회교육에 있어서 시상이 필요 하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 본 소고에서는 시상의 문제점과 대안을 현장에 입각하여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바라옵기는 이 소고가 열악한 교육현장에 조금이라도 도움이된다면 무한 영광입니다.
2본론
1)우리나라 교회학교의 시상 현황
우리나라 교회학교의 시상 현화을 살펴보면
첫째 종류가 많다는 점입니다 전도상, 출석상, 모범상, 헌금상, 새신자 환영선물, 생일선물등 여러 가지가 있읍니다
둘째,교회학교의 한정된 예산으로 집행하다가 보니까 각 상의 단위 금액이 적게는 몇 백원에서 많게는 몇천원 정도라는 것입니다 그결과 시상품 선정은 선택의 여지가 없고 항상 제공되는 시상품 즉 노트, 필통,성경,으로 국한 될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시상품 선택에 있어서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이나 어린이들이 요구하는 것은 준비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넷째, 시상품 선택도 현재의 학생과 생활환경,욕구가 틀리는 교사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요사히 화자되어지는 소비자 중심의 시상이 아니라 공급자 중심의 시상이라는 것입니다
2)문제점
사실 교회학교에서 시상이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이 미성숙함으로 시상을 통해 신앙을 격려하고 신앙생활에 정착케 하려는 것입니다 그런대 현재의 교회학교 시상은 예산 부족과 선생님들의 학생들의 신앙생활을 하도록 유도하는 데에 영향을 주지 못하거나 조금 밖에는 영향을 주지 못 한다는 것입니다
3)성천교회 교회학교를 중심으로 본 해결책
(1) 성천교회 교회학교의 현황
성천교회 교회학교는 1975년에 시작 하였습니다 교회가 위치한 지역은 단독 주택가로써 학생이 그렇게 많다고느 할 수 없습니다 2003년에 어린이부 집회인원은 약 30_40명정도 모여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그러나 2004년에는 어린이 교육인원이 100명을 넘어섰고 2005년에는 교육인원이 257명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시상제도의 개선도 영향을 미첬다 고 생각 합니다
(2)시상제도원칙
① 모든 예산은 효율성이 있게 집중하여 사용한다
②시상품은 가능한 한 어린이가 원하는 것으로 선정 한다
③시상횟수는 수시에서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시기로 한다
④모든 시상은 전도로 집중하여 실시 한다
⑤모든 시상은 달란트 잔치 때 실시 한다
(3)시상의 실제
①새 학년도가 되면 각 반 학생들이 원하는 상품을 조사 한다
②학생들이 원하는 시상품 목록을 작성 한다
③교사회의를 열어서 학생들이 원하는 물품의 달란트를 정한다 (예를 들면 한명 전도할 때 평소 시상품 단가가 3000원이라고 하면 10명 전도 할 때의 시상품은 30000원정도의 상품이 되는 것입니다)
④학생들이 잘보는 장소에 시상품의 사진과 달란트 금액을 게시합니다
학급 담임은 학생들에게 이 게시물을 보여주며 신앙생활을 독려 합니다(주일출석,헌금,전도,새신자정착,모범등을 달란트로 환산하여 매주 부여하고 달란트 통장에 기재 합니다)
⑤학생의 신앙이 나태하게 될 때마다 이 포스터를 보여주고 다시 한번 각오를 다지게 합니다.
⑥달란트 잔치가 가까워 지면 학생의 달란트를 알려주고 매주 시상품을 받도록 격려 합니다
⑦달란트 잔치날에는 새신자 혹은 평소에 신앙생활을 잘 못해서 달란트가 없는 학생이라도 최소한 음식은 먹을수 있도록 기본 달란트를 줍니다
⑧학생이 시상을 위해 남긴 달란트는 다음 달란트 잔치로 이월 시킵니다
(4)시상시기
①3월-이유: 겨울방학동안 어린이들의 결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으로 있을 전도에 대한 적극 참여를 유도하려고
②5월말-이유: 전도통한 부흥을 위하여(전도는 주로 3,4,5월에 이루어집니다)
③9월-이유: 여름 성경학교 이후 신앙의 나태해짐 방지하려고
④12월-이유: 1년 신앙생활 결산
3결론
초등학교시절 선생님께서 노트검사를 하시며 잘했을 때는 동그라미를 여러개 쳐 주시면 더열심히 숙제를 했던 기억이 있읍니다 그때의 격려가 지금의 나의 생활에 영향을 주었던 것처럼 교회학교의 시상이 시기에 맞게 어린이의 호기심을 유발시킬수 있게 실시되면 우리 어린이의 삶도 변화되고 교회학교도 부흥 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 전도 및 관리
박정애 감리교스포츠선교회 어린이전도연구위원
1. 전도자의 자세
(1)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꾸준히 어린이를 만나야 한다.
(2) 사랑하는 마음이 중요하다.
(3) 아끼지 말아야 한다. (시간, 물질)
2. 놀이터, 골목길 전도
(1) 시간되는 대로 어린이를 만나 안아주고 놀아준다.
(2) 친해지고 전도대상자를 확인한다.
(3) 교회에 나오라고 해도 괜찮을 정도로 친해지면 교회로 데려간다.
(4) 교회에서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사준다.
3. 학교 앞 전도
(1) 같은 선생님이 같은 학교로 가야 한다.
(2) 토요일 오전 등교 길
- 주일 오는지 안 오는지 알게 됨
- 친구 데려오라고 이야기
- 초청장을 전함
- 사탕, 껌, 초콜릿, 요구르트, 찐빵, 초코파이 등을
교회 어린이와 전도대상친구에게 줌
(3) 평일 하루 더 하교길 전도
4. 쿠폰을 통한 전도 및 관리
출석 3 달란트, 전도 5 달란트. 문방구, 분식점과 사전 협의
5. 전도상 시상
매 3개월마다 개인이 원하는 선물(게임CD, 인형, 축구화, 옷, 가방, 자전거, 신발...)
ex) 근택, 승은, 지중
6. 관리
(1) 학교행사- 수련회 음료 혹은 과자, 체육대회, 수학여행, 소풍..
(2) 생 일- 편지, 선물 (3) E-mail
(4) 전 화 (5) 학교 앞
7. 총 출석 및 전도잔치
행운권, 마술, 레크리에이션, 떡볶이, 샌드위치 만들어 먹기
8. 축구전도
모집
친선경기를 통한 전도확대
’감리교어린이축구대회’를 통한 6학년 30명 전도
5학년, 4학년 조직
중등부로 올라가 15명 출석
예수께서는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냐는 질문에 “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마22:37~38)고 말씀하셨다. 모든 사역의 핵심은 ‘사랑’이라는 말이다. 청소년 사역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프로그램이나 방법 이전에 청소년을 사랑하는 뜨거운 가슴이 있으면, 영혼을 사랑하는 뜨거운 마음이 있으면, 때가 되면 성장하고 부흥하게 될 것입니다. 그 후에 방법도 프로그램도 보이게 될 것입니다. 1791년 3월 2일 88세 소천하는 존 웨슬리의 친구이며 주치의였던 화이트헤드 박사는 임종을 맞이하는 웨슬리의 상태를 진단하고“이 사람의 몸은 늙어서 죽는 것이 아니라 전부 소모되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 땅의 청소년을 살리기 위해 우리의 몸을 드릴 사역자들을 부르시고 계십니다. 이 일에 내가 선봉장에 서게 하소서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