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서

TOP
DOWN

[교사] 분반공부 지도법

본문

분반공부 지도법

1. 배운다는 것은 교사가 말해주는 것을 기억해 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배운다고 하는 것은 이해한다는 것이다.
- 이해한다고 하는 것은 경험해 본다는 것이기도 하다.
- 고로 우리는 낡은 주입식 교육을 새로운 경험교육으로 바꾸어야 한다.

2. 교사는 가르칠 대상을 충분히 알고 있어야 한다.
- 어린이 개개인을 알아야 한다.
- 어린이의 개성, 요구, 취미, 이해력 등을 알아야 한다.

3. 교사는 가르칠 교재를 충분히 연구해야 한다.
- 어린이의 이해력을 중심해서 가르칠 준비를 해야 한다.{ 가르침의 방법, 순서 등 }

4. 분반은 원칙적으로 장소를 달리해야 한다.
- 여름철에는 야외 분반도 좋다.
- 가능하다면 이동식 칸막이라도 구비하면 좋다.
- 반마다 활동용 테이블을 마련해 주면 더욱 좋다.

5. 분반교수를 성공시키려면 교사와 어린이가 먼저 인간적으로 친밀해져야 한다.
- 시작 전시간을 노래와 놀이 시간으로 활용한다.
- 결석 어린이는 지체없이 연락해 본다.
- 어린이의 문제를 찾아내어 구체적으로 지도한다.

-분반교수는 이렇게

1. 분반교수에는 성경과 생활이r 항상 두개의 촛점으로 맞물려 있어야 한다.
2. 이야기 법(Story Telling)
- 이야기로 꾸며 교재를 살린다.
3. 구안교수법(Project Lecture)
- 어린이의 자발적인 계획과 활동에 기초를 둔다.
- 많은 시간과 기술을 요한다.
4. 극화법(Dramatization)
- 배운 것을 혹은 배울 것을 간단히 극으로 해본다.
- 대화극, 무언극, 무대극 등이 있다.
5. 공작활동법(Activity)
- 배운 것을 자기 손으로 표현해 본다.
- 그림 그리기, 포스터 만들기, 화극 만들기, 점토공작, 색깔 뿌려 그림 그리기, 그림 오리기, 그림 붙이기 등t이 있다.
6. 토의법(Discussion)
- 대화나 지식을 교환해서 문제를 해결한다.
- 남의 의견을 존중하게 한다.
7. 강의법
8. 시청각 교육법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