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신학

TOP
DOWN

교회행정총론

본문

현대 사회는 산업화, 분업화 및 전문화에 의해 급속도로 성장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전반의 조직적인 발전으로 현대교회 역시 체계적인 성장을 하였다. 그중에서도 교회 행정의 조직적이며 체계적인 전문화로 인해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달성하는 데 구심점이 되고 있다. 교회 행정은 일반 행정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일반 행정은 공익의 실현이나 이익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교회 행정은 자발적인 봉사와 협동을 이끌어 내는 고도의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더욱이 교회 행정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도하고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믿음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교회 행정이란 교회의 본질과 선교적 사명이 무엇인지를 먼저 발견하고, 그 사명을 감당하는 데 있어서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조직적이며 포괄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교회 행정의 본질을 바로 인식할 때 교회의 근본적인 목적인 선교와 구령 사업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교회와 성도들의 영적 성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회는 그리스도께서 세워 주신 신성한 모임으로 사람들이 만든 사회 단계가 아닌 신앙 공동체이다.

  따라서 이 공동체에 속해 있는 모든 교인들에게 그리스도와 연합된 교회의 의식을 심어 주고 수행하는 것이 교회 행정의 첫째 원리가 된다. 둘째, 교회는 육적인 공동체가 아닌 영적인 공동체로서 하나님 나라의 회복과 영위에 있다.

셋째, 교회 행정은 가시성과 불가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교회 행정의 근본 원리가 된다. 넷째, 교회 행정은 우주성과 지역성을 가지고 있기에 한 지역에 있는 지 교회의 조직 운영 등이 교회의 일부분이 된다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교회 행정의 원리는 행정가 한 사람의 의도대로 움직이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교회를 온전히  하여, 교인들에게 주어진 사명을 감당하게끔 하는 데 있다. 그렇지만 아무리 좋은 교회 행정의 취지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교회 행정에 대한 체계적인 조직과 관리가 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교회 행정은 조직을 통해서만 통솔되고 운영될 수 있으며, 조직은 효과적인 관리와 목적을 이루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만약 조직 체계가 없는 가운데 교회 일을 하게 된다면 우왕좌왕하는 가운데  아무런 효과를 거둘 수 가 없다. 반면 조직 체계가 잘되어 있고 그 조직체에서 그 구성원들이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한다면 그 교회는 성장할 수밖에 없다. 또한 현대교회에서 하나님 나라의 실현이라는 선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효율적인 교회 행정 관리가 필요하다. 행정 관리란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로서 행정 조직의 전반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조직의 관리에 있어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는 관리를 통하여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과 달란트를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교회의 사업이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는가를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가 영적으로 살아 있는가를 관리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유능한 행정가가 되지 않으면 목회는 성공할 수 없다. 행정가로서 목회자는 늘 기도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교회를 어떻게 이끌어 갈 것인가를 겸손하게 간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럴 때에 그 목회자는 하나님께 합당한 유능한 행정가가 되는 것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 건 - 1 페이지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