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자녀와의 대화 때 명심할 7가지
본문
1. 당신이 잘못했을 때 인정하고 사과하라.
-사춘기 자녀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완벽한 비판자보다는 실수할 수 있는 인간을 원한다. 미안하다고 말하는 순간 높아만 보이던 마음의 장벽이 허물어진다.
2. 진정으로 귀 기울이라.듣는 척 하지 말라.
-자녀의 안테나는 예민해 이 둘의 차이를 금방 알아차린다. “제가 금방 뭐라 그랬어요” 라는 갑작스런 질문에 당황해하는 부모의 모습 속에서 자녀는 깊은 좌절을 느낀다. 그리고 급히 마음문을 닫는다.
3.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간결하고 정확히 말하라.
-부모가 진정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부지런히 가르치라. 말은 현실이 되어 나타날 것이다. 절대 넘지 말아야 할 경계선을 분명히 제시하라. 자녀를 죄의 유혹으로부터 보호하는 양심선이 될 것이다.
4. 먼저 듣고, 나중에 말하라.
-하나님은 두개의 귀와 하나의 입을 허락하셨다. 뿐만 아니라 듣고 말하는 일에 으뜸인 사람을 성인(聖人)이라 칭한다. 그러므로 말하기는 더디하고 듣기는 속히 하라. 결코 성급하게 대화를 중단시키지 말고 끝까지 귀 기울이라.
5. 실수하거나 실패했을 때 사랑한다고 말하고 격려하라.
-청소년기 자녀는 부모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인 자신의 존재가치를 자리매김하려 한다. 무조건적 용납을 확인하려는 자녀의 바람은 너무도 간절하다. 행위에 초점을 둠으로써 실수한 자녀를 용납할 때, 자녀는 부모의 모습 속에서 하나님의 발견한다. 비로소 자신의 존재가치가 하나님 안에 있음도 발견하게 된다.
6. 말끔을 좇는 멍멍개가 되지 말고 마음을 덮치는 사자가 되라.
-화가 나 자녀의 서툰 표현에 걸려 넘어지지 말고 서툴게 표현할 수밖에 없는 마음속 분노를 읽어라. 잔소리나 강의, 훈계는 관계를 파괴할 따름이다. 끊임없이 마음의 귀를 훈련하여 마음의 소리를 듣고 반응하라.
7. 과장하거나 과잉반응하지 말라.
-가슴을 철렁이게 만드는 예고없는 말들은 자신에 대한 부모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이다. 지나친 걱정이나 분노 등의 과잉반응은 신뢰도 테스트에서 낙제점을 받게 한다. 가볍게 받아 넘기라.결코 흔들리지 않는 신뢰감을 표현하라.
<글로벌 패밀리 리서치센터, 김향숙 원장>
-사춘기 자녀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완벽한 비판자보다는 실수할 수 있는 인간을 원한다. 미안하다고 말하는 순간 높아만 보이던 마음의 장벽이 허물어진다.
2. 진정으로 귀 기울이라.듣는 척 하지 말라.
-자녀의 안테나는 예민해 이 둘의 차이를 금방 알아차린다. “제가 금방 뭐라 그랬어요” 라는 갑작스런 질문에 당황해하는 부모의 모습 속에서 자녀는 깊은 좌절을 느낀다. 그리고 급히 마음문을 닫는다.
3.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간결하고 정확히 말하라.
-부모가 진정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부지런히 가르치라. 말은 현실이 되어 나타날 것이다. 절대 넘지 말아야 할 경계선을 분명히 제시하라. 자녀를 죄의 유혹으로부터 보호하는 양심선이 될 것이다.
4. 먼저 듣고, 나중에 말하라.
-하나님은 두개의 귀와 하나의 입을 허락하셨다. 뿐만 아니라 듣고 말하는 일에 으뜸인 사람을 성인(聖人)이라 칭한다. 그러므로 말하기는 더디하고 듣기는 속히 하라. 결코 성급하게 대화를 중단시키지 말고 끝까지 귀 기울이라.
5. 실수하거나 실패했을 때 사랑한다고 말하고 격려하라.
-청소년기 자녀는 부모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인 자신의 존재가치를 자리매김하려 한다. 무조건적 용납을 확인하려는 자녀의 바람은 너무도 간절하다. 행위에 초점을 둠으로써 실수한 자녀를 용납할 때, 자녀는 부모의 모습 속에서 하나님의 발견한다. 비로소 자신의 존재가치가 하나님 안에 있음도 발견하게 된다.
6. 말끔을 좇는 멍멍개가 되지 말고 마음을 덮치는 사자가 되라.
-화가 나 자녀의 서툰 표현에 걸려 넘어지지 말고 서툴게 표현할 수밖에 없는 마음속 분노를 읽어라. 잔소리나 강의, 훈계는 관계를 파괴할 따름이다. 끊임없이 마음의 귀를 훈련하여 마음의 소리를 듣고 반응하라.
7. 과장하거나 과잉반응하지 말라.
-가슴을 철렁이게 만드는 예고없는 말들은 자신에 대한 부모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이다. 지나친 걱정이나 분노 등의 과잉반응은 신뢰도 테스트에서 낙제점을 받게 한다. 가볍게 받아 넘기라.결코 흔들리지 않는 신뢰감을 표현하라.
<글로벌 패밀리 리서치센터, 김향숙 원장>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