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7가지 언어 습관
본문
1. 상습적으로 고민거리를 말하고 다닌다.
당신의 잦은 푸념은 결국 '내 능력은 이것밖에 안 돼' 하고 광고를 하고 다니는 격이 되고 만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묻고 본다.
질문의 절제 역시 당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3. 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 마라.
4. 'yes'란 답을 얻고서도 설득하려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말라.
5. "죄송해요"를 남용한다.
습관적인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6.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 말 "그럼 제가 해 볼게요." 무언가 당신이 그 일을 함으로써 당신에게 내적이든 외적이든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때만 나서라.
7.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당연히 업무상 의견 차가 있을 수 있고 당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상대의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다. 쓸데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 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 일이다.
백지연의 자기설득 파워에서
당신의 잦은 푸념은 결국 '내 능력은 이것밖에 안 돼' 하고 광고를 하고 다니는 격이 되고 만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묻고 본다.
질문의 절제 역시 당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3. 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 마라.
4. 'yes'란 답을 얻고서도 설득하려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말라.
5. "죄송해요"를 남용한다.
습관적인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6.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 말 "그럼 제가 해 볼게요." 무언가 당신이 그 일을 함으로써 당신에게 내적이든 외적이든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때만 나서라.
7.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당연히 업무상 의견 차가 있을 수 있고 당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상대의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다. 쓸데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 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 일이다.
백지연의 자기설득 파워에서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