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훈련 방법 5가지
본문
1. 목회 철학을 세운다.
먼저 성서와 전통, 그리고 현실을 기초로 하여 목회철학을 정립해야한다. 즉 교회는 무엇이며 왜 존재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또는 청년대학부는 왜 존재하고 무엇을 목표로 나가야 하는가에 관한 입장을 명확히 하고 청년들과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청년대학부는 방향성 없이 흘러가는 돛단배와 같을 것이며, 청년들과 없이 흘러가는 돛단배와 같을 것이며, 청년들이 함께 교회론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게 되었을 때 제자훈련에 대한 성도들의 동기유발이 자연적으로 성립될 것이다.
2. 스스로 제자가 된다.
제자훈련의 지도자는 먼저 자기 자신이 제자로 만들어지는 실제적 훈련을 받아야 한다. 자신이 먼저 제자가 되지 않고는 남을 제자로 만들 수 없다.
3. 제자훈련의 철학을 공유한다.
제자훈련의 지도자는 먼저 목회철학과 제자훈련의 개념, 취지, 목적 등을 청년들과 공유해야 한다. 지도자가 제자훈련의 꿈을 효과적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단어와 내용이 명료하고 미래지향적이며 도전적이고 현실적이어야 한다.
4. 대상을 선택한다.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잠재력을 보아야한다. 그들이 얼마만큼 배우기를 원하는 자들인가, 하나님께 쓰임 받기 원하는가를 보아야한다. 예수님은 쓰임 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의 장중에 넣어 세계를 움직일만한 시대의 사람으로 만드신다.
5. 집중한다.
예수님께서도 열두 명을 따로 선택하시고 그들을 훈련시키고자 집중하셨던 것처럼 제자훈련에 있어서 적절한 수를 제한하여 강도 높은 훈련을 집중적으로 시켜야한다. 집중하기 위해서 방해되는 사사로운 일들을 단호히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옥한흠 지음 "다시 쓰는 평신도를 깨운다" 중에서
먼저 성서와 전통, 그리고 현실을 기초로 하여 목회철학을 정립해야한다. 즉 교회는 무엇이며 왜 존재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또는 청년대학부는 왜 존재하고 무엇을 목표로 나가야 하는가에 관한 입장을 명확히 하고 청년들과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청년대학부는 방향성 없이 흘러가는 돛단배와 같을 것이며, 청년들과 없이 흘러가는 돛단배와 같을 것이며, 청년들이 함께 교회론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게 되었을 때 제자훈련에 대한 성도들의 동기유발이 자연적으로 성립될 것이다.
2. 스스로 제자가 된다.
제자훈련의 지도자는 먼저 자기 자신이 제자로 만들어지는 실제적 훈련을 받아야 한다. 자신이 먼저 제자가 되지 않고는 남을 제자로 만들 수 없다.
3. 제자훈련의 철학을 공유한다.
제자훈련의 지도자는 먼저 목회철학과 제자훈련의 개념, 취지, 목적 등을 청년들과 공유해야 한다. 지도자가 제자훈련의 꿈을 효과적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단어와 내용이 명료하고 미래지향적이며 도전적이고 현실적이어야 한다.
4. 대상을 선택한다.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잠재력을 보아야한다. 그들이 얼마만큼 배우기를 원하는 자들인가, 하나님께 쓰임 받기 원하는가를 보아야한다. 예수님은 쓰임 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의 장중에 넣어 세계를 움직일만한 시대의 사람으로 만드신다.
5. 집중한다.
예수님께서도 열두 명을 따로 선택하시고 그들을 훈련시키고자 집중하셨던 것처럼 제자훈련에 있어서 적절한 수를 제한하여 강도 높은 훈련을 집중적으로 시켜야한다. 집중하기 위해서 방해되는 사사로운 일들을 단호히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옥한흠 지음 "다시 쓰는 평신도를 깨운다" 중에서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