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신세대맞이 대책 23가지
본문
1. 청소년에 대한 인식을 바꿔라.
기성세대는 내일의 준비라는 미래 지향적인 사고로 신세대를 바라보자.
2. 교회의 斷産현상을 경계하라.
한 세대가 가고, 한 세대가 오는 것은 인생의 순환적 특성이다. 모세는 여호수아에게, 예수님은 베드로 등 제자에게 신앙의 유산을 계승했다. 대(代)를 잇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는 대 잇기에 소홀하고 있다. 교회는 당연히 미래 준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3. 목표를 명확히 하라.
'청소년들을 교회에 나오게 해서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가' 교회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명확한 목표를 갖고 있어야 한다. 즉 교회에 출석하는 기존의 청소년들, 새 신자 청소년,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비신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되는 목표를 세우고 거기에 맞는 다양한 전략과 프로그램을 구체화해 나가야 한다. 나아가 모든 청소년들이 살아가고 있는 환경을 개선해나가야 한다.
4. 100인 100색의 전략을 세워라.
청소년들은 100인 100색이다. 교회가 100인 1색의 전략으로 다양하고 개성이 강한 청소년들을 더 이상 선교하고 교육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보다 다원화된 전략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5.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투자하라.
청소년, 청년부의 성장 비결은 담임목사의 목회 철학과 당회의 관심에 달려 있다. 그들에 대한 관심은 청소년에 대한 예산 편성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연간 예산의 몇%를 그들을 위해 편성해 놓고 있는가
6. 청소년들의 독특한 문화를 수용하라.
젊은이들을 위한 열린 목회를 하는 교회에는 젊은이들이 모여든다. 그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는 교회가 이들의 독특한 문화를 이해해 주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7. 젊은이들에게 교회 시설을 개방하라.
청소년들이 교회에서 머물 수 있도록 시설과 공간을 배려해 주자. 교회를 지역 청소년 회관으로 과감히 개방하라.
8. 신세대에 맞는 프로그램을 준비하라.
청소년들이 교회를 멀리하는 이유는 텔레비전의 출현, 교회 교육의 낙후성(시설, 인력, 프로그램), 장년 위주의 교회 운영 등이다.
9. 신세대에게 맞는 미디어를 개발, 활용하라.
10. 유능한 지도자를 확보하라.
유능한 지도자 없이 좋은 프로그램은 나오지 않는다.
11. 제도와 시스템을 0-base에서 재구축하라.
전에 해오던 방식대로 대충 밀고 나아가기에는 세상이 너무도 변했다. 급속한 변화를 느끼지 못한 채, 툭하면 '우리가 청년이었을 때'를 꺼내 놓고 따분한 옛날 얘기를 늘어놓아서는 곤란하다.
12. 학교교육 체제를 벗어나라.
나이를 기준으로 한 학급 편성과 지식 주입식 위주의 학교 교육을 교회가 답습해야 할 이유 가 뭔가
13. 젊은이들의 의견을 수용하라.
교회 조직은 진정한 토론과 의사소통이 이뤄져야 건강해진다. 그것이 막히면 동맥경화증이 된다.
14. 환경을 바꿔 줘라.
영화, 비디오, 텔레비전, 만화, 청소년 잡지, 지역 사회 내의 유흥 시설 등 청소년들에게 폐해를 주는 나쁜 환경을 먼저 개선해 줘라.
15. 가정에서부터 시작하라.
가정은 청소년의 인격을 결정짓는 토양이다. 대부분의 문제는 가정에서 비롯된다. 문제의 해결도 가정에서 찾아야 한다.
16. 먼저 부모를 교육하라.
가출 원인 1위는 부모와 대화가 안 되는 데 있다. 학부모를 소외한 어떤 교육도 성공할 수 없다.
17. 지역 사회 학교로 눈을 돌려라.
지역 사회 학교야말로 황금 어장이다. 학교의 교사, 학생을 위해 선교 전략을 짜라.
18. 청소년들과의 접촉 시간을 늘리고 상담을 강화하라.
한 주일에 한 시간 동안 함께 모임을 가짐으로써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상담을 통해 개인적인 갈등을 해소해 줘야 한다.
19. 가정, 학교, 교회가 삼각 체제를 갖춰라.
학교, 가정, 교회가 유기적으로 공조하지 않고는 청소년을 지도할 수가 없다.
20. 소외 계층을 돌봐라.
대학입시 낙방자, 장애인, 소년소녀 가장, 결손가정 출신, 청소년 재소자야말로 1차 구원의 대상자다.
21. 삶의 태도를 바꿔 줘라.
학교 식의 지식 암기 교육을 걷어치우고, 삶에 대한 태도를 바꾸도록 지도하라.
22. 리더십을 바꿔라.
신세대 접근법 참조
23. 책을 읽혀라.
요즘 청소년들은 책 읽을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없다. 독서의 가치와 즐거움을 잘 모른다. 인격을 도야하는 데 독서만큼 효과적인 매체는 없다.
이의용 지음 <튀는 세대 별난 아이들> 중에서
기성세대는 내일의 준비라는 미래 지향적인 사고로 신세대를 바라보자.
2. 교회의 斷産현상을 경계하라.
한 세대가 가고, 한 세대가 오는 것은 인생의 순환적 특성이다. 모세는 여호수아에게, 예수님은 베드로 등 제자에게 신앙의 유산을 계승했다. 대(代)를 잇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는 대 잇기에 소홀하고 있다. 교회는 당연히 미래 준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3. 목표를 명확히 하라.
'청소년들을 교회에 나오게 해서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가' 교회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명확한 목표를 갖고 있어야 한다. 즉 교회에 출석하는 기존의 청소년들, 새 신자 청소년,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비신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되는 목표를 세우고 거기에 맞는 다양한 전략과 프로그램을 구체화해 나가야 한다. 나아가 모든 청소년들이 살아가고 있는 환경을 개선해나가야 한다.
4. 100인 100색의 전략을 세워라.
청소년들은 100인 100색이다. 교회가 100인 1색의 전략으로 다양하고 개성이 강한 청소년들을 더 이상 선교하고 교육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보다 다원화된 전략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5.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투자하라.
청소년, 청년부의 성장 비결은 담임목사의 목회 철학과 당회의 관심에 달려 있다. 그들에 대한 관심은 청소년에 대한 예산 편성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연간 예산의 몇%를 그들을 위해 편성해 놓고 있는가
6. 청소년들의 독특한 문화를 수용하라.
젊은이들을 위한 열린 목회를 하는 교회에는 젊은이들이 모여든다. 그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는 교회가 이들의 독특한 문화를 이해해 주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7. 젊은이들에게 교회 시설을 개방하라.
청소년들이 교회에서 머물 수 있도록 시설과 공간을 배려해 주자. 교회를 지역 청소년 회관으로 과감히 개방하라.
8. 신세대에 맞는 프로그램을 준비하라.
청소년들이 교회를 멀리하는 이유는 텔레비전의 출현, 교회 교육의 낙후성(시설, 인력, 프로그램), 장년 위주의 교회 운영 등이다.
9. 신세대에게 맞는 미디어를 개발, 활용하라.
10. 유능한 지도자를 확보하라.
유능한 지도자 없이 좋은 프로그램은 나오지 않는다.
11. 제도와 시스템을 0-base에서 재구축하라.
전에 해오던 방식대로 대충 밀고 나아가기에는 세상이 너무도 변했다. 급속한 변화를 느끼지 못한 채, 툭하면 '우리가 청년이었을 때'를 꺼내 놓고 따분한 옛날 얘기를 늘어놓아서는 곤란하다.
12. 학교교육 체제를 벗어나라.
나이를 기준으로 한 학급 편성과 지식 주입식 위주의 학교 교육을 교회가 답습해야 할 이유 가 뭔가
13. 젊은이들의 의견을 수용하라.
교회 조직은 진정한 토론과 의사소통이 이뤄져야 건강해진다. 그것이 막히면 동맥경화증이 된다.
14. 환경을 바꿔 줘라.
영화, 비디오, 텔레비전, 만화, 청소년 잡지, 지역 사회 내의 유흥 시설 등 청소년들에게 폐해를 주는 나쁜 환경을 먼저 개선해 줘라.
15. 가정에서부터 시작하라.
가정은 청소년의 인격을 결정짓는 토양이다. 대부분의 문제는 가정에서 비롯된다. 문제의 해결도 가정에서 찾아야 한다.
16. 먼저 부모를 교육하라.
가출 원인 1위는 부모와 대화가 안 되는 데 있다. 학부모를 소외한 어떤 교육도 성공할 수 없다.
17. 지역 사회 학교로 눈을 돌려라.
지역 사회 학교야말로 황금 어장이다. 학교의 교사, 학생을 위해 선교 전략을 짜라.
18. 청소년들과의 접촉 시간을 늘리고 상담을 강화하라.
한 주일에 한 시간 동안 함께 모임을 가짐으로써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상담을 통해 개인적인 갈등을 해소해 줘야 한다.
19. 가정, 학교, 교회가 삼각 체제를 갖춰라.
학교, 가정, 교회가 유기적으로 공조하지 않고는 청소년을 지도할 수가 없다.
20. 소외 계층을 돌봐라.
대학입시 낙방자, 장애인, 소년소녀 가장, 결손가정 출신, 청소년 재소자야말로 1차 구원의 대상자다.
21. 삶의 태도를 바꿔 줘라.
학교 식의 지식 암기 교육을 걷어치우고, 삶에 대한 태도를 바꾸도록 지도하라.
22. 리더십을 바꿔라.
신세대 접근법 참조
23. 책을 읽혀라.
요즘 청소년들은 책 읽을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없다. 독서의 가치와 즐거움을 잘 모른다. 인격을 도야하는 데 독서만큼 효과적인 매체는 없다.
이의용 지음 <튀는 세대 별난 아이들> 중에서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