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기쁨의 잔치
본문
성경에 보면 이스라엘에서도 추석에 해당하는 절기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초막절입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대단합니다. 한 해 동안 지켜주신 여호와 하나님께 감사하기 위해 매년 하루도 아니고 이틀도 아니고 무려 7박8일에 걸쳐서 감사 절기를 지켰습니다. 좋은 집에서 편하게 지내며 감사한 게 아니라 이런 들판에서 텐트를 치고 그 속에서 지내며 감사했습니다.
초막절은 두 가지의 감사를 담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선조들이 출애굽하여 광야에서 초막생활하던 것을 기념하며 믿음의 땅으로 인도해 주신 여호와 하나님께 감사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인생이 초막 생활하듯이 나그네로 이 땅에 왔다가 영원한 집 여호와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며 살아갈 것을 생각하며 감사하는 것입니다.
또 한 가지는 일년 동안 거둔 곡식을 초막에 저장하며 한 해 동안 추수하게 하시고 지켜주신 여호와 하나님께 감사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감사는 말로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하늘을 향해 “여호와 하나님 감사합니다”하고 크게 외친 후 끝나는 것은 진정한 감사가 아닙니다. 성경은 그렇다면 어떻게 그 감사를 표현하고 있을까요
오늘 말씀을 통해서 우리는 구체적인 감사의 실천을 찾을 수 있습니다. 먼저는 절기를 여호와 하나님 앞에서 지키는 것입니다. 쉽게 표현하자면 여호와 하나님 앞에 나아오라는 것입니다. 얼굴을 보여드리는 것입니다. 고향에 계신 우리 부모님이 가장 원하는 것은 통장에 돈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얼굴, 손자들 얼굴 바로 우리 얼굴을 보여드리는 것입니다.
여호와 하나님도 우리 얼굴 보시기를 원하십니다. 우리는 저마다 유일한 독특한 여호와 하나님의 작품입니다. 남과 비교하여 덜 감사할 것도 없고 더 감사할 것도 없습니다. 우리 모습 그대로에 만족하며 내 모습 그대로 여호와 하나님 기뻐 받아주실 것을 확신하며 여호와 하나님 앞에 나아가야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우리도 온 가족이 모여 성묘하며 여호와 하나님께 먼저 예배하지 않습니까
두 번째 감사의 실천은 잔치를 하는 것입니다. 14절 끝부분에 보면 ‘연락하되’라는 말이 나옵니다. 연락을 하라는 뜻이 아니라 잔치를 베풀라는 것입니다. 이 잔치는 모든 이웃이 함께하여 잔치를 벌이는 것입니다. 구약의 다른 제사는 다 여호와 하나님께 온전히 태우는 제사이거나 제사한 후 얼마간은 제사장의 몫으로 돌리는 제사인데, 유독 화목제는 제사의 목적이 잔치를 벌이는 것입니다. 함께 나누어 먹는 것입니다.
이 제사가 온전히 여호와 하나님께 드려지려면 해지기 전에 그 모든 음식을 나누어 먹어야 합니다. 싸 가서도 안 되고 다음 날로 남겨서도 안 됩니다. 그래야 그 제사가 여호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사가 됩니다. 소 잡고 양 잡고 해서 제사드렸는데 그 큰 동물 잡아서 남기지 않으려면 모든 이웃이 다 나와 함께 먹어야 합니다. 모두가 하나가 되어 받은 바 은혜를 나누어야 합니다.
특별히 여호와 하나님은 어려운 이웃들을 초대하여 함께 잔치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소외된 이웃은 항상 우리 곁에 있습니다. 성경은 이스라엘의 삼대 약자인 나그네와 부모 없는 아이들, 남편 잃은 여성을 반드시 이 잔치에 초대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 가족만이 아니라 이제 믿음 안에서 사랑 받은 우리가 우리 가족을 넘어 이웃과 사랑을 나누는 계기가 되어야겠습니다.
어느 작은 마을에 국밥집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한 아이와 할머니가 들어와서 국밥 한 그릇을 시켰습니다. 그러자 할머니는 아이에게 그 국밥을 건네고는 맞은 편에 앉아 깎두기 한 개만 오물오물 드시며 손자의 맛있게 먹는 모습을 흐믓하게 보셨습니다.
다 먹고 나서 할머니가 계산대로 오십니다. 옷 속 이곳저곳에서 꼬깃꼬깃한 돈을 꺼내는 것을 보고 주인은 안스런 마음에 돈을 안 받고 싶었는데 혹시나 마음을 상하게 하지나 않을까 고민하다가 한 가지 좋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인은 “할머니 오늘은 돈 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100번째 손님에게는 공짜로 국밥을 드립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할머니와 손자는 기쁜 마음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런데 며칠 지나서 그 국밥집 건너편에 차길 지나서 한 아이가 앉아 있는 게 보였습니다. 바닥에 큰 원을 그리고 돌멩이를 던지고 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며칠 전 할머니와 함께 온 그 아이였습니다. 손님이 한 명씩 올 때마다 큰 원에 돌을 던져 넣는 것이었습니다. 아이는 할머니에게 국밥을 드시게 하고 싶었지만 돈이 없으니까 공짜 손님으로 들어갈 걸 계산하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여호와 하나님 그날따라 손님이 많지 않아서 돌멩이가 몇 개 없었습니다. 실망한 아이의 얼굴이 멀리서 보였습니다.
국밥집 주인은 아무래도 안 되겠다 싶어서 전화를 걸기 시작했습니다. “어, 김사장, 우리 국밥집에 손님들 좀 많이 데리고 와, 내가 공짜로 먹여줄테니까. 될 수 있으면 많이 와야 해”, “박선생님, 오늘 우리 집에 오셔서 국밥 좀 드시죠. 제가 오늘 쏩니다.
친구 분들 좀 많이 모시고 오세요. ” 조금 지나자 가게에 손님들이 몰려옵니다. 아이의 손이 빨라집니다. 돌멩이가 늘어납니다. 40, 50, 60, 99개가 되자 급히 할머니를 모셔왔습니다. 그리고 자신 있게 아이가 말합니다. “우리가 백번째 손님이지요” 아이는 할머니 앞에 국밥을 놓고 자신은 깍두기를 오물오물거리며 할머니가 드시는 것을 행복한 눈으로 바라보았습니다. 국밥집 주인 역시 그 모습을 흐믓하게 보았습니다.
아이를 생각하는 할머니의 마음도 아름답고 또 할머니를 생각하는 손자의 마음도 아름답지만 가장 아름다운 마음은 국밥집 주인의 마음입니다. 두 사람만을 위한 감동의 이벤트를 준비한 주인의 마음, 그 마음이 바로 여호와 하나님의 마음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은 세상의 재료가 아닌 하늘의 재료로 만든 따끈한 국밥으로 나만을 위한 잔치를 준비하셨습니다. 나를 위해 생명을 주시고 가장 아름다운 찬양을 들려주시고 말씀을 주십니다. 때론 어려움이 있으나 그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시고 어려움 너머에 은혜와 희망을 선물로 준비하고 계십니다.
우리 가정은 그 기쁨의 잔치에 초대되어 누리는 주님의 자녀들입니다. 그 크신 사랑 받은 우리는 이제 아직도 잔치에 참여하지 못하고 어두운 곳에서 불행하다고 생각하며 절망의 커튼 너머 환히 빛나는 주님을 외면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의 기쁨을 나누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슬픔의 커텐을 걷고 불신의 문을 열어젖히고 우리와 함께 기쁨의 잔치를 벌여야 하지 않겠습니까
한 해 동안 우리 가족과 각 사람에게 주신 여호와 하나님의 크신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앞으로 주실 은혜가 더 크고 위대하실 것이기에 미리 감사합니다. 과거뿐 아니라 미래까지 여호와 하나님의 은혜의 잔치 안에 살아가는 우리 가정이 이제 우리 가정의 울타리를 넘어서 그 사랑과 은혜를 이웃과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것이 믿음의 부모님(돌아가신 분 - 성묘지)이 우리에게 주신 가장 값진 믿음의 유산입니다.
초막절은 두 가지의 감사를 담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선조들이 출애굽하여 광야에서 초막생활하던 것을 기념하며 믿음의 땅으로 인도해 주신 여호와 하나님께 감사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인생이 초막 생활하듯이 나그네로 이 땅에 왔다가 영원한 집 여호와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며 살아갈 것을 생각하며 감사하는 것입니다.
또 한 가지는 일년 동안 거둔 곡식을 초막에 저장하며 한 해 동안 추수하게 하시고 지켜주신 여호와 하나님께 감사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감사는 말로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하늘을 향해 “여호와 하나님 감사합니다”하고 크게 외친 후 끝나는 것은 진정한 감사가 아닙니다. 성경은 그렇다면 어떻게 그 감사를 표현하고 있을까요
오늘 말씀을 통해서 우리는 구체적인 감사의 실천을 찾을 수 있습니다. 먼저는 절기를 여호와 하나님 앞에서 지키는 것입니다. 쉽게 표현하자면 여호와 하나님 앞에 나아오라는 것입니다. 얼굴을 보여드리는 것입니다. 고향에 계신 우리 부모님이 가장 원하는 것은 통장에 돈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얼굴, 손자들 얼굴 바로 우리 얼굴을 보여드리는 것입니다.
여호와 하나님도 우리 얼굴 보시기를 원하십니다. 우리는 저마다 유일한 독특한 여호와 하나님의 작품입니다. 남과 비교하여 덜 감사할 것도 없고 더 감사할 것도 없습니다. 우리 모습 그대로에 만족하며 내 모습 그대로 여호와 하나님 기뻐 받아주실 것을 확신하며 여호와 하나님 앞에 나아가야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우리도 온 가족이 모여 성묘하며 여호와 하나님께 먼저 예배하지 않습니까
두 번째 감사의 실천은 잔치를 하는 것입니다. 14절 끝부분에 보면 ‘연락하되’라는 말이 나옵니다. 연락을 하라는 뜻이 아니라 잔치를 베풀라는 것입니다. 이 잔치는 모든 이웃이 함께하여 잔치를 벌이는 것입니다. 구약의 다른 제사는 다 여호와 하나님께 온전히 태우는 제사이거나 제사한 후 얼마간은 제사장의 몫으로 돌리는 제사인데, 유독 화목제는 제사의 목적이 잔치를 벌이는 것입니다. 함께 나누어 먹는 것입니다.
이 제사가 온전히 여호와 하나님께 드려지려면 해지기 전에 그 모든 음식을 나누어 먹어야 합니다. 싸 가서도 안 되고 다음 날로 남겨서도 안 됩니다. 그래야 그 제사가 여호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사가 됩니다. 소 잡고 양 잡고 해서 제사드렸는데 그 큰 동물 잡아서 남기지 않으려면 모든 이웃이 다 나와 함께 먹어야 합니다. 모두가 하나가 되어 받은 바 은혜를 나누어야 합니다.
특별히 여호와 하나님은 어려운 이웃들을 초대하여 함께 잔치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소외된 이웃은 항상 우리 곁에 있습니다. 성경은 이스라엘의 삼대 약자인 나그네와 부모 없는 아이들, 남편 잃은 여성을 반드시 이 잔치에 초대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 가족만이 아니라 이제 믿음 안에서 사랑 받은 우리가 우리 가족을 넘어 이웃과 사랑을 나누는 계기가 되어야겠습니다.
어느 작은 마을에 국밥집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한 아이와 할머니가 들어와서 국밥 한 그릇을 시켰습니다. 그러자 할머니는 아이에게 그 국밥을 건네고는 맞은 편에 앉아 깎두기 한 개만 오물오물 드시며 손자의 맛있게 먹는 모습을 흐믓하게 보셨습니다.
다 먹고 나서 할머니가 계산대로 오십니다. 옷 속 이곳저곳에서 꼬깃꼬깃한 돈을 꺼내는 것을 보고 주인은 안스런 마음에 돈을 안 받고 싶었는데 혹시나 마음을 상하게 하지나 않을까 고민하다가 한 가지 좋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인은 “할머니 오늘은 돈 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100번째 손님에게는 공짜로 국밥을 드립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할머니와 손자는 기쁜 마음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런데 며칠 지나서 그 국밥집 건너편에 차길 지나서 한 아이가 앉아 있는 게 보였습니다. 바닥에 큰 원을 그리고 돌멩이를 던지고 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며칠 전 할머니와 함께 온 그 아이였습니다. 손님이 한 명씩 올 때마다 큰 원에 돌을 던져 넣는 것이었습니다. 아이는 할머니에게 국밥을 드시게 하고 싶었지만 돈이 없으니까 공짜 손님으로 들어갈 걸 계산하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여호와 하나님 그날따라 손님이 많지 않아서 돌멩이가 몇 개 없었습니다. 실망한 아이의 얼굴이 멀리서 보였습니다.
국밥집 주인은 아무래도 안 되겠다 싶어서 전화를 걸기 시작했습니다. “어, 김사장, 우리 국밥집에 손님들 좀 많이 데리고 와, 내가 공짜로 먹여줄테니까. 될 수 있으면 많이 와야 해”, “박선생님, 오늘 우리 집에 오셔서 국밥 좀 드시죠. 제가 오늘 쏩니다.
친구 분들 좀 많이 모시고 오세요. ” 조금 지나자 가게에 손님들이 몰려옵니다. 아이의 손이 빨라집니다. 돌멩이가 늘어납니다. 40, 50, 60, 99개가 되자 급히 할머니를 모셔왔습니다. 그리고 자신 있게 아이가 말합니다. “우리가 백번째 손님이지요” 아이는 할머니 앞에 국밥을 놓고 자신은 깍두기를 오물오물거리며 할머니가 드시는 것을 행복한 눈으로 바라보았습니다. 국밥집 주인 역시 그 모습을 흐믓하게 보았습니다.
아이를 생각하는 할머니의 마음도 아름답고 또 할머니를 생각하는 손자의 마음도 아름답지만 가장 아름다운 마음은 국밥집 주인의 마음입니다. 두 사람만을 위한 감동의 이벤트를 준비한 주인의 마음, 그 마음이 바로 여호와 하나님의 마음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은 세상의 재료가 아닌 하늘의 재료로 만든 따끈한 국밥으로 나만을 위한 잔치를 준비하셨습니다. 나를 위해 생명을 주시고 가장 아름다운 찬양을 들려주시고 말씀을 주십니다. 때론 어려움이 있으나 그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시고 어려움 너머에 은혜와 희망을 선물로 준비하고 계십니다.
우리 가정은 그 기쁨의 잔치에 초대되어 누리는 주님의 자녀들입니다. 그 크신 사랑 받은 우리는 이제 아직도 잔치에 참여하지 못하고 어두운 곳에서 불행하다고 생각하며 절망의 커튼 너머 환히 빛나는 주님을 외면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의 기쁨을 나누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슬픔의 커텐을 걷고 불신의 문을 열어젖히고 우리와 함께 기쁨의 잔치를 벌여야 하지 않겠습니까
한 해 동안 우리 가족과 각 사람에게 주신 여호와 하나님의 크신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앞으로 주실 은혜가 더 크고 위대하실 것이기에 미리 감사합니다. 과거뿐 아니라 미래까지 여호와 하나님의 은혜의 잔치 안에 살아가는 우리 가정이 이제 우리 가정의 울타리를 넘어서 그 사랑과 은혜를 이웃과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것이 믿음의 부모님(돌아가신 분 - 성묘지)이 우리에게 주신 가장 값진 믿음의 유산입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