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추모예식의 의미
본문
우리나라의 전래 풍습 중 조상숭배의 문화가 대단히 깊이 퍼져 있습니다. 그중에서 제사에 간한 관습은 기독교 신앙과 충돌해 온 사례가 대단히 많습니다. 물론 성경에는 조상중배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조상을 무시하거나 망각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1. 제사를 지낼 필요성이 없습니다.
제사는 조상숭배의 핵심적인 의례입니다. 제사에는 우리가 연구해 볼 여지가 몇 가지 있습니다.
조상을 제사로 모시는 것은 먼저 조상이 귀신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합니다. 그래서 지방을 쓸 때도 ‘신위(神位)’라고 밑에다 적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죽어서 귀신이 되는 게 아닙니다. 이는 이교의 시상에서 나온 견해일 뿐 성경에는 사람이 죽어서 다른 존재로 변하는 것을 암시하지 않습니다.
살아서도 아버지와 어머니요 비록 세상을 떠났어도 아버지와 어머니일 뿐입니다. 이러한 견해는 모든 피조물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이치입니다.
성경에는 전생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사람은 낳아서 사람으로 살다가 사람으로 죽어서 영생에 이르든지 영벌에 이르게 됩니다. 산 자와 죽은 자는 교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사의 의미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산 자가 죽은 자를 위해 해 드릴 것도 없고 죽은 조상이 산 후손들에게 복을 줄 수도 없는 것입니다.
2. 추모예식으로 제사의 대안을 삼을 수 있습니다.
믿음이 약학 가족들을 위해서 목사를 청하여 드리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성도의 가정에서는 가족 중에서 예배를 인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왜냐하면 추모예식은 가족의 행사이기 때문입니다.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마음으로 제사를 모셔야 한다는 불신 가족들을 잘 설득하여 추모예식을 드리도록 해야 합니다. 불신 가정에서 추모예식을 드리면서 전도의 기회를 삼고 또 친족끼리 교제하는 기회로 삼을 때 매우 유익하다고 봅니다.
또한 음식을 장만하여 나누는 것은 매우 유익하지만 제사상 차리듯이 차려 놓으면 안 됩니다. 그저 방 한 가운데 상을 차리는 것은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추모예식이 은혜 받는 가정부흥회로 드려지기를 바랍니다.
오늘 이 가정의 추모예식에 성령의 위로와 평강이 충만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더욱 주의 일에 힘쓰는 자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1. 제사를 지낼 필요성이 없습니다.
제사는 조상숭배의 핵심적인 의례입니다. 제사에는 우리가 연구해 볼 여지가 몇 가지 있습니다.
조상을 제사로 모시는 것은 먼저 조상이 귀신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합니다. 그래서 지방을 쓸 때도 ‘신위(神位)’라고 밑에다 적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죽어서 귀신이 되는 게 아닙니다. 이는 이교의 시상에서 나온 견해일 뿐 성경에는 사람이 죽어서 다른 존재로 변하는 것을 암시하지 않습니다.
살아서도 아버지와 어머니요 비록 세상을 떠났어도 아버지와 어머니일 뿐입니다. 이러한 견해는 모든 피조물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이치입니다.
성경에는 전생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사람은 낳아서 사람으로 살다가 사람으로 죽어서 영생에 이르든지 영벌에 이르게 됩니다. 산 자와 죽은 자는 교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사의 의미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산 자가 죽은 자를 위해 해 드릴 것도 없고 죽은 조상이 산 후손들에게 복을 줄 수도 없는 것입니다.
2. 추모예식으로 제사의 대안을 삼을 수 있습니다.
믿음이 약학 가족들을 위해서 목사를 청하여 드리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성도의 가정에서는 가족 중에서 예배를 인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왜냐하면 추모예식은 가족의 행사이기 때문입니다.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마음으로 제사를 모셔야 한다는 불신 가족들을 잘 설득하여 추모예식을 드리도록 해야 합니다. 불신 가정에서 추모예식을 드리면서 전도의 기회를 삼고 또 친족끼리 교제하는 기회로 삼을 때 매우 유익하다고 봅니다.
또한 음식을 장만하여 나누는 것은 매우 유익하지만 제사상 차리듯이 차려 놓으면 안 됩니다. 그저 방 한 가운데 상을 차리는 것은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추모예식이 은혜 받는 가정부흥회로 드려지기를 바랍니다.
오늘 이 가정의 추모예식에 성령의 위로와 평강이 충만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더욱 주의 일에 힘쓰는 자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