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

TOP
DOWN

[송구영신] 어떻게 살아오셨습니까?

본문

올해로 마지막 공식 예배입니다. 지난 한해 /동안의 여호와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드리며 /조용히 우리는 이 시간에 우리가 살아온 한해를 돌아보고자 합니다.
세월이 흐르는 살 같다고 했는데, 그 빠름을 실감하면서 한 해를 마무리합니다.
숱한 희비의 삶을 수놓으면서 우리는 나름대로 우리에게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했다고 겸손히 주님 앞에서 고백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 앞에서 우리의 살아온 날들을 계수해 보면 /왠지 모르게 결산 보고서를 쓰기가 부끄럽다는 생각 또한 떨칠 수 없습니다.
나는 목사로서 정말 한 해를 부끄럽지 않게 살아왔는가 생각해 보면 그렇다고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없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장로님! 권사님 ! 집사님! 성도 여러분은 어떠하십니까
오늘 우리는 요셉이 살아온 삶을 통하여 내가 한 해를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생각하면서 다가오는 새로운 한해를 살아가는 지혜를 얻고자 합니다.
지혜롭고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삶을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우리는 어떻게 살아 왔는가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자기 자신에게 일어난 일의 제일 원인을 발견할 줄 아는 지혜가 있어야 합니다.
요셉은 일평생을 살아오면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많은 피해를 입으면서 살아왔습니다.
그러기에 원망하려고 들면 누구보다도 원망할 일이 요셉에게는 많았을 것입니다.
 아무런 잘못도 없는 요셉을 밉다고 하여 애굽에 팔아넘긴 형님들이 있었습니다.
 그를 돈 주고 사서 애를 먹인 애굽의 상인들이 있었습니다.
 억울한 누명을 씌워서 옥에 가두었던 보디발과 그의 아내가 있었습니다.
 옥에서 구해 주겠다고 약속을 하고도 2년이 넘도록 잊어버렸던 술 맡은 관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요셉은 어느 누구도 원망하지 않았음을 성경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생을 살아가면서 요셉은 누구도 원망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어째서 그럴 수 있었던가
모든 일이 자기에게 이루어질 때 그와 같은 일이 전개되는 원인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역설하면 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가 애굽의 총리가 된 것은 술 맡은 관원 때문이었고,
 술 맡은 관원을 만난 것은 옥에 갇혔기 때문이고,
 옥에 갇힌 것은 보디발의 아내로부터 억울한 누명을 썼기 때문이고,
 억울한 누명을 쓴 것은 애굽 상인들에게서 보디발의 집에 노예로 팔려 왔기 때문이고,
 애굽 상인에게 넘겨진 것은 형들이 자기를 미워하여 팔았기 때문이고,
 형들이 자기를 판 것은 오늘이 있게 하기 위해 여호와 하나님이 하신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 입니다.
참으로 놀랍고 위대한 생각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것은 믿음으로만 가능한 것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을 바라보는 믿음이 없이는 불가능한 생각입니다. 내일을 향한 소망을 갖지 않고는 어림도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자신을 돌아보십시다.
 한해를 살아오면서 조금만 자신에게 해로운 일이 일어나도,
 가정에 어려운 일이 발생하기만 해도,
 아이에게 어떤 문제가 일어나기만 해도,
 교회에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만 해도,
이에 대한 제1의 원인이 나에게 있음을 생각하기보다는 그 일의 원인을 남에게 전가시키는 삶을 살아오지는 않았는가
오늘 우리는 요셉을 통해 참으로 좋은 교훈을 얻습니다.
어떤 때라도 일의 원인을 생각하면 남을 미워할 일이 없어집니다.
어려운 시련이 닥쳐올 때는 / 자신의 부족함과 기도하지 못한 것을 반성하는 지혜로운 신앙인이 되어야 합니다.
무슨 일이든 나에게서 원인을 발견하는 것을 넘어서서 / 모든 것은 여호와 하나님이 하신다는
지혜만 있으면 우리는 날마다 감사함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세도 백성들이 죄를 지어 여호와 하나님의 노가 임할 때는 엎드려 여호와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차라리 자신의 이름을 생명책에서 제할지언정 백성들을 용서해 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모세가 죄가 있어서 그랬습니까 그러나 모세는 자기가 제대로 백성들을 인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모든 일의 원인이 자기에게 있음을 정직하게 고백했던 것입니다.
저는 목사로서 이 신앙과 목회 철학으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어떨 때는 정말 억울하기 그지없는 일을 당할 때도 있었습니다.
화가 치솟아 견딜 수 없는 일들도 있었습니다. 그래도 할 수 있는 한 저는 목사로서 그 영혼을 불쌍히 여겨 품어 안고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도 성도들 가운데 목사를 힘들게 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나는 아주 비열한 일이지만 / 그럴 줄 알고 그것을 이용하는 성도가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그런 목사를 우유부단, 능력부재, 편견목회, 더 심하게는 잘못된 그 성도와 같은 부류로 보고 평가하며 더불어 목사를 난도질하는 성도들이 있습니다.
그래도 목사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
가슴이 아리고 찢겨지는 고통을 경험하면서도 모세를 생각하고 예수님을 생각하며 품어안고 갈 때까지 가보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그렇게 가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전체가 흔들릴 때는 어쩔 수 없이 수술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또 목사의
사역입니다. 그럴 때는 모든 것을 뒤죽박죽 만들고도 오히려 목사에게 섭섭하다고 하는 것이 성도이지만 그것 또한 수용하면서 여호와 하나님의 법도와 주어진 권위로 권징을 시행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그래도 목사의 가슴에는 언제나 목회 능력 부족으로 수용하면서 아픔을 속으
로 다스리는 것입니다.
2. 우리는 어떻게 살아왔는가
무엇을 하든 자기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입니다.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생활 가운데서 그 생활을 밝고 즐겁게 살아가는 길은 자기에게 주어진 현실 속에서 최선을 다해 맡겨진 일을 할 때입니다.
요셉은 이것을 실천한 사람입니다.
집에 있을 때는 가족의 일원으로 최선을 다했습니다. 최선을 다하는 요셉을 최선을 다하지 않은 형들이 미워했던 것을 우리는 압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도 교회 생활도 그렇습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항상 주위의 최선을 다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습니다. 항상 남의 말을 잘 하거나 남을 쉽게 비판하는 사람은 자기에게 주어진 일에 대해서 최선을 다하는 것을 보기 어렵습니다.
항상 헌금하지 않는 사람이 헌금비판을 많이 합니다.
기도하지 않는 사람이 기도비판을 많이 합니다.
교회 출석을 잘 하지 않는 사람이 교회 출석에 대한 비판을 잘합니다.
봉사하지 않는 사람이 봉사하는 사람에 대해 비판하기를 좋아합니다.
요셉은 또 보디발의 집에 있을 때도 종으로서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했습니다.
감옥에 있을 때에도 죄수로서 최선을 다했습니다.
애굽의 총리로서도 최선을 다했습니다.
요셉은 최선을 다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요셉은 축복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요셉이 있는 곳이 복을 받았습니다.
요셉과 함께 하는 사람이 복을 받았습니다. 요셉이 있는 환경이 축복을 받았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한 해를 살아왔는가
 나는 나에게 맡겨진 일을 성실하게 수행하며 한 해를 살아왔는가
 목사로서 부끄럼 없는 한 해를 살아왔는가
 장로로서의 부끄럽지 않은 모범된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가
 교사는 교사대로 성가대원은 성가대원대로 나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는
한 해를 살아왔는가
우리가 감사함으로 살면 날마다 감사함으로 넘칩니다. 불평하고 살아가면 날마다 불평 거리가 생깁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할 때 여호와 하나님이 함께 하십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것이 복중의 복입니다.
3. 우리는 어떻게 살아왔는가
하루를 살더라도 살아가는 목적을 알고 살아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은 여호와 하나님을 즐거워하고 영원토록 그분을 영화롭게 하는 것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신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돈을, 어떤 사람은 공부를 , 어떤 사람은 세상적인 것들을 제일가는 목적으로 알고 줄기차게 달음질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바울이 무엇이라 했습니까
인간의 가장 아름답고 고상한 가치는 예수그리스도에게 내가 발견되는 것이요, 가장 고상한 지식은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라 했습니다.
 순종의 모델은 아브라함입니다.
 기도의 모델은 한나, 엘리야, 히스기야입니다.
 전도의 모델은 바울입니다.
 구제의 모델은 다비다입니다.
 주의 종을 잘 섬긴 모델은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입니다.
 교회를 위한 헌신의 모델은 루디아입니다.
 충성의 모델은 스데반입니다.
 봉사의 모델은 마리아입니다.
 축복의 모델은 야곱입니다.
 겸손의 모델은 요셉입니다.
 그러나 지도자를 배반하고 거역하는 모델은 고라입니다.
 자식을 여호와 하나님 보다 더 사랑하다가 실패한 모델은 엘리 제사장입니다.
 돈을 사랑하다가 실패한 모델은 발람입니다.
 선생을 배신한 모델은 유다입니다.
 여자를 사랑하고 사명을 버린 모델은 삼손입니다
 주의 종을 괴롭히다가 망한 모델은 아합과 이세벨,
 자기 분수 모르고 교만하여 실패한 모델은 웃시야,
 속이다가 망한 모델은 아나니아 삽비라,
 말씀을 거역한 모델은 롯의 사위,
 설교시간에 졸다가 죽은 모델은 유두고입니다.
우리는 이 한 해를 여호와 하나님 안에서 살아왔는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달음질 해 왔는가
결과론이지만 여호와 하나님을 위하여 살아갈 때는 손해 보는 것 같지만 지나고 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자기를 위하여 살아가는 사람은 살아갈 때는 유익한 것 같지만 결과는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는 황량한 벌판에 선 것 같습니다.
한 해를 보냅니다.
모세처럼 바울처럼 살아가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아합이나 유다같이 살아간다면 얼마나 부끄러운 일입니까
우리는 2004년 한 해를 어떻게 살아왔는가
그리고 2005년 한 해를 어떻게 살아갈까
지혜로운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1) 무엇을 하든지 그 일의 원인을 발견하는 지혜로움이 있습니다.
2) 무엇을 하든지 자기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합니다.
3) 무엇을 하든지 여호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살아갑니다.
여러분 어떻게 살아오셨습니까
그리고 어떻게 다시 한 해를 살아가시겠습니까
여호와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은혜의 한 해를 맞이하기를 축원합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