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

TOP
DOWN

[성령강림] 성령님의 상징(3)

본문

여호와 하나님께서는 상징들과 은유들을 통하여 자신을 우리의 가슴에 쉽게 이해시키기를 기뻐하신다(호 12:10).
즉 모형, 비유, 그리고 상징들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사역을 매우 풍성하게 설명해준다. 이것이 성경 자신의 본질적인 특성이기도 하다.
B. 우리의 일상생활을 통해 주어지는 상징들Symbols Drawn from our Daily Walk and Work》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역사하시는 성령님의 전능하신 활동들을 강조하기 위해 성경에서는 인간 생활로부터 최소한 네 가지 상징들을 사용하고 있다.
1. 문지기(Doorkeeper)
우리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문지기는 그를 위하여 문을 열고"(요 10:3)라는 말씀에는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막 13:34. 요 18:16,17).
 첫째로 "멧세지를 받기위해 문에서 기다리는 자"라는 뜻이다. 시편 기자는 여호와의 문지기가 되는 것이 만족스럽다고 말한다(시 84:10).
 둘째는 "짐을 지는 자"라는 말이다. 이것은 "운반한다"는 뜻으로 역에서 일하는 짐꾼과 유사하다.
그리스도는 우리 앞에 목자로서 계시고, 성령님은 문지기이시다. 이처럼 성령님의 사역은 구세주를 위해 문을 열고, 또 계속 여시는 일인 것이다. 마치 세례 요한처럼 성령님은 영원토록 예수님의 거룩하신 선구자이신 것이다.
1)그는 심령의 문을 여셔서 영혼 속에 그리스도를 모시고 영접하도록 준비케 하신다(요 16:8-1
1. 행 16:14).
2)그는 좀 더 크게 세상의 문을 여신다. 이것이 곧 세계선교를 주도해 나가시는 성령님의 사역 이다. 사도행전을 보면 아시아의 문을 닫으시면서, 또 한편으로는 유럽의 문을 여시는 모습을 보게 된다(행 16:6-11).
3)성령님은 문을 여실뿐만 아니라, 또한 낯선 사람이나 도둑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성도들을 보 호해 주신다.
2. 보혜사(Paraclete)
이 명칭은 성령님에 관하여 우리 주님께서 가장 좋아하시는 호칭이다. 최소한도 네 번이나 "위로자"로서 말씀하신다. 요한복음 14장 16절에서는 그리스도와 같으신 분이시요, 또한 함께 거하시는 분이시다. 26절에서는 아버지의 선물로서 오신 분으로 소개되며, 15장 26절에서는 "아들의 선물"로 소개되며, 16장 7절에서는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시므로 주어진 선물로 설명된다.
1)위로자(Comforter)
환난과 핍박을 받은 초대교회 성도들은 "성령님의 위로를 힘입어 진군함으로 교회를 계속 부 흥시켰다"(행 9:31). 그래서 어거스틴은 이렇게 표현한다. "성령님은 우리에게 가장 매혹적인 위로자이시다. " 이처럼 성령님은 우리의 고통과 연관된 분이시다.
2)변호자(Advocate)
"성령님은 우리를 위해 간구하시는 중보자이시다"(롬 8:26-27). 똑같은 단어가 예수님께 사용 된 바 있다(요일 2:1). 우리말 성경에는 "대언자"라고 번역하고 있는데, 그 뜻은 다른 사람을 대신하는 자로서 선처를 호소하는 자라는 뜻이다.
이와 같이 우리에게는 두 분의 변호자가 계신데, 우리 안에 계신 성령님이시요, 또 한 분은 여호와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우리를 변호해주시는 예수님이시다.
특별히 성령님은 우리가 죄에 빠지지 않도록 간구해 주신다.
3)돕는자(Helper)
"성령님은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는 분이시다"(롬 8:26). 그래서 스코필드는 "도와주기 위해 옆에 서계신 분"이라고 설명한다.
여호와 하나님은 우리를 능력으로 도와주시겠다고 약속하셨는데(시 89:19. 행 26:22. 히 4:16), 그분이 곧 성령님이시다. 그는 절망적인 자의 영원한 도움이시다(the everlasting helpof the helpless).
3. 증인(Witness)
바울은 신자들의 구원의 확신에 있어서 "성령님은 우리가 여호와 하나님의 자녀임을 증거하신 분"으로 소개한다(롬 8:16). 또 성령님은 "나의 양심 안에서 증거하시는 분"이시다(롬 9:1).
그렇다면 누가 증인이며, 무엇을 증거한다는 말인가 원래 증거한다는 말(witan)은 '알린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증인이란 보고 아는 자이다. 법정에서 사실을 알고 있는 자가 증언한다는 말이다.
이와같이 성령님은 우리 신자들 안에서, 그리고 신자들에게 세 가지 방법으로 증거하신다.
 첫째는 "용서"(pardon)를 증거하신다(롬 5:1. 8:1).
우리는 여호와 하나님의 법정에서 죄인으로 서어야 할 자들이다. 그러나 우리는 구세주의 구속사역으 로 모든 죄를 다 사함받았다. 그런데 성령님이 우리 안에 용서의 증인으로 들어오셔서 우리는 결코 정죄받지 않게되었음을 확신시켜 주고 계신 것이다.

 둘째는 "양자됨"(adoption)을 증거하신다(롬 8:14-17. 갈 4:6).
우리 안에 계신 성령님께서는 우리가 더 이상 법정에 있지 않고, 여호와 하나님의 가족의 집안에 있음 을 확신시켜 주신다.

 셋째는 "성화"(sanctification)를 증거하신다(요일 4:13).
이제 법정에서 용서받은 자는 아버지의 집에서 자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는 결국 여호와 하나님 이 머무시는 거룩한 성전이 된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성도들인 것이다. 이처럼 성령님은 우리 속에 계시면서 예수님을 닮아가도록 계속적인 성화를 이루어나가신다.

4. 손가락(Finger)
초대 교부들은 성령님을 "거룩하신 손의 손가락"(the Finger of the Hand Divine)으로 말했다.
성경에서는 매우 자주 능력과 전능하심의 동의어로 "여호와 하나님의 손가락"이나 "여호와 하나님의 손"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때로는 결코 실추될 수 없는 여호와 하나님의 주권이나, 눈으로 볼 수 있는 여호와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묘사한다.
특히 누가는 예수님께서 성령님을 "여호와 하나님의 손가락"(the Finger of God)이라고 말씀하셨음을 보도해주고 있다. 마태복음에서는 예수님께서 "여호와 하나님의 성령으로" 귀신을 내어쫓으셨다고(마 12:28) 기록하고 있는데, 누가는 "여호와 하나님의 손가락으로" 귀신을 내어쫓으셨다고 설명한다(눅 11:20). 이처럼 여호와 하나님의 손가락이라는 말은 성령님이 어떤 사역에 있어서 독립적인 대행자이심을 말한다.
1)여호와 하나님의 율법(The Law of God)
"여호와 하나님의 손가락으로 두 돌판이 새겨졌다"(출 31:18. 신 9:10). 이처럼 성령님은 여호와 하나님의 말 씀을 기록하고 조각하는데 있어서 성부와 협력하셨다. 사실은 사람들의 손가락이 성경을 썼 지만, 그들은 모두 다 여호와 하나님의 손가락의 다스림 하에서 저술한 것이다(잠 22:20,21. 벧후 1:21).

2)여호와 하나님의 심판(The Judgment of God)
애굽의 마술사들이 자기들의 주술로는 더 이상 여호와 하나님의 능력에 대결할 수 없게 되자 바로 왕에게 이렇게 고백했다. "이것은 여호와 하나님의 손가락입니다"(출 8:19). 바벨론의 벨사살 왕은 사람의 손과 같은 "거룩한 손가락"을 보았다(단 5:5). 즉 여호와 하나님은 손가락 하나의 능력으로도 이 세상을 심판하시고 이기신다.
3)여호와 하나님의 능력(The Power of God)
다윗은 여호와 하나님의 천국을 성령의 역사로서 생각했다. "주의 손가락으로 만드신 주의 하늘" 이라고 노래한다(시 8:3). 그리고 성경은 여러 곳에서 삼위 되시는 성령님께서 창조자이심을 풍부하게 입증한다. 특히 "궁창"이라는 단어는 넓은 우주공간을 뜻하는 것으로 성령 여호와 하나님 의 광대한 창조작품임을 피력한다.
4)여호와 하나님의 성도(The Saint of God)
동양인들에게 있어서 손가락은 그들이 대화 중에 입으로 내뱉기 어려운 것들을 지시하는데 있어서 아주 본질적인 수단이다. 주로 은근한 모욕이나 비방을 나타낸다(잠 6:13. 사 58:9).
그러나 바울은 여호와 하나님의 성도들을 형성하는 성령님의 역사를 묘사하는 뜻으로 손가락의 상징 을 사용한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편지인데, 이는 먹으로 쓴 것이 아니요 오직 살아계신 하 나님의 성령으로 한 것"임을 말한다(고후 3:3. 히 8:10. 10:16).
오, 성령님이시여, 나의 가슴에 당신의 새 이름을 기록하소서
당신의 새 이름과 사랑의 복된 이름을 나의 가슴에 새겨 주소서!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