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

TOP
DOWN

[설날] 새 사람을 입으라

본문

1. 전통적(傳統的)인 설 명절(名節)의 의의 설은 새로 맞이하는 한 해의 첫 머리가 되는 첫 날입니다. 그리하여 한자어로 세수(歲首), 세시(歲時), 세초(歲初)라 하고 년두(年頭), 년수(年首), 년시(年始), 라고 하며, 새로운 해의 첫 날이 열리는 아침이라는 뜻으로 원단(元旦), 원조(元朝), 정조(正朝),라고도 합니다. 우리 나라의 전래 풍습에 의하면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 나면서 한 살을 먹습니다. 그리고 해가 바뀌어 새로운 한해를 맞이하는 첫날인 설을 쇨 때마다 한 살씩을 더 먹는 다고 합니다. 이를 기리고 기념하는 뜻에서 새날 새벽에 쌀로 떡을 빚고 고기를 익혀 떡국을 끊여 먹습니다. 조선조의 기록에 의하면 사람이 나이도 설을 단위로 헤아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볼 때 설을 단위로 헤아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은 사람의 나이를 헤아리는 단위로 정착되어 오늘날 설로 바뀌어 쓰게 되었습니다. 원시 농경생활의 문화에서부터 우리의 선인들은 한 해의 농사가 풍작을 이루고 가정에 평안과 행운이 함께 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천신과 조상신에게 비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한 해를 맞이하는 설은 이런 의미에서 하늘의 축복을 받기 위해 곱고 깨끗한 새 옷으로 설빔을 지어 입고, 매사를 삼가며, 경건하게 지내야 하는 날로 여러 가지 다양한 민속과 함께 아름답게 지켜왔습니다. 신(神)께 제사(祭祀)를 올리고 나서 집안 어른과 동네 어른들에게 새배를 드리며, 어른들은 덕담으로 새해를 축복(祝福)합니다. 그리고 설날에는 어른 아이 구별없이 떡국을 비롯한 맛있는 음식을 먹습니다. 매사에 시작을 그 일의 전과정이 잘 되도록 복을 비는 덕스러운 마음으로 맞이하는 우리 선인들의 지혜롭고 아름다움의 마음가짐을 볼 수 있습니다.
2. 설 명절 준비(準備) 1)음식준비 : 떡국은 빼 놓을 수 없고 또한 세주(歲酒) 그리고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하여 먹었습니다. 2)의복준비 : 하늘의 복을 받기 위하여 곱고 깨끗한 옷으로 설빔(옷)을 지어 입었습니다. 3)마음준비 : 빌려온 물건 돌려주며, 빚진 돈을 갚고, 집 안을 깨끗이 청소하고, 그리고 흩어진 가족이 한 곳으로 모여서 즐겁게 보냅니다. 4)새 배 : 새벽에는 조상 산소를 찾아 큰 절을 하고 아침 일찍이는 집안 어른에게 새배하고 오후에는 마을 어른들을 찾아 새배합니다. 5)윷놀이 : 정초에 가족과 친척 그리고 정든 이웃 남녀노소 구분없이 한데 어울려 즐기는 놀이입니다. 이 놀이는 우리나라에만 전해지고 있는 아름답고 흥겨운 민속입니다.
3. 복잡한 제례를 "가정의례준칙에"에서 수정하고 있는 내용, 조상신께 드리는 제례는 너무나 복잡합니다. 규범대로 하면 사당에서 월2회의 삭망제, 3월의 중삼절, 5월의 단오절, 6월의 유두절, 7월의 칠석, 백중절, 9월의 중양절, 동짓날과 납일에 속절제, 춘하추동의 중월에는 사시제, 4대까지의 절사, 정초에는 연시제등 이를 종합하면 년간 총47회의 제사를 지내게 됩니다. 이런 복잡한 제례의 범위도 2대까지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의 기제 네 번과 추석날과 설날 아침 각 한차례씩 도합 6회의 제사로 한정되는 셉입니다. 그리고 "가정의례준칙"에는 종가의 범위를 "8촌 이내의 친족 단위별 장손"으로 규정하고 제사 음식의 간소화를 규정했고 사통팔달(通八達)로 접어서 한자로 꼭 썼던 지방(紙榜) 도 사진으로 대치하고 있습니다. 정월 초하룻날이나 추석날 조상께 드리는 제사를 다례(茶禮 혹 차례)라고 합니다. 다례란 다(茶)를 조상께 드린다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약식(略式) 제사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기일에 드리는 제사는 밤중에 드리지만 다례는 아침이나 낮에 드리는 것입니다. 정월 초하룻날만 아니라 매달 초하루와 보름날 또는 추석절같은 명절에 드리는 제사를 다례라고 합니다.
4. 설명절에 대한 기독교(基督敎)인의 자세(姿勢).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조상이 물려준 이 강토에 살고 있으면서 영원한 천국을 물려 받아 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민족의 피와 정신을 이 땅위에서 이어받고 살아온 그리스도인들도 더 불어 살아야 합니다. 세상 풍속은 무조건 나쁘다고 버려야 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합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그것을 받아들여서는 안됩니다. 전통적인 것이 우리 민족의 미풍양속이 될 수 없습니다. 고쳐서 이로우면 고쳐야 합니다. 고치되 그 정신은 성경과 그 신앙의 전통에 입각하여 고치고 이어가야 합니다. 전통적인 풍속이 그리스도인들과 상관이 없는 것이 아니라 상관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땅위에 같이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와 관혼상제"의 편자 박근원 박사는 정월 초하루를 연시제(年始祭), 추석날의 감사제(혹은 중추절), 그리고 부모와 조부모의 돌아가신 날 저녁에 드리는 추도식을 "추모제"라고 써봤으면 어떨지 하고 조심스럽게 제시한바 있습니다. 설 명절 때는 흩어졌던 가족들이 모여드는 풍습이 있으니 이 모임을 통하여 진정 한 제사가 무엇인가를 알려 여호와 하나님께 예배하고 부모님께 감사하는 선교의 기회로 삼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때의 예배는 세상에 남아있는 자손들이 여호와 하나님의 계명과 믿음의 약속 안에서 진실하게 살 것을 다짐하고 앞서 가신 조상들의 생명을 이어 받은 후손들의 삶을 통해 더 풍성하게 이어 가겠다는 윤리적 다짐의 행위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