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부] 돌아온 탕자(눅15:11-24)
본문
돌아온 탕자(눅15:11-24)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둘째 아들은 항상 아버지의 곁을 떠나서 살고싶었습니다. 이 세상을 그리워하며 동경하였던 것입니다.
그래서 어느날 돌째 아들은 참다 못해서 아버지에게 와서 말합니다. “ 아버지여 재산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즉 이 말은 유산을 물려달라는 말입니다. 아직도 아버지가 살아계신데 말입니다. 아버지는 아무말도 않고 그 아들의 몫을 가각 나누어 줍니다.
둘째 아들은 그 재물을 정리하여 먼 이웃 나라로 갑니다. “그곳에서 장사를 해서 부자가 되어서 인생을 즐기며 멋지게 살아야지”하는 큰 포부를 가지고 갑니다. 드디어 아버니의 속박에서 탈출을 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곳에는 많은 유혹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거리는 너무나 화려했습니다. 그리고 돈만 있으면 오라고 부르는 술집도 많았습니다. 세상친구들이 그를 맞이합니다. 그는 매일 기생집(술집)을 내집드나들 듯이 드나듭니다. 그는 너무나 황홀해서 자기의 월내의 목적을 상실한채 지내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아버지를 완전히 잊어버리고 맙니다.
어느새 아버지께서 물려주신 재산이 바닦이 납니다. 그는 이제 빈털털이가 됩니다.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됩니다. 같이 놀고 즐기던 세상친구들은 그를 이제 박대합니다. 돈이 없으니 배가 고파 굶주립니다.
그래서 그는 돼지를 치는 신세가 되고 맙니다. 더구나 그 나라에는 흉년이 들어서 먹을 것이 부족합니다. 돼지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해도 주는 자가 없습니다. 이제 그는 굶주림과 배고픔으로 눈물을 흘립니다.
이제 그는 돌이켜 그의 죄를 뉘우칩니다. 그리고 아버지의 품을 그리워합니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께로 돌아갈 생각을 합니다. 아들의 권한을 완전히 포기한체 품군의 하나로 자신을 생각하고 또 그렇게 아버지에게 말을 할 참입니다.
그는 아버지께로 돌아가면서 많은 생각을 합니다.
“내가 처음에 아버지의 품을 떠나갈 때는 자유롭고 무엇이든지 잘될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세상을 너무나 힘이들고 참 자유가 없구나! 역시 아버지와 함께 있을 때가 최고 행복했구나!”
이러한 생각을 하면서 눈물을 흘리며 참회하며 무거운 발걸음을 옮깁니다.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갈때에 멀리서 아버지가 아들을 알아보고 달려가 끌어안고 입을 맞추며 맞이합니다. 너무나 감동적인 장면입니다.
아버지는 항상 자신을 떠나간 아들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입니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는 돈이나 이해로 연결되는 관계가 아니라 아버니의 사랑과 그 아들의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되는 관계입니다. 그래서 아버지는 그 아들에게 제일 좋은 옷을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웁니다. 그러면서 너무나 즐거워합니다.
이 돌아온 아들이 바로 오늘 본문에서 예수님께서 비유로 말씀하신 돌아온 탕자입니다.
위의 내용에서 볼 때 아들은 아버지의 품을 떠났을 때 좀 자유롭고 행복할 것 같았지만 오히려 아버지의 품을 떠났을 때 불행해 졌습니다.
이처럼 우리도 하나님의 품을 떠나서는 이 세상에서는 영원한 자유와 행복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설사 우리가 하나님을 떠나서 하나님 없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우리가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우리가 세상에서 어떠한 잘못과 죄악을 저질렀다고 하더라도 그 모습그래로 주님께서 돌아오기를 기다립니다. 그래서 우리의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입니다. 우리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았고 그오 더불어서 살게 되었있기 때문에 하나님을 떠난 삶은 불행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떠나서 하나님이 없는 삶을 살 때, 그리고 죄를 저지를 때,(거짓말, 미움, 시기, 불평 등등) 우리의 신앙 양심이 우리를 징계하고 우리에게 가책을 느끼게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양심을 주셔서 죄를 범했을 때 죄책감을 느끼게 하고 또 하나님을 두려워하게 합니다.
우리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셔서 우리를 죄악에서 구원하고자 하시어 스스로 인간이 되셨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우리의 죄를 대신하여 형벌을 받으셨고 우리를 죄의 노예에서 해방시켜 주셨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든지 예수님의 공로로 인하여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주님께서는 지금도 잃어버린 자를 찾고 계시고 또 여러분을 향하여 뜨거은 애정을 가지고 계십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멀리할 때, 예를 들어 주일날 아침에 교회에 나오지 않고 친구들과 함께 놀러갔거나 늦잠을 자서 나오지 않거나 할 때 주님은 우리를 그 때도 기다리고 계십니다. 뿐만아니라 예배시간에 몸은 예배당에 와 있지만 마음은 콩밭에 가 있는 친구나 그 속에 하나님애 대한 애정이 없이 그냥 몸만 와 있는 학생도 지금 그 마음을 주님께로 향하기를 기다리십니다.
우리는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과 관심을 외면해서는 안됩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