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충만과 세례
본문
성령충만은 명령되었으나(엡5:18) 성령세례는 명령된 일이없다. 성령충만은 반복해서 받지만 성령세례는 예수를 영접할때 단 일회적으로 받는다.
성령세례를 받지않고는 예수를 영으로 '주'라 부를수 없으며 사죄도, 중생도, 하나님의 자녀됨도 받지못한다. 세례요한은 회개의 물세례자, 예수님은 생명의 성령세례자인 점에 대조적이다. 물세례는 성령세례의 표로 받는다.
성령세례에 대해서 세례요한과 예수님의 발언과 행11:16외에는 사도 바울의 세군데 기록이 세례교리의 기본이 되는데 롬6장, 고전12장, 엡4장이다. 세군데 모두 예수의 몸과 연합하여 하나된다는 뜻을 강조하고 있다.
자유자나 노예나 옛날 신자나 지금 신자나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성령을 마시고(고전12:13)한 주, 한 믿음, 한 하나님, 한 몸에 한 성령으로 연합하고 한 자녀로 태어났고 한 가족으로 입적되어 인침을 받고 변화받아 한 몸이 되었다. 세례라는 뜻은 하나된다, 연합된다,
동화된다는 뜻인데 결혼하는 일에 비유될 수도 있다.
성령세례를 받지않고는 예수를 영으로 '주'라 부를수 없으며 사죄도, 중생도, 하나님의 자녀됨도 받지못한다. 세례요한은 회개의 물세례자, 예수님은 생명의 성령세례자인 점에 대조적이다. 물세례는 성령세례의 표로 받는다.
성령세례에 대해서 세례요한과 예수님의 발언과 행11:16외에는 사도 바울의 세군데 기록이 세례교리의 기본이 되는데 롬6장, 고전12장, 엡4장이다. 세군데 모두 예수의 몸과 연합하여 하나된다는 뜻을 강조하고 있다.
자유자나 노예나 옛날 신자나 지금 신자나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성령을 마시고(고전12:13)한 주, 한 믿음, 한 하나님, 한 몸에 한 성령으로 연합하고 한 자녀로 태어났고 한 가족으로 입적되어 인침을 받고 변화받아 한 몸이 되었다. 세례라는 뜻은 하나된다, 연합된다,
동화된다는 뜻인데 결혼하는 일에 비유될 수도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