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 극에 달했다.
본문
기업들의 인력난이 거의 한계상황에 이르고 있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경우 인력부족 현상은 한층 심각해 조업단축은 물론 조업을 중단하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멀쩡한 공장이 일할 사람이 없어 시설을 놀리거나 심지어 문을 닫아야 한다면 이보다 심각한 문제가 없다. 실제로 중소 제조공장의 사정을 보면 3D업종이 따로 없다. 최근 들어서는 중소기업체 공장이라면 업종이 무엇이든간에 아예 취업을 기피하는 풍토가 확산되고 있다.이러한 근로분위기로 인해 현재 국내 산업인력 부족률은 27%선에 이르는 것으로 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인력 부족으로 입는 경제적 손실이 연간 국내 총생산의 7%에 이른다는 사실은 인력문제의 해결이 얼마나 시급한가를 말해 주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앞으로 상당기간 인력난이 지속되어 2000년이 되어도 인력부족 현상은 여전할 것이라는 사실이다.국내 인력이 산업의 뿌리인 중소 제조공장을 외면한다면 해결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바로 외국 인력을 보다 과감하게 들여오는 것이다. 물론 외국 인력의 대량 도입에 따른 부작용과 문제가 하나 둘이 아닌 것도 충분히 알고 있다. 그러나 인력부족으로 빚어질 산업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해 외국 인력의 도입은 불가피하고, 현재로서는 인력난 해결을 위한 유일한 대안이라 할 수 있다.이런 측면에서 정부가 이번에 외국 산업연수생 2만 명을 더 데려 오기로한 것은 적절한 조치로 보여진다.문제는 이 정도 규모로는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수요에 턱없이 못미친다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외국 연수인력을 희망한 업체중 상당수가 아예 배정을 받지 못하는가 하면 배정받은 업체도 영세업체의 경우 한 두명에 불과할 정도이다. 이제는 어차피 들여올바에야 인력도입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수요에 맞추어 인력을 수입하면 현재 가장 심각한 문제의 하나인 외국 인력의 생산현장 이탈도 어느 정도 사전에 예방할수 있다.외국 인력을 어떤 형태로든 대량 도입할 경우 이들에 대한 충분한 관리대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후 관리만 제대로 한다면 외국 인력도입에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두려워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물론 현재처럼 외국 인력이 생산현장을 이탈하든 불법체류하든 방치하는 식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럴 경우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