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의 경영원칙
본문
지금부터 약 80년 전 헨리 포드는 자동차 회사를 창설하여 세계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같은 포드로서도 회사를 경영하면서 적잖은 고충을 겪어야만 했다.
그 중의 하나가 포드와 주주간의 알력이었다. 포드는 주주로부터 집단 고소를 당한 적도 있었다. 이유인즉 포드의 기업 운영 원칙이 회사 이익금을 주주가 아닌 공장 노동자들에게 지나치게 많이 분배해준다는 것이었다. 포드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나의 기업 신조는 무엇보다도 언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든지 인류의 복지 증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 기업으로 생기는 이익금은 단지 그 부산물에 불과하다.
가령 우리 공장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임금을 3배 정도로 인상해 줌으로써 근로자들의 생활이 윤택해진다면 그들은 다투어 자가용을 사게 될 것이고 그들이 자가용을 소유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자동차의 수요가 늘어 회사 경영이 원활해질 것이다.'
그 중의 하나가 포드와 주주간의 알력이었다. 포드는 주주로부터 집단 고소를 당한 적도 있었다. 이유인즉 포드의 기업 운영 원칙이 회사 이익금을 주주가 아닌 공장 노동자들에게 지나치게 많이 분배해준다는 것이었다. 포드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나의 기업 신조는 무엇보다도 언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든지 인류의 복지 증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 기업으로 생기는 이익금은 단지 그 부산물에 불과하다.
가령 우리 공장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임금을 3배 정도로 인상해 줌으로써 근로자들의 생활이 윤택해진다면 그들은 다투어 자가용을 사게 될 것이고 그들이 자가용을 소유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자동차의 수요가 늘어 회사 경영이 원활해질 것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