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우상숭배(偶像崇拜)에 관한 예화 모음

본문

우상숭배(偶像崇拜)에 관한 예화 모음 


 


우상 숭배와 인간의 바벨탑 ( 로마서 1  18 : 25)


 


우상숭배(偶像崇拜)


1. 행위적 우상숭배


  1) 샤머니즘적인 신앙 - 무속 신앙


  2) 불교


    (1) 불교의 허구성 -교리면에서


    (2) 불교의 허구성 - 현세의 복에 대해서


           = 범 국가적으로 우상응 숭배하거나 하나님을 부인하는 나라와 하나님을 섬기는 나라와 의 차이점 - 빈부의 격차


           = 우리나라가 미신과 우상을 섬겼던 때와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 온 후의 경제 사정  및 국민 의식의 변화


2. 의식속에서 행하는 우상숭배


  1) 물질만을 추구하는 것


      이것은 물질만이 행복을 가져다 준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 물질만 추구하다가 불행해진 사람들의 이야기 - 예화 [물질]편 참조


  2) 명예와 권세만을 추구하는 것


      이것을 얻고 지키기 위해서는 수단과 밥법을 가리지 않는다.


      - 스탈린,히틀러, 김일성등 정치적 독재자들,- 우리나라의 비운의 대통령(전두환)


  3) 인간만을 사랑하고 위하는 애로스적 사랑만을 추구하는 것


     (1)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


     (2) 남녀의 사랑(자살까지도 불사하는 사랑)- 군산 서 해봉 총기 자살 사건


3. 현대인의 우상숭배


  1) 어느 툭정 연예인에 대한 광적인 사랑


      그러나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현대인의 우상이 되는 대상 모두는 모두가 브라운 관에서 허무하게 떠나간다는 것이다. 지속성이 없다.


       - 지속성이 없는 것은 섬김의 대상이 아니다. (마릴린 몬로, 엘비스프레슬리, 비틀즈 등 등...)


  2) 대중매체(Mass Media)(TV,영화등등..)


대중매체는 우리의 문화를 반영한다.


대중매체는 20세기 서구 사회의 정서를 전달한다.


가치관,도덕률,행동모델,그리고 물질적인 기대등을 끊임없이 나타내 보여주는 그 대중매체들로 인해 잣기 평가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반론을 제기 할 기회도 잃고 만다.


어떤 강연회의 강사가 “부도덕이야 말로 건살적인 삶의 한 방법임”을 표명하면 우리는 그 입장을 반박하려는 생각을 갖게 될 것이다.


대중매체는 그 강사만큼 직접적이지는 않으나 위력은 훨씬 더 크다. 아무리 카리스마적 권세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현대의 대중매체보다 더 큰 영향력을 끼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중매체는 우리의 집단의식을 조작하여 인간을 비 인격화된 군중의 수준에 머물게 한다.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고,배우고 의사소통하는 모든 방식은 대중매체에 의해 크게 통제되며 그렇게 통제돤 우리의 사고 방식과 행동방식은 문화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문화를 창조하기도 한다.




우리는 대중매체를 통해 평가되고,조절되며,또 행동을 하게 된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17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