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
본문
1. 누가 반역자인가 3.1절이면 기억해 줄만한 인물이 하나 있다.바로 신 철이라는 한국 사람이다. 1919년 당시 종로 경찰서 고등계 형사로있던 그는 특히 수상한 조선인을 색출하는 데는 귀신이라고 불릴 정도였다.그 당시 그의 나이는 사십이었다. 종로 경찰서에 10년간 근무해 온 고참이기도 했다.신철, 그가 일본 경찰의 고위 간부들에게 인정 받기까지는 수많은 동족들의피와 눈물이 필요했을 것이다. 두말할 것도 없이 그는 내놓은 민족 반역자였고천황의 사냥개였다.기미년 2월 26일께의 늦은 밤이었다.지금의 안국동 자리에 있던 인쇄소 보성사에서는 불빛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않도록 창문을 안에서 가리고 무엇인가를 찍어 내고 있었다.그때 보성사 부근을 지나고 있던 신철은 무언가 이상한 낌새를 느끼고 인쇄소문을 박차고 안으로 들어섰다. 그리;고 인쇄 중이던 독립 선언문을 집어 들었다. 그는 그 자리에서 독립선언문을 읽어 보고 놀란 표정의 인쇄소 사람들을한번 둘러 본 후 말없이 그곳에서 사라졌다.이 소식은 즉각 거사를 준비중이던 핵심인사들에게 전해졌다.33인의 민족 대표 중의 한 사람이던 최린이 신철의 소재를 수소문해서 은밀하게 신철과 마주 앉았다.{당신은 이제까지 우리 동족들에게 참으로 많은 나쁜 짓을 저질렀소, 이제 마지막으로 한번 우리 민족을 위해서 큰 일을 해 주시오. 당신만 입을다물어 준다면 우리나라는 머지않아 독립할 수가 있을 것이오, 그러면 역사는 신철이라는 이름을 명예롭게 기억할 것이오}최린은 당시 돈으로 거금인 5천원을 신철 앞에 꺼내 놓았다.{ 이 돈이면 만주에 들어가 가족들과 함께 살 수 있을 것이오. 우리 민족전체의 미래가 당신 ㅅ한 사람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생각해 보시오.}최린의 말을 묵묵히 듣고 있던 신철은 한순간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사라졌다.3월 3일로 독립선언은 서둘러 3월 1일에 앞당겨 행하여졌다.3.1만세 운동이 일제의 잔인한 탄압에 눌려서 독립의 희망이 점차 사그라들던 두 달 후,신철은 자살로 자신의 삶을 마감하고 만다.고등계 형사 신철과 관련해서 분명한 것 하나는, 그가 독립 선언 계획을 사전에 탐지했지만 이를 일본 경찰에 보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3.1운동이 가능했다는 것이다.최근 3.1운동 당시 33인 민족 대표로 불리는 이들 중 일부가 나중에 적극적인 친일 행각을 벌였다는 주장들이 대두 되고 있다.청주시 3.1공원 안에 있는 청주 출신 33인 대표 한 사람의 동상이 시민 단체들에 의해서 강제 철거 될 위기에 있다고 한다.해방 이후 이제 까지 우리 정부의 각료를 지낸 분들의 상당수가 친일 행위를한 사람들이었다는 조사 결과가 몇일 전에 발표됐다.그런 저런 믿기 싫은 이야기가 발표될 때마다 신철이라는 사나이가 생각이난다.그는 결코 훌륭한 인간은 아니었다. 하지만 의롭게 살다가 후에 변절한 사람들과, 개처럼 살다가 후에의롭게 죽은 사람의 차이는 무엇일까- 1995.3.1, 동아일보"어느 고등계 형사의 자살" -2. 쇼팽의 삶폴랜드의 유명한 천재 음악가 쇼팽은 피아노를 위시하여 작곡에도 탁월한재능을 보인 사람입니다. 그가 20살에 예술의 나라 불란서로 유학을 떠날 때그의 아버지가 부탁한 말씀이 있습니다.“너는 폴란드의 자랑이 되어다오.”아들의 마음 속에 국가를 심어주었습니다. 또한 쇼팽의 선생님 역시 훌륭한분이어서 떠나는 그에게 조그마한 은컵에다 폴랜드의 흙을 넣어 정성스럽게 싸서 주며,“어디를 가든지 조국을 잊지 말게. 이 한 줌의 흙을 따뜻한 마음으로사랑해 주기 바라네”하며 선물로 주었다고 합니다. 그는 공부하는 동안 힘들 때마다“나는 폴랜드 사람이다. 폴랜드 이름을 더럽히지 않도록 해야지”하며 노력을 했다는 것입니다. 불행히도 그는 38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떠났습니다만 누구보다 폴랜드의 이름을 높이며 산 생애였습니다. 그의 유언은 “나는 폴랜드 흙이 담긴 이 컵을 나의 무덤 속에 넣어주시오”라고 조국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죽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살고어떻게 죽어야 하겠습니까 그리스도의 이름을 높이고 하나님의 이름을 항상기억하며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이름에 나의 마지막 생명을 부탁해야 합니다.“하나님이여, 오직 당신의 이름이 나의 생명을 통해서 거룩히 여김을받으시옵소서”라는 기도가 항상 있어야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