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 있는 오늘 하루를
본문
학교가 일터인 관계로 많은 시간을 강의실에서 보내게 된다.강의실에 앉아 있는 학생들은 대개 무표정하고 어두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일주일에 스무 시간 가까이 강의실에서 수동적으로 앉아 있는 학생들에게 두 시간의 수업은 반가운 시간만은 아니리라.지친 학생들의 모습 속에서 워밍업이 필요함을 느낀다.그래서 수업의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우리는 워밍업의 시간을 가진다.그것은 학생들에게 “우리의 몸은 운동을,우리의 정신은 미소를,우리의 영혼은 사랑한다는 한 마디를!”이라는 구호를 따라하게 하는 것이다.첫째,학생들은 “우리의 몸은 운동을!”이라는 구호를 따라하면서 기지개를 켜며 옆의 친구들에게 안마를 해준다.우리는 육신을 가진 존재이므로 몸의 상태는 기분에 큰 영향을 미친다.많은 경우에 우리는 위축된 자세를 가지고 있다.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정해진 자세만을 취하게 된다.고정된 자세는 우리를 움추러들게 한다.이 때마다 손을 높이 뻗으면서 기지개를 켜는 것이 좋다.둘째,학생들은 “우리의 정신은 미소를!”이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친구들과 미소를 보내며 인사한다.나는 강의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1인당 네 사람씩 책임지라고 부탁한다.“여러분이 전후좌우의 네 사람을 책임져 주셔야 제가 강의를 잘 할 수 있습니다.옆사람에게 웃으면서 인사하세요”웃음이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엄청나다.미소 가운데 깨어난 정신은 한 마디만 들어도 두세 마디를 쉽게 알아듣는다.웃지 않는 정신은 열 마디를 들어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서로 웃으면서 정신을 깨울 때 좋은 학습 효과가 있음을 자주 확인한다.아이들이 어른들보다 행복한 하루를 보내는 것은 자주 웃기 때문이 아닐까 세 해 전에 셋째 아이가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다.아침에 일어나 보니 셋째 아이가 누워서 생글생글 웃고 있는 모습이 참으로 귀여웠다.그때 셋째 아이를 바라보면서 나도 모르게 혼잣말처럼 중얼거렸다.“지혜야,웃지 말고 말좀 해봐라.왜 말은 안하고 웃기만 하니” 이 말을 듣자 첫째 아이가 말을 받으면서 이렇게 말했다.“어른이 되면 웃지는 않고 말만 할꺼니까요”셋째,학생들은 “우리의 영혼은 사랑한다는 한 마디를!”이라는 말을 들으면서 사랑의 말을 건넨다.“하나님께서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나는 특히 “당신께 드리는 생일 선물입니다”라는 시를 들려주기를 즐겨한다.몇년 전에 우연히 알게 된 시인데,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당신께 드리는 생일 선물입니다/당신은 사랑받기 위하여 태어났어요/이한 마디 당신에게 드리는 생일 선물입니다/미역국을 먹으며/예쁘게 장식된 생일 케이크를 자르며/당신은 사랑받기 위하여 태어났어요/이 한 마디 당신께 드립니다/그리고 더 귀중한 또 한마디/당신은 사랑하기 위하여 태어났어요/당신이 사랑 받은 만큼/그보다 더 많이/당신은 사랑하기 위하여 태어났어요…”(후략)그렇다.당신은 사랑받고 사랑하기 위해서 태어났다.이 아침에 다같이따라해 보자.“우리의 몸은 운동을!” “우리의 정신은 미소를!” “우리의 영혼은 사랑한다는 한 마디를!”서울여대 장경철교수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