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종교분쟁
본문
‘신(이슬람교)’과 ‘신들(힌두교)’의 전쟁터 인도‘세계 4대 문명발상지의 하나인 인더스문명’‘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의 발상지’‘영원한 신분 카스트제도’ 등 인도를 형용하는 단어들은 무한하다. 인도카레 냄새가 잔뜩 풍기는 이곳에서 ‘신과 신들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카슈미르를 둘러싼 힌두교권 인도와 이슬람권 파키스탄의 전쟁은 반세기를 넘기고 있다.카슈미르를 보면 끊없는 지구촌 분쟁의 밑그림을 보는 듯하다. 지역의 종교적 분포상황과 자국의 이익을 위해 지원하는 외부세력으로 인해 전쟁을 피할 수 없는 곳이다. 47년 8월 영국이 이 곳에서 철수한 후 10월 인도와 파키스탄이 각각 3분의 2,3분의 1의 영토를 점령했다. 지역인구중 이슬람교도는 78%,힌두교도는 22%. 구소련은 인도,인도는 힌두교권을,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범이슬람권국가들은 파키스탄,파키스탄은 이슬람반군을 지원하는 복잡한 상황이다.◇불타는 지옥 카슈미르캐시미어 옷감의 본고장인 카슈미르는 인도의 북부와 파키스탄의 동북부 및 중국의 서부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곳. 히말라야 산맥의 고산지대를 끼고 수려한 계곡이 많지만 지금은 전화만 가득하다.47년 말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5만명의 캬슈미르 무장세력이 주도인 스리나가르를 점령하려 했다. 인도는 이에 뉴델리로부터 군을 공수하며 전쟁은 시작됐다. 양국간 전면전으로 확대되자 48년 8월 UN은 중재안을 제시했고 49년 1월부터 휴전협정이 발효됐다. 그러나 파키스탄은 자국 점령 캬슈미르가 독립정부임을 주장했으며 인도는 63년 자국 점령 카슈미르지역을 자국의 1개 주로 편입시켰다.64년들어 인도령 카슈미르에 대한 파키스탄측의 공격이 잦아졌고 동년 12월 인도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에 대한 반격을 가해 전면전이 재발됐다. 제 2차 전쟁은 사망자 3000명을 낸 뒤 종결됐다.80년대 후반들어 내전의 성격이 가미돼 인도령 잠무 카슈미르 주에서 분리독립운동이 일어났다. 88년 8월 결성된 이슬람세력이 중심이 된 잠무 카슈미르해방전선(JKLF)은 인도정부군과의 현재까지 무력충돌을 벌이고 있다. 89년이래 7만여명이 사망했으며 20만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서로 용납할 수 없는 두 종교의 마찰다신교로 우상을 숭배하는 힌두교와 일신교로 우상을 거부하는 이슬람교. 서로 용납합 수 없는 종교 특성에다 인도정부는 잠무 카슈미르 지방정부 수장을 대통령이 직접 임명해 중앙의 지배권 강화를 꾀했다. 이 때문에 이슬람교도가 압도적인 다수를 점하고 있음에도 힌두교도가 주정부,관료기구를 마음대로 지배해 오고 있다. 이슬람교도는 군대조차 갈 수 없고 중앙정부의 지원금은 대부분 힌두교도인 주관리들 손으로 들어가 버린다.이에 대항해 아프가니스탄 및 구소련 중앙아시아의 이슬람계국가들이 연대,카슈미르 이슬람반군 전사들을 훈련시키고 있다. 현재는 분리주의 이슬람세력 중에서도 이슬람 원리주의 초강경파의 득세로 카슈미르의 종교분쟁은 더욱 격화될 태세다.◇기독교의 조심스런 성장이런 가운데 기독교계의 선교는 극히 어려운 상황. 하지만 동북부 나가랜드와 미니푸르,미조람 주 등을 중심으로 발판이 꾸준히 넓혀지고 있다. 현재 인도 전체에 기독교인은 2. 7%이며 상당수는 이 동북부지역에 있다. 특히 나가랜드 지역은 기독교 공동체의 영향력이 날고 커지고 있는 선교의 중심으로 한국 등 외래선교사들의 선교와 교육·봉사활동이 활발하다. 여기서 네팔,부탄,미얀마 북부에 이르기까지 선교벨트가 확장되는 추세다.■인도 개황△면적:328만7263㎢(한반도의 15배)△인구:10억명(2000년 현재)△수도:뉴델리△인종:아리안인,드라비다인,프로토오스트랄로이드,네그로이드,몽골인 등 4635개 종족집단△언어:헌법상 힌디어 포함 18개 언어 공용어로 인정. 제1공용어는 힌디어(연방 언어),제2공용어는 영어(입법·사법 언어)△문맹률:48%△종교:힌두교(81.5%),회교(11.2%),기독교(2.7%),시크교(2.4%),자이나교(1%),불교(0.7%)△정부형태:의원내각제△주요인사:나라야난 대통령, 바지파이 수상■인도의 종교상황△아리안문화(기원전 2000∼1000년) 카스트제도(승려·사제계급인 브라만,전사·지배계급인 크샤트리아,상인계급인 바이샤,노예계급인 수드라,천민)담은 마누법전 제정△기원전 1500∼600년 힌두교 발생△기원전 500년 불교,자이나교 발생△100년 대승불교 발생(인도불교는 힌두화돼 신앙보다는 유적으로 존재)△380∼606년 쿱타왕조 초기와 전성시대는 불교 융성,말기엔 힌두교와 자이나교 부흥△10세기 인도북부지역(잠무 및 카슈미르)을 중심으로 하층계급에 속하는 이슬람교도 집단 거주△16세기 힌두교와 이슬람교 절충,시크교 창시. 펀자브주에 시크교도 밀집△1627∼1658년 이슬람교 번성,타지마할 등 이슬람 관련 유적 건축△1858년 영국이 인도를 직할시로 편입한 후 분할통치정책을 쓰며 이슬람교도와 힌두교도 대립 조장△1947년 인도대륙 독립과 함께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리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