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미지의 약초는 예수님

본문

어떤 약초 하나만 넣으면 독약은 중화되어 선약이 되고 선약은 약효과 증대되는 역할을 하는 약초가 있다면 그 약만 넣으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 예수그리스도는 이러한 미지의 약초 역할을 하신다. 사단은 물러가게 하시고 선한 사람은 능력을 받아서 더 성숙하게 하신다한약을 먹을 때 무를 함께 먹으면 머리가 희어진다는 속설이 있다. 옛 선인들은 이러한 음식과 약의 작용 관계를 사람들 사이의 정처럼 해석했다. 약정(藥情) 혹은 식정(食情)이라 하여 병을 치료할 때나 음식을 요리할 때 쓰이는 재료들이 서로 잘 어울릴지를 살폈다. 약이나 음식의 성분이나 칼로리보다는 특유의 성질을 파악하여 조화를 꾀했다. 즉 두가지 약물이 만나서 치료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을 상수(相須)혹은 상사(相使)라 하여 효과적인 약물의 만남을 말하는 것으로 당귀와 천궁,인삼과 감초,숙지황과 맥문동 등은 궁합이 잘맞아 정이 드는 약물의 짝들이다.예를 들면 인삼만 달여서 복용하기보다는 감초를 함께 달여서 복용하면 더욱 좋은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또 두가지 약물이 만나면 서로 견제하거나 싫어하며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을 상오(相惡) 상외(相畏) 상반(相反)이라 하고 두가지 약을 배합하면 상대 약의 독성을 없애버리는 경우를 상살(相殺)이라 하였다. 뱀의 독은 웅황과 상살의 관계이므로 뱀독을 해독할 때는 웅황을 쓰면 된다. 또 생지황과 무는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갖고 있어서 약효를 감퇴시킨다. 그래서 생지황을 쪄서 만든 숙지황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 무를 먹게 되면 흰머리가 난다고 했다. 사실 숙지황이 들어간 약을 먹고 무를 먹어도 흰머리가 나는 것이 아니라 약효를 감퇴시키므로 금기하라는 것을 유희적으로 설명했던 것이다.이상룡(우석한의대학장)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565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