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기본과 지식경영의 오류

본문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행하는 말이 있다면 지식경영, 지식사회, 신지식인등 ‘지식’이 들어가는 말일 것이다.대통령부터 일반 소시민에 이르기까지 지식이라는 말을 쓰지 않으면 바보가 되는 것은 순식간이다.몇 년 전에 ‘세계화’라는 말을 쓰지 않으면 제대로 행세하지 못했던 것과 매우유사하다.지금 와서 지식이 모든 문제의 해답인 양 떠들지만 사실 원시인조차도나름대로의 지식이 있었다.다만 농경사회를 거쳐 산업사회,그리고 정보사회로넘어오면서 지식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되고 있을 따름이다.지식이 중요하다는점에서는 이의가 없지만 현재 우리나라를 뒤흔들고 있는 ‘지식’ 열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혼란스럽기까지 하다.어떤 것을 두고 지식이라 하는가.고부가가치의정보 노하우 기술 핵심역량 무형자산 유사한 용어와 개념들이 난무한다.개념의 혼란이 있으니 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혼란은 더 말할 것도 없다.자장면 배달원,우편 집배원이 신지식인이라 하여 청와대에 초대된다.그러나 좀 더빨리,좀 더 효율적으로 배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이유로 그런 대우를 받았다면 그런 의미의 신지식인은 우리 주위에 수 없이 많다.이야기의 범위를 좁혀 지식경영에국한해보자.간단히 줄여 말하자면, 지식경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비에 더많이 투자되어야 할 것이고, 비싼 돈을 들여 습득한 지식을 한 두 사람만 가지고있으면 손해일 것이니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정보시스템과 동기부여의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이를 총괄하여 관리할 책임자가 별도로 임명되어야 할 것이다.또한 이 일은 몇 사람만 뛰어 다닌다고 성공할 것이 아니므로 전 사원이 동참해야할 것이고,무엇보다도 지식경영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이 유감없이 발휘되어야할 것이다.위에 열거한 사항들이 지식경영에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없다.그러나 이러한 요건이 갖추어지면 자동적으로 성공이 보장되는가.여기에 대한 해답은 그 동안 우리나라를 거쳐갔던 수많은 경영기법들,예를들어학습조직,팀제도,리엔지니어링,리스트럭처링,벤치마킹,POS 등의 경영기법이 성공을 거두지 못했던 이유를 상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한 마디로 이러한 기법이 실패한 이유는 그 밑바탕에 흐르고 있는 기본가정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바꾸어 말하면 아무리 지식경영의 기법을 도입하고 장려한다 하여도 기본 여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성공할 수 없다는 의미다.지식경영이 지식의 공유를 이야기하고 있으나 그 전제 조건인 신뢰가 아직 형성되어있지 않다.상호신뢰 없이 지식의 공유는 불가능하다.기업가의 리더십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비전이 빠져 있다. 비전없는 리더십은 더 이상 적용될 곳이 없다.기술의 진보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기술의 방향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하고 있다. 방향이 없는기술의 발전만큼 인간을 위협하는 것이 없다.동기부여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안에는 인간에 대한 사랑이 빠져있다.사랑이 없는 사회에서의 인간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성경은 여호와를 두려워하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라 하며(잠언 9:10),신지식은 새사람에게서나 기대될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한다(골로새서 3:10).또한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모든 계명의 요약이라 말씀한다.지식경영이 이 땅에서 효과를 거두려면 단편적인 몇 가지 기법을 시도하는 것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훨씬 근본적인문제,즉 여호와를 두려워하고 새사람이 되며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이 갖추어진 후에나 가능한 것이다.이러한 기본 요건을 무시한 지식경영의 맹목적인 추진은 낭비일 뿐 아니라 때로는 위험하기까지 하다./황호관<세종대 교수>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59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