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기독교 사회운동 시작

본문

`교인이나 교회들은 종교생활을 생활의 일부분으로 삼았다.심하게 말하면 혹자는 종교란 모든 실생활과의 관계를 떠나 자기 혼자 무슨 신비한 경험을 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또 일요일에 예배만 드리는 것으로 알았다.그렇기 때문에 고리대금업이나 다른 방식의 착취를 하다가도 주일에는 예배당에 나와 아무런 양심의 가책도 없이 예배를 드린다.그 원인은 종교생활이 실제화되지 못하고 실생활이 종교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합리적인 교인이 되려면 실생활을 신앙과 분리하지 말아야 한다'(1928년 11월 `청년'지에 실린 고 김활란 박사의 글 `예루살렘대회와 금후 기독교'중에서).한국 기독교인들은 1920~30년대 부흥운동으로 초월적 신비주의 신앙을 갖게 됐다.그러나 이에 대한 반발로  `계몽주의적 사회참여신앙'도 형성됐다.계몽주의적 사회참여신앙은 주로 교회 내 지식인계층에 의해 주도됐다. 이에 대해 이덕주 목사는 "3.1운동 이후 팽배했던 패배주의적 사회분위기 속에서 민중계층은 초월적 신앙으로 현실을 이겨 보려고 노력한 반면 지식인층은 사회계몽과 참여를 통해 민족의 식민지 현실을 극복하려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한국 교회의 지식인층은 1928년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열린 `국제선교협의회'에 참여하면서 사회에 대해 신앙적 인식을 하게 됐다.이 대회에는 신흥우(YMCA) 김활란(YWCA) 양주삼(남감리회) 정인과(장로회) 노블,마펫 등 여섯명의 선교사와 목사,평신도 등이 참석했다.또 한국교회는 이 대회에서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란 이름으로 협의회에 가입했다.이 대회에서는 기독교와 타종교문제,세속화문제,선교개념의 재해석문제등이 논의됐다.특히 미국의 사회학자가 조사한  `한국농촌 조사보고서'가 회의보고서로 채택되는 등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의 선교상황에 대한 분석에 중점을 뒀다.한국측 대표들은 예루살렘대회에 참석한 후 네덜란드의 농촌을 방문하고 새로 접한 정보를 국내에 알리는 등 이 대회를 통해 새로운 사회의식을 갖게 됐다.신간회에서 활동했던 조병옥이 비밀조직으로 만든 `기독신우회'도 사회개혁을 통한 기독교인의 현실참여를 주창했다.이들은 기독주의의 민중화와 실제화를 말하면서 "자유 평화 진리의 천국을 인간사회에 만들어 인격의 진선미를 완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그러나 기독신우회는 중심인물인 조병옥이 신간회 사건으로 체포되면서 와해되고 말았다.1932년 결성된 신흥우의 `적극신앙단'도 기독교의 민중화,생활의 간소화,조선적 교회 설립 등을 추구하는 이념단체였다.김교신과 최태용 등의 개혁운동이 일본적 사고에서 출발한 데 반해 신흥우의 적극신앙단운동은 미국적 사고에서 시작됐다.적극신앙단은 <>자연과 역사,예수,경험 속에 계시는 하나님 추구 <>하나님과 하나가 돼 악과 싸워 이기는 것 <>인간 권리행위의 완전동등권 보장과 완전한 자유 추구 <>개인적 취득욕 배제 <>경제.문화적 생활의 균형과 안전보장 등 5개조의 신앙선언을 발표했다.교회사가 전택부 장로는 "신흥우는 예루살렘대회에 참석한 후 한국교회의 토착화와 독립 세속화 등에 확신을 갖고 적극신앙단을 조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이와 함께 한국교회는 절제운동을 펼쳤다.1923년 여자절제회가 창설됐다.이 조직은 24년 `조선여자기독교절제회연합회'로 확대 재편되면서 금주.금연운동을 비롯한 절제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특히 초대총무 손정규의 경우 금주운동을 민족운동적 차원에서 `조선을 살리는 운동'으로 봤다.특히 공창폐지운동은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 등으로 확산됐다.남성들은 26년창립된 `조선기독교절제회'를 중심으로 활동했다.조선기독교절제회는 32년 미성년자의 음주.끽연금지법 실시 촉성회를 구성해 조선총독부를 상대로 미성년자 금주.금연법 제정운동을 벌였다.이밖에 구세군을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사업도 추진됐다.구세군은 1916년 서울 아현동에 여자육아원(혜천원 전신)을 개설한 데 이어 18년 남자육아원 (후생학원 전신)을 세웠다.구세군은 또 여름에는 수재민,겨울에는 빈민구제사업을 활발하게 펼쳤다.28년 겨울 구제사업을 위해 `자선냄비' 모금을 시작했다.감리교에서는 1919년 서울 종로 명월관을 인수,`태화기독교사회관'을 만들어 여성직업교육과 아동보건사업 등을 실시했다.1920년대 이후 기독교는 사회주의자들로부터 개인집단이라는 비난을 받았다.그러나 금주.금연운동과 각종 사회사업의 전개로 이들의 비난을 극복 하면서 활동범위를 넓혀 갔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604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