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방유전자의 위력
본문
길거리에서 낯모르는 사람이 부르는 콧노래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따라 부른 경험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요즘의 청소년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인기 연예인들의 의상.머리모양.장신구.말투 등을 그대로 흉내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세계적인 생물학자이자 과학저술가인 리처드 도킨스는 1976년에 낸 '이기적인 유전자' 라는 책에서 '밈(Meme)' 이라는 개념으로 이런 현상을 설명한 바 있다.남의 것을 모방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를 생물학적인 용어인 유전자(Gene)의 발음 '진' 에 빗대 만들어 낸 말이다.옥스퍼드 영어사전은 이 용어를 "비유전적 방법, 특히 모방을 통해 전해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문화의 요소" 라고 정의하고 있다.생명체는 유전자 복제를 통해 자신의 형질을 후대에 전파한다. 밈도 스스로를 복제하고 널리 전파하면서 진화한다는 점에서 생물의 유전자와 닮은 점이 많다.그러나 유전자에 의한 복제는 반드시 부모가 자식에게만 물려줄 수 있으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개체수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반면 밈에 의한 복제는 모방을 통해 이뤄지므로 정확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이른 시간 내에 거의 무제한으로 퍼뜨릴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노래.광고.사상.패션.건축양식 등 유행을 타는 인간행위의 전파는 모두밈에 의한 복제과정을 거치게 된다.특히 정보화사회가 진전되고 인터넷으로 국경을 넘나드는 오늘날 밈은 점점 더욱 큰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최근 전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끼치고 있는 컴퓨터 바이러스들 역시 일종의 '악성 밈' 에 비유할 수 있다. 사이비 종교집단의 혹세무민 행위, 근거없는 헛소문의 유포 역시 밈으로 설명할 수 있다.근래 외국에서는 밈의 실체를 폭넓게 연구한 책들이 잇따라 발간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자연과학계뿐 아니라 사회과학계.문화계에서도 밈에 관한 관심을 기울이는 동시에, 건전하고 유익한 밈을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