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은 자신에게 돌아온다
본문
욕설은 어느 나라에나 있으며 대개 학교,군대,교도소,시장 등 특수집단에서은어화돼 줄기찬 생명력을 유지한다.점잖은 말이 적절하게 표현해내지 못한감정,상황을 성기,성교,형벌 등에 풍자,비유해서 내뱉는 음지의 언어로 때와 장소를잘 가리고 아슬아슬한 선에서 절묘한 절제력을 발휘하면 양지 언어 못잖은 효과를얻을 수 있다.그래서 욕설은 시,소설,미술,연극 등 여러가지 예술장르에서 양념이상의 역할을 톡톡히 한다.대표적인 것으로 김삿갓의 시를 들 수 있다.書堂乃早知(서당내조지) 房中皆尊物(방중개존물)生徒諸未十(생도제미십) 先生來不謁(선생내불알)(서당을 일찍 알고 와보니 방안에는 모두 귀한 분들일세.생도는 열명도 안 되고 선생은 와서 얼굴도 내밀지 않네) 김삿갓이 추운 겨울날 하룻밤 재워 달라고 어느 서당에 들렸는데 미친 개 취급하며 쫓아내자 화가 나서 지은 작품이다.내용은 평범하지만 한자음은 그대로 욕설이 된다.그러나 이를 상스럽거나 추잡스럽다고 할사람은 없다.오히려 그 재치에 부담없이 한바탕 웃게 된다.민남진(본 남편 ) 그놈 자총 벙거지 쓴 놈소대서방(샛서방) 그놈은 삿벙거지 쓴 놈민남진 그놈 자총벙거지 쓴 놈은 빈논에 정어이(허수아비)로되밤중만 삿벙거지 쓴 놈 보면 샐별 본 듯하여라이는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로 본 서방은 잠자리가 별 볼 일 없지만 샛서방은 훌륭해 그 생각만 해도 샛별 본 듯 정신이 번쩍 난다는 내용이다.자총벙거지,삿벙거지는 모두 남자의 성기를 묘사한 것이다.거의 포르노에 가까운 묘사지만 추함보다는 그해학성에 정서적 풍요를 느낀다.욕설은 이처럼 일반언어가 쉽게 담아내지 못하는 행동,감정을 순발력있게 묘사하고 포착하는 순기능을 담당한다.속담에도 ‘꼬부랑 ×× 제 발등에 오줌눈다’‘또아리로 × 가리기’ 등 욕설이 들어간 것이 셀 수 없이 많다.이런 것들이 적재적소에 쓰이면 품위를 자랑하는 어떤 말 못지 않게 정확한 내용전달, 공감대 확산등의 구실을 해낸다.그러나 남을 모욕,저주,비하하기 위해서 쓰이면 흉기가 된다.따라서 같은 욕설이라도 풍자와 상말을 구분해 쓰는 지혜와 분별력이 있어야 한다.“욕설은 한꺼번에 세 사람에게 상처를 준다.욕을 먹는 사람, 전하는 사람,욕설을 퍼부은 사람이다.그러나 가장 큰 피해는 욕설을 한 그 사람에게 돌아간다”고리키가 한 말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