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과도한 소유욕 아담과 노인

본문

늙은 죄수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그는 평생 감옥을 전전하며 늙었습니다 .가족이나 친척도 없었습니다.그런 그에게 늙는다는 것은 더욱 적막할 뿐이었습니다.머리는 하얗게 바랬으며 뼛속까지 고독이 스며들었습니다.노인의 황혼인생은 그렇게 기울어가고 있었습니다.그러던 어느 날,늙은 죄수는 감옥 창문으로 날아온 참새 한 마리와 사귀게 됩니다.그는 마른 빵 한 조각을 남겨 두었다가 날아온 참새에게 나누어 주곤 합니다.참새도 늙은 죄수와 친하게 되어 창문을 열면 감방 안으로 들어왔습니다.참새는 노인이 내미는 부스러기를 쪼아먹으며 노래를 불렀습니다.늙은 죄수에게는 70평생에 처음으로 생기찬 나날이 찾아 왔습니다.그는 눈만 뜨면 휘파람으로 참새에게 신호를 보내고 그럴 때마다 참새가 날아들었습니다.노인은 거친 손으로 참새를 사랑스럽게 어루만지며 정을 쏟았습니다.늙은 죄수는 처음으로 사랑에 눈을 떴습니다.그러나 세상 일들이 모두 그렇듯이 행복한 날들은 오래 지속되지 않았습니다.늙은 죄수는 외딴섬으로 이감이 됩니다."사랑하는 참새를 두고 어찌 떠날까" 노인은 며칠을 두고 고민했습니다.결국 그는 참새를 데려가기로 결심합니다.나무와 철사를 구해서 조롱을 만들었습니다.외딴섬으로 출발하던 날 노인은 중얼거립니다."참새와 함께라면 어디를 가도 외롭지 않아" 노인은 조심스럽게 참새조롱을 가슴에 품었습니다.그러나 우악스런 죄수들이 서로 밀고 당기는 바람에 조롱은 부서지고 말았습니다.놀란 참새는 푸드덕 날아올랐습니다. 그러다가 이내 수면으로 뚝 떨어지고 말았습니다.참새가 왜 날지 못했을까요.노인은 참새가 멀리 날아가지 못하도록 새의 꼬리를 잘라두었던 것입니다."참새를 건져주세요" 노인은 안타깝게 울부짖었습니다.찬란한 낙조가 붉게 출렁이는 수면에서 가엽게 파닥거리는 참새의 최후를 늙은 죄수는 그저 안타깝게 바라보고만 있었습니다.이것은 프랑스의 소설가 피에르 로티의 `늙은 죄수의 사랑'이라는 작품의 줄거리입니다.이 감동적인 이야기속에서 우리는 몇가지 교훈을 얻습니다. 이야기속의 늙은 죄수는 작품의 주인공이라기 보다는 인간실존 그 자체입니다.늙은 죄수는 스스로 지은 죄 때문에 평생을 감옥에 갇혀 불행하게 살았습니다.인간도 스스로 지은 죄 때문에 저주받은 운명에 처해 있습니다.그래서 자신도 극복하지 못한 열등감과 자학속에 뒹굴고 있습니다.서로를 불신하고 증오하며 병든 마음의 감옥에 살고 있습니다.사랑하는 성도 여러분.절망적인 상황에서 허덕이는 인간실존을 구원하기 위해 우리에게 한마리 파랑새가 날아왔습니다.이 파랑새의 이름은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인간을 자유케 하기 위해 자신의 자유를 포기하신 예수님만이 진정한 자유가 되십니다."그러므로 아들이 너희를 자유케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하리라"(요한복음 8장 36절).사랑은 통조림같은 것이 아닙니다.늙은 죄수에게 있어서 참새는 사랑의 알파와 오메가였습니다.참새만이 유일한 희망이었습니다.그러나 노인은 사랑을 잘못 이해하고 있었습니다.사랑을 소유하려고만 했던 것입니다.지나친 소유욕 때문에 참새의 꼬리를 싹둑 잘라놓았습니다.이것이 결정적인 과오였습니다.정도를 벗어난 소유의 욕망은 비극을 낳습니다.붉은 황혼의 바다에 추락하는 새의 모습을 바라보는 노인의 눈에 눈물이 가득 고였습니다.새의 날개를 꺾는 행위는 결코 사랑이 아닙니다.우리는 지금 복된 소식을 들고 인생의 창문을 두드리는 한 분을 만날 수 있습니다.그 분은 인생의 주인이십니다.고통을 기쁨으로,눈물을 웃음으로,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그분의 이름은 예수님이십니다.예수님을 마음의 중심에 모셔들이는 여러분이 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628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