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뜻있는 인생

본문

인간이 뜻을 세워 초지일관하기란 쉽지가 않다. 별세한 고황경 박사는 90 평생을 뜻있는 일에 매진해온 뜻있는 삶의 실천자였다. 일찍이 개화된 가정에서 자란 소녀의 눈에 비친 20세기 초엽의 이 나라 현실은 암흑이나 다름없었다. 소녀는 10세 때 사회를 위해 한 알의 밀알이 될 것을 결심하고 이를 위해 독신으로 살기로 마음먹었다.고 박사는 너무 많은 일을 해 그 업적을 나열할 수 없을 정도다. 광복 전까지는 경성자매원을 개설하여 불우한 소녀들에게 글을 가르치고 민족사상을 고취시켰다. 정부수립 후에는 전국을 순회하며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생활운동을 전개했다. 시·도에 부녀계를 설치하는 데 앞장섰고, 58년에는 대한어머니회를 만들었다.6·25전쟁이 터지자 영국에 건너가 유엔군의 한국파견을 강력히 요청했다. 가족계획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이를 사업으로 확대시킨 것도 고 박사의 공적이다. 생의 후반부는 여성교육에 전념했다. 공릉동에 세운 서울여자대학은 인간교육을 실현하려는 그의 신념이 영근 실천장이었다. 생활관과 주택실습을 통해 올바른 인격과 교양을 갖춘 여성인재를 배양하려 한 그의 참뜻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84년 후배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조용히 은둔한 뒤끝도 깨끗하다.일생을 여성운동과 교육에 헌신한 고 박사야말로 한국 현대사의 초석을 놓은 선각자였다. 나라를 끌어온 남성지도자들이 갖가지 굴절을 보인 것과는 달리 고 박사는 소리없이 여성의 의식을 일깨우면서 지위향상과 능력계발에 앞장서온 여성지도자였다. 여성운동을 하면서도 좋은 어머니와 아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라던 그의 소신은 오늘에 되새겨볼 만하다.서울여대에는 바롬의 체취와 잔상이 곳곳에 서려있다. 집필하고 강연하느라 늘 바쁜 중에도 온화한 웃음을 잃지 않던 고 박사는 시류에 영합하지 않은 꼿꼿한 삶의 표본을 남겼다. 은퇴 후에도 이곳저곳 자리를 넘보고 할 말 안 할 말 떠들어대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에서 그의 절제된 생활과 봉사의 생애는 시사하는 점이 많다. 바롬의 영전에 명복을 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638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