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의 자유
본문
“그리스도께서 우리로 자유케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세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형제들아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라”(갈 5:1~13).
근대 인류의 역사는 ‘자유를 위한 투쟁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프랑스대혁명을 위시해서 3·1운동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봉건군주, 제국주의와 싸워 자유를 쟁취하여 왔습니다.
미국의 루즈벨트(Franklin Roosevelt, 182~1945)대통령은 자유에 대해서 네 가지로 말했습니다. 어디에서나 말할 수 있는 자유, 어디에서나 예배할 수 있는 자유, 결핍으로부터 해방 받을 자유, 공포로부터 안전을 보장받을 자유 등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가 다 주어졌다고 이제 나는 자유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흔히 자유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무엇으로부터의 자유(freedom from)’입니다. 이것은 소극적인 의미의 자유입니다. 그러나 또 하나는 ‘무엇을 향한 자유(freedom for)’입니다. ‘무엇을 향한 자유’는 ‘무엇으로부터의 자유’보다는 훨씬 더 적극적인 자유입니다. 이 자유는 단순히 예속과 억압의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 자유 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어떤 자유를 의미하겠습니까
참 자유는 기피하거나 도피하거나 해방되거나 포기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통해 스스로 자유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진정한 자유를 누리게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 8장 34절에서 “죄를 범한 자마다 죄의 종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도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 죄의 짐을 벗기시지 않는 한 그는 참으로 자유 할 수가 없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죄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셔서 마침내 십자가 위에서 우리의 죄를 짊어지고 대신 죽으셨습니다. 그리고 또 죽음으로부터 부활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사망과 죄의 권세를 이기신 주님은 모든 사람이 죄로부터 자유함을 누리도록 해주셨습니다.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사람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그 분 안에 ‘굳게 서야 할 뿐만 아니라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아야’합니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자유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유를 원하지만 또한 스스로는 자유케 할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서 주님의 은혜로 그를 부르셨기 때문에 자유케 된 것입니다.
우리는 주님께서 주신 이 자유를 다시 범죄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오직 사랑으로 섬기는 일에 쓸 수 있도록 힘씁시다.
묵상 365일 김진홍목사의 하루를 여는 지혜2
근대 인류의 역사는 ‘자유를 위한 투쟁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프랑스대혁명을 위시해서 3·1운동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봉건군주, 제국주의와 싸워 자유를 쟁취하여 왔습니다.
미국의 루즈벨트(Franklin Roosevelt, 182~1945)대통령은 자유에 대해서 네 가지로 말했습니다. 어디에서나 말할 수 있는 자유, 어디에서나 예배할 수 있는 자유, 결핍으로부터 해방 받을 자유, 공포로부터 안전을 보장받을 자유 등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가 다 주어졌다고 이제 나는 자유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흔히 자유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무엇으로부터의 자유(freedom from)’입니다. 이것은 소극적인 의미의 자유입니다. 그러나 또 하나는 ‘무엇을 향한 자유(freedom for)’입니다. ‘무엇을 향한 자유’는 ‘무엇으로부터의 자유’보다는 훨씬 더 적극적인 자유입니다. 이 자유는 단순히 예속과 억압의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 자유 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어떤 자유를 의미하겠습니까
참 자유는 기피하거나 도피하거나 해방되거나 포기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통해 스스로 자유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진정한 자유를 누리게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 8장 34절에서 “죄를 범한 자마다 죄의 종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도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 죄의 짐을 벗기시지 않는 한 그는 참으로 자유 할 수가 없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죄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셔서 마침내 십자가 위에서 우리의 죄를 짊어지고 대신 죽으셨습니다. 그리고 또 죽음으로부터 부활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사망과 죄의 권세를 이기신 주님은 모든 사람이 죄로부터 자유함을 누리도록 해주셨습니다.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사람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그 분 안에 ‘굳게 서야 할 뿐만 아니라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아야’합니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자유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유를 원하지만 또한 스스로는 자유케 할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서 주님의 은혜로 그를 부르셨기 때문에 자유케 된 것입니다.
우리는 주님께서 주신 이 자유를 다시 범죄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오직 사랑으로 섬기는 일에 쓸 수 있도록 힘씁시다.
묵상 365일 김진홍목사의 하루를 여는 지혜2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