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TOP
DOWN


좋은 그리스도인이 되려면

본문

“내가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군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을찌니 군사로 다니는 자는 자기 생활에 얽매이는 자가 하나도 없나니 이는 군사로 모집한 자를 기쁘게 하려 함이라”(디모데후서 2:3-4).

 바울은 순교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을 직감하고 로마 감옥에서 디모데에게 마지막으로 격려와 더불어 복음 사역자로서 명심해야 할 교훈을 말해 주기 위해 디모데후서를 썼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하나님의 복음 사역을 부탁하면서 군인, 경기자 그리고 농부를 통해서 귀한 교훈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좋은 군인이 될 것을 부탁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군사로 부름 받은 군인 중에도 좋은 군인과 나쁜 군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이 설명한 좋은 군사의 성품은 곧 신앙생활의 일반적 지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의 좋은 군사임을 보여 주고자하는 자는 고난을 참을 수 있어야 합니다. 바울이 로마 군인들의 생활을 보면서 느낀 것은 고난 중에도 이를 참아내는 모습이었습니다. 군대 생활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인내’하는 생활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는 사랑의 종교입니다.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모든 것을 참는 것입니다(고전 13:4-7). 군대 생활에서 꼭 배워야 할 성품이 바로 참아내는 것입니다. 신앙생활도 인내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긴 밤도 새벽이 오는 길목에 있으며, 아무리 추운 겨울도 오는 봄을 막지 못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처음은 잘 인내하다가도 끝까지 참지 못해 일을 망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참는 듯하다가 포기하면 그동안의 인내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기독교는 축복의 종교입니다. 하지만 이 축복은 고난을 통해서 얻는 축복입니다. 우리는 좋은 군사처럼 고난이 왔을 때 그것을 참으며 자신을 고난에 훈련시키고 견딤으로 고난에 의해 우리의 믿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바울이 바라본 또 하나의 군인의 모습은 자기 생활을 포기하고 대장을 위해 충성하는 것이었습니다. 입영 통지를 받으면 자기가 하던 모든 일을 중단하고 명령에 따라 입대를 합니다. 만약 우리가 그리스도의 군사로서 자신을 바친다면 우리는 이 세상에 매이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허락하신 직업에 종사하지만, 그렇다고 생활에 얽매여서 하나님께 대한 의무와 그리스도인으로서 지켜야할 관심사들을 포기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좋은 군사가 되고자 하는 자는 이 세상의 어떤 일에 종사하든지 군사로 모집한 자에게 충성하려는데 모든 초점이 맞추어져야 합니다. 이것이 곧 하나님을 향한 충성심입니다. 군사로 모집한 자를 기쁘게 하는 것이 충성심인 것입니다. 인내와 충성심이 없이 좋은 군사가 될 수 없는 것처럼 인내와 충성심이 없이는 좋은 그리스도인이 될 수 없습니다.

「일년 일독 매일 묵상」,주경로 목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99 건 - 772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