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적 구원
본문
구원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선행적 은혜”라고 아주 적절하게 부르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 안에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는 최초의 갈망과 하나님의 뜻에 대한 희미하게 떠오르는 최초의 인식 및 하나님께 득죄했다는, 최초의 약하고 빨리 사라져 버리는 지식이 포함되어 있다. 이 모든 것 안에는 생명에로의 경향성과 구원으로의 첫걸음 그리고 하나님과 신령한 것에 대해 완전히 둔감함과 눈멀고 감정 없는 마음으로부터의 해방이 시작된다.
구원은 그 다음에 성경에서 보통 회개라고 불리는 ‘죄를 인정케 하는 은혜’로써 계속된다. 구원은 자기 자신을 좀더 잘 깨닫게 하며 돌과 같이 단단한 마음을 더 자유롭게 만든다.
그런 다음에 성경에서 보통 회개라고 불리는 ‘죄를 인정케 하는 은혜’로써 계속된다. 구원은 자기 자신을 좀더 잘 깨닫게 하며 돌과 같이 단단한 마음을 더 자유롭게 만든다. 그런 다음에 우리는 본래의 기독교적 구원을 알게 된다. 즉, 우리는 ‘그 은혜로, 믿음을 통해’
구원을 받게 된다. 여기에는 칭의(稱義)와 성화(聖化)가 속한다. 칭의는 우리를 죄의 허물로부터 해방시켜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우리가 다시 발견하게 한다. 성화는 우리를 죄의 권세로부터 해방시켜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시킨다.
「존 웨슬리의 365일 묵상집」
구원은 그 다음에 성경에서 보통 회개라고 불리는 ‘죄를 인정케 하는 은혜’로써 계속된다. 구원은 자기 자신을 좀더 잘 깨닫게 하며 돌과 같이 단단한 마음을 더 자유롭게 만든다.
그런 다음에 성경에서 보통 회개라고 불리는 ‘죄를 인정케 하는 은혜’로써 계속된다. 구원은 자기 자신을 좀더 잘 깨닫게 하며 돌과 같이 단단한 마음을 더 자유롭게 만든다. 그런 다음에 우리는 본래의 기독교적 구원을 알게 된다. 즉, 우리는 ‘그 은혜로, 믿음을 통해’
구원을 받게 된다. 여기에는 칭의(稱義)와 성화(聖化)가 속한다. 칭의는 우리를 죄의 허물로부터 해방시켜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우리가 다시 발견하게 한다. 성화는 우리를 죄의 권세로부터 해방시켜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시킨다.
「존 웨슬리의 365일 묵상집」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