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한테 성공의 길 배운 대장장이
본문
임진 왜란 때의 명장 이항복이 어렸을 때, 바로 옆 대장간에서 늘 낫이나 호미를 잎 때 끄트머리 쇠를 톡 끊어 잘라내 버리는 것을 보았다. 이항복 어린이는 그것이 너무 아까워 보여, 그것을 주워 모을 생각을 했다. 그러나 양반 체면에 상놈이 버리는 것을 손으로 주워 오기가 창피해, 뒤를 튼 풍채바지를 입은 때니까, 앉아서 노는 체하고 항문으로 그 것을 물어서 가져왔다. 대장간 주인도 이항복 어린이가 무얼 하는지 알게 되었다. 그래 무슨 심술로, 한번은 아직 덜 식은 끄트머리 쇠를 잘라 떨구어, 그걸 모른 이항복 소년이 그만 항문을 덴 일이 있었다. 이항복 어린이는 이걸 괘씸하게 여겼다.
이튿날, 이항복 어린이는 살구를 들고 와서 맛있게 먹고 있었다. 대장간 주인이 귀엽기도 해서 장난말로, 도련님, 거 나도 한 개 주어요. 눈 꼭 감고 입벌리면 주지. 정말 줄 모양이어서, 눈을 감고 입을 떡 벌리니까 입에 넣어 준다. 어 퀴 퀴, 이거 똥 아냐 양반을 놀리면 어떻게 되는지 알았느냐 똥을 먹어야 하는 거야!
깜찍했던 그 아이는 이제 자라 의젓한 서당 도련님이 되었는데, 대장장이는 점점 가난해져서 망하게 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옆집 양반 댁에서 잠깐 오라는 기별이 있어 가보니, 항문으로 쇠붙이 물어 가던 개구쟁이가 이젠 의젓한 모습으로, 내 영감이 오늘날 이렇게 되리라 짐작하고 있었소. 그렇게 쇠끝을 톡톡 끊어 버리니, 그게 모두 합치면 얼마요 그래 내가 체면에 집어 올 수는 없고 해서 늘 항문으로 물어다 모았는데, 그게 두 독이나 되오. 애당초 당신의 것이니 가져다가 다시 영업을 계속하도록 하오. 늘그막에 고생 면해야지!
그저 황송합니다. 덜 식을 것을 던져 드리기도 하고… 허허, 그거야 살구로 갚지 않았소 대장장이는 열심히 일해 다시 일어서 말년을 여유 있게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이튿날, 이항복 어린이는 살구를 들고 와서 맛있게 먹고 있었다. 대장간 주인이 귀엽기도 해서 장난말로, 도련님, 거 나도 한 개 주어요. 눈 꼭 감고 입벌리면 주지. 정말 줄 모양이어서, 눈을 감고 입을 떡 벌리니까 입에 넣어 준다. 어 퀴 퀴, 이거 똥 아냐 양반을 놀리면 어떻게 되는지 알았느냐 똥을 먹어야 하는 거야!
깜찍했던 그 아이는 이제 자라 의젓한 서당 도련님이 되었는데, 대장장이는 점점 가난해져서 망하게 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옆집 양반 댁에서 잠깐 오라는 기별이 있어 가보니, 항문으로 쇠붙이 물어 가던 개구쟁이가 이젠 의젓한 모습으로, 내 영감이 오늘날 이렇게 되리라 짐작하고 있었소. 그렇게 쇠끝을 톡톡 끊어 버리니, 그게 모두 합치면 얼마요 그래 내가 체면에 집어 올 수는 없고 해서 늘 항문으로 물어다 모았는데, 그게 두 독이나 되오. 애당초 당신의 것이니 가져다가 다시 영업을 계속하도록 하오. 늘그막에 고생 면해야지!
그저 황송합니다. 덜 식을 것을 던져 드리기도 하고… 허허, 그거야 살구로 갚지 않았소 대장장이는 열심히 일해 다시 일어서 말년을 여유 있게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댓글목록 0